1 / 1
" delivery service"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2-09미국 글로벌 공유서비스업체인 우버(Uber)에 따르면 알코올 배달업체인 드리즐리(Drizly)를 US$ 11억달러에 인수할 계획이다.인수 후에는 드리즐리의 맥주, 와인 등 음료 사이트를 우버 이츠와 통합할 방침이다. 드리즐리는 지역 주류업체들을 고객으로 두고 앱을 통해 판매 및 배송을 하는 업체이다.현재 미국 전역의 1400개 도시에서 서비스 중이다. 서비스 모델이 우버 이츠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통합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우버는 전략적인 사업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2020년 자율주행자동차와 플라잉 택시사업을 매각한 이후 사업 영역을 배차와 식품배달 영역으로 재편하고 있다.▲우버(Uber)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10-15나이지리아 전기규제위원회(NERC)에 따르면 배전업체들(Discos)이 서비스 반영 전기요금체제에 따라 필요한 수준의 전기를 공급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배전업체들을 감시할 계획이다.전기규제위원회는 배전업체들이 서비스 제공의 채무 불이행에 대해 해당 소비자들에게 보상하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배전업체들의 서비스 제공을 감시할 수 있는 기계 장치를 마련했다. 소비자들이 전기를 감시할 수 있는 기계 장치를 설치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보다 강화된 전력 공급 정책 및 감시 체계로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할 계획이다. 소비자 역시 전기요금 납부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전기규제위원회(NERC) 홈페이지
-
2019-12-04미국 음식배달 스타트업인 키위봇(Kiwibot)에 따르면 회사를 시작한지 2년만인 2019년 12월 15일에 배달서비스를 종료할 계획이다.설립자이자 CEO인 펠리페차베즈(Felipe Chávez)는 2015년 콜롬비아의 보고타(Bogotá)에서 로봇 대신 택배로 사람들과 함께 키위를 시작했다.미국 UC 버클리의 LAUNCH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7년 1월 캘리포니아로 서비스를 가져왔을 때 서비스를 로봇으로 전환했다.키위봇의 원격 제어 로봇은 캠퍼스 및 캠퍼스 인근 마을에서 따뜻한 음식과 차가운 음식을 제공해왔다. 그동안 키위봇은 8만 건의 음식을 배달했다.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도시의 거리를 배회하는 로봇은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해졌다. 한편 회사는 새로운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러한 변화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빠르게 적응해야하기 때문이다. 키위봇은 2020년 1월 21일에 정상적인 운영을 다시 시작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 USA-Kiwibot-robot▲ 키위봇(Kiwibot)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배달서비스업체 LazyAz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6/17년 연간매출액은 $NZ 100만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LazyAz는 차별화된 현지 서비스로 업계 거물기업인 UberEats, Amazon 등을 추격하고 있다. 설립한지 1년을 조금 넘었지만 현재 업데이트된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및 앱 등을 보유하고 있다.매출액 증가와 더불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배달횟수는 매월 5000~6000건을 기록하고 있다. 매월 최소 10~20%씩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사업 초기에는 음식배달이 고객의 주요 수요였지만 점차 식료품 쇼핑배달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드라이클리닝의 수령 및 배달 등과 같은 다른 서비스로 확대하는 중이다.2017년 10월말에는 서비스 사용자가 1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Sal's Pizza, Habitual Fix, Pita Pit 등 150개 브랜드와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LazyAz 홈페이지
-
뉴질랜드우정국(NZ Post)에 따르면 2017년 8월 14일부터 Warehouse Group과 협업해 2개월동안 온라인 쇼핑객들을 위한 새로운 무제한 배송서비스를 론칭할 계획이다.북섬지역에서 새로운 무제한 배송서비스 수수료는 $NZ 12달러로 책정됐다. 북섬에 거주하는 온라인 쇼핑객이 대상이며 시골지역으로 배송은 제한된다.우정국은 편지의 사용이 급격하고 줄어들고 있지만 온라인 소포는 늘어나고 있어 이러한 서비스를 개발했다. Warehouse Group은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할인점과 백화점을 운영하는 유통업체다.▲뉴질랜드우정국(NZ Post) 홈페이지
-
글로벌 음식배달서비스기업 UberEats에 따르면 2017년 3월 9일 뉴질랜드 오클랜드(Auckland)에서 사업을 시작했다.앱(app) 기반 서비스로는 인기있는 음식체인업체인 Best Ugly Bagels, &Sushi, Little Bird Unbakery, Miann, Molten 등을 비롯한 70개 레스토랑의 메뉴를 배달한다. 가정 및 사무실로 주문형 식사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UberEats는 오클랜드 중부 교외지역에서 주 7일간, 오전 8시부터~오후 10시까지 주문형 식사를 배달한다. 향후 몇 주 혹은 몇 달 이내에 다른 지역으로 서비스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UberEats 로고
-
인도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Amazon)에 따르면 2시간 식품배송지역을 델리와 뭄바이까지 확대했다. 기존에는 벵갈루루 지역에서만 배송을 이행했다.AmazonNow라는 서비스를 활용해 매일 5000개 이상의 생필품을 주문할 수 있다. 냉동식품뿐만 아니라 과일, 야채 등까지 배달이 가능하다.350루피 이상을 구입할 경우에는 배송비가 무료이고 그 이하일 경우에는 배송비로 29루피를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한 기념으로 당분간 델리와 뭄바이 지역에서 구매가격에 관계없이 무료로 배송한다.▲AmazonNow서비스 이미지
-
▲ 인도 전자상거래업체인 플립카트(Flipkart) 로고인도 전자상거래업체인 플립카트(Flipkart)는 축제시즌에 앞서 배송을 위해 임시근로자 1만명을 채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문이 밀려도 배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2016년 7월 플립카트는 저성과자를 대상으로 해고를 진행했는데 그 규모가 1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현재 추가로 해고를 진행할 계획은 없으며 유능한 직원을 채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