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drink"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투썸플레이스, 아이스티 RTD 음료 2종 론칭[출처=투썸플레이스]프리미엄 디저트 카페 투썸플레이스(대표이사 문영주)에 따르면 RTD(Ready-to-Drink) 음료 2종 ‘투썸 피치 아이스티’와 ‘투썸 레몬 카모마일 티’를 출시했다.RTD 아이스티 ‘투썸 피치 아이스티’는 2024년 여름 가장 주목받는 과일이자 아이스티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과일인 ‘복숭아’를 모티브로 했다.나머지 ‘투썸 레몬 카모마일 티’는 상큼하면서도 향긋한 차의 풍미를 살렸으며 두 제품 모두 투썸만의 우수한 음료 제조 노하우가 담겼다.두 제품 모두 과일의 상큼달달한 맛과 차의 부드러운 향미가 어우러지는 음료로 뜨거운 여름에 쉽게 찾아오는 갈증과 피로를 충분히 달랠 수 있도록 500ml 대용량 사이즈로 제공된다.‘투썸 피치 아이스티’는 달콤한 복숭아와 쌉싸름한 블랙 티의 조화가 돋보이는 베리에이션 티 음료로 클래식한 매력의 복숭아 아이스티를 투썸만의 제조법으로 만들어 보다 향긋하고 섬세한 맛을 선사한다.특히 올해 여름 ‘갈증해소템’으로 주목받고 있는 복숭아 아이스티를 간편한 RTD 제품으로 구현해 일상에서 갑자기 에너지 보충이 필요할 때도 쉽게 구할 수 있다.‘투썸 레몬 카모마일 티’는 상큼한 레몬과 은은한 카모마일 티가 어우러져 무더위에 땀을 흘리거나 몸이 무거워질 때 가볍고 깔끔하게 피로를 풀어주는 음료다. 복숭아의 단맛이 부담스럽거나 보다 깔끔하게 아이스티를 즐기고픈 사람들에게 제격이다.일상적으로 즐기기 좋은 ‘투썸 피치 아이스티’와 ‘투썸 레몬 카모마일 티’는 편의점 GS25 전국 매장에서 판매된다. 매장에 따라 제품 운영 여부는 다를 수 있다. 추후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도 만나볼 수 있을 예정이다.무더위가 이어지며 빠르고 간편하게 갈증을 해소할 방법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특히 탄산이나 카페인에 대한 부담 없이 즐기기 좋은 ‘아이스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올 시즌 투썸플레이스는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는 ‘아이스티’와 ‘아샷추’ 4종을 출시했으며 출시 한 달여 만에 90만 잔을 돌파하며 ‘아이스티 맛집’으로 떠오르기도 했다.투썸플레이스는 "연일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급하게 목마름을 달래고 싶을 때 어디서든 투썸만의 노하우를 담은 갈증타파 음료를 제공하고자 RTD 음료 ‘투썸 피치 아이스티’와 ‘투썸 레몬 카모마일 티’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
▲ 세계보건기구(WHO) 로고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각국 정부와 세계적으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식수를 위해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식수의 안전성은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위생과 보건 부문에서도 노력이 필요하다. WHO와 유엔워터(UN-Water)의 위생과 식수 부문의 글로벌 분석과 평가(GLAAS) 보고서 또한 2030년까지 각국에서 지속 가능한성장(SDG) 6번째 목표인 보건과 물 부문 달성을 위해 빠른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GLAAS 2022 보고서는 120개국 이상의 WASH(안전한 식수·위생시설·위생) 시스템 통계 보고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포함해 글로벌 기후 변화와 분쟁 및 갈등에도 WASH의 접근성을 보장해야 함을 강조한다. 2021·2022 통계 수집에는 참여국 121개국과 외부지원기관 23곳이 참여해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정보 수집이 이뤄졌다. 참고로 한국은 그 어느 곳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GLAAS에 의하면 국가별 식수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국가는 GLAAS 참여국의 45.2%인 반면 국가별 위생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국가는 25%에 불과했다. GLAAS 참여국의 25% 미만만 WASH 계획 자금이 충분한 것으로 보고됐다. 일부 국가에서 WASH 예산이 증가하기도 했지만 75% 이상의 국가가 WASH 계획 및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한 것이다. --------------------------------------------------------------------------------------------------14/12/2022Accelerated action needed to ensure safe drinking-water, sanitation and hygiene for all14 December 2022 News release Reading time: 3 min (721 words) Urgent action is needed globally and locally to achieve safe and sustainably managed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for all in order to prevent devastating impacts on the health of millions of people. Findings from WHO and UN-Water’s Glob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Sanitation and Drinking-Water (GLAAS) report show that acceleration is needed in many countries to achieve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6 – water and sanitation for all by 2030. While 45% of countries are on track to achieve their nationally-defined drinking-water coverage targets, only 25% of countries are on track to achieve their national sanitation targets. Less than a third of countries reported to have sufficient human resources required to carry out key drinking-water, sanitation and hygiene (WASH) functions. The GLAAS 2022 report, which details the latest status of WASH systems in more than 120 countries, is the largest data collection from the greatest number of countries to date. Whil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WASH budgets in some countries, a large number--over 75% of countries reported insufficient funding to implement their WASH plans and strategies. “We are facing an urgent crisis: poor access to safe drinking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claim millions of lives each year, while the increasing frequency and intensity of climate-related extreme weather events continue to hamper the delivery of safe WASH services,” said Dr 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Director-General. “We call on governments and development partners to strengthen WASH systems and dramatically increase investment to extend access to safely managed drinking water and sanitation services to all by 2030, beginning with the most vulnerable.” The GLAAS data show, however, that most WASH policies and plans do not address risks of climate change to WASH services, nor the climate resilience of WASH technologies and management systems. Just over two thirds of countries have measures in WASH policies to reach populations disproportionate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However, only about one third monitor progress or allocate explicit funding to these populations. “The world is seriously off-tr
-
2022-10-23▲ 2012~2018년 그리스 맥주 생산량과 소비량 표[출처=헬레닉 양조업자 연맹(Ελληνική Ένωση Ζυθοποιών) 홈페이지]그리스 양조업자 연맹인 헬레닉 양조업자 연맹(Ελληνική Ένωση Ζυθοποιών)에 따르면 국내 맥주 가격이 50% 상승에도 상향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맹 회장인 소포클레스 파나지오투(Σοφοκλ?ς Παναγι?του)씨는 현지 매체인 Free Sunday Press(Ελε?θερο Τ?πο της Κυριακ?ς)와 인터뷰에서 에너지 위기와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국내 맥주 가격이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통합 정보분석기업인 닐슨(Nielsen)에 따르면 여름 동안 그리스 국내 맥주가격은 5.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맥주의 주요 원재료인 몰트의 가격은 2021년 1t당 450~500유로에서 2022년 750유로로 상승했다. 이는 운송 비용을 포함하지 않은 금액이다. 파나지오투씨는 몰트 외에도 유리병 가격이 60% 급등했으면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리스 양조장 대부분이 우크라이나에서 유리병을 수입해 쓰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에서 운영된 대규모 유리공장 10곳은 전쟁이 시작된 이후 가동을 중단했다. 유리병 가격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 0.19유로였지만 10월13일 기준 0.40유로로 2배 올랐다.
-
2022-05-27영국 스코틀랜드 최대 식음료 도매업체 중 하나인 던 푸드 & 드링크(Dunns Food and Drinks)에 따르면 국내 맥주 제조 및 양조업계가 유리병 부족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유리병 재고가 바닥나면서 일부 맥주회사들은 다른 용기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맥주 애호가들은 유리병 제품을 선호한다. 하지만 치솟는 에너지 가격으로 인해 에너지 집약적인 유리 제품 생산이 감소하고 있다. 공급업체들은 이미 지난 1년 동안 유리병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 세계에서 오는 자사의 구매자들인 와인과 양주 공급업체들은 유리병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국내에서 맥주제조사들의 병맥주 종류도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한다. 맥주는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알코올 음료이다. 국내 소비자는 2020년 맥주에 70억파운드 이상을 소비했다. 일부 스코틀랜드 양조업체들은 이미 포장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캔으로 바꾸었다.맥주 제조 및 양조업체인 볼트 시티 브루잉(Vault City Brewing)은 다가오는 6월부터 거의 모든 맥주를 병 대신 캔에 담아 판매할 예정이다.2022년 5월 넷째주 현재 1개의 맥주 포장용 유리병 가격은 65펜스로 6개월 전에 비해 30% 올랐다. 전문화된 독특한 디자인의 맥주 유리병은 맥주 산업의 오래된 유산으로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이러한 독특함을 지키고자 하는 맥주 제조 및 양조업체들은 병맥주가 아닌 캔 또는 플라스틱 포장 용기로 바꾸는 것은 브랜드를 평가절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이에 따르는 추가 비용은 소비자가격에 전가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독일 맥주업계 역시 중소 맥주 제조 및 양조업체들이 유리병 부족의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하기 시작했다. ▲던 푸드 & 드링크(Dunns Food and Drinks) 홈페이지
-
네덜란드 글로벌 맥주 및 주류 제조사인 하이네켄(Heineken)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주류 및 음료 제조업체인 디스텔(Distell)을 인수하기 위해 협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2021년 5월 현재 기준 디스텔의 시가총액은 R318억랜드(US$ 22억7000만달러)로 평가받고 있다. 하이네켄은 와인, 양주, 사이다 등을 제조하는 디스텔의 사업 대부분을 인수하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영국 글로벌 석유기업인 로얄 더치 쉘(Royal Dutch Shell)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에서의 육상 유전 사업을 폐업하기 위해 정부와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로얄 더치 쉘이 나이지리아 유전에서 석유를 생산해 낸 지 반세기 반에 친환경 에너지 대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함이다. 나이지리아 최대 은행인 액세스은행(Access Bank)에 따르면 최근 모잠비크(Mozambique)의 아프리카은행(African Banking Corporation)에 대한 인수를 완료했다.액세스은행은 지난 4년 동안 인수합병(M&A)을 진행해왔으며 이번 인수는 5번째이다. 아틀라스 마라(Atlas Mara Limited)는 아프리카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금융서비스기업이다.▲액세스은행(Access Bank) 홈페이지
-
스위스 제네바 본사인 크루즈운영기업인 MSC 크루즈(MSC Cruises)에 따르면 최신 MSC Virtuosa 크루즈에 로봇 바텐더인 롭(Rob)을 도입했다.전문 바텐더처럼 롭은 고객 맞춤형 칵테일이나 16가지 칵테일 중 고객이 선택한 1가지 칵테일을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우주선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바(bar)와 선박용 로봇 바텐더인 롭을 제작하는데 6년이 소요됐다.롭은 8개 언어를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외국 고객들이 선호하는 언어로 롭에게 주문하고 대화도 가능하다. 롭은 표현력이 뛰어난 얼굴 표정과 대화를 통해 고객들과 교류할 수 있다.MSC 크루즈는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이 일어나기 훨씬 이전인 지난 6년 동안 롭과 MSC 스타쉽 클럽을 만들어왔다. 결과적으로 비접촉 편의시설에 중점을 둔 크루즈 서비스 사업 방향이 선견지명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MSC 크루즈(MSC Cruises) 홈페이지
-
2020-06-29스코틀랜드 맥주회사인 브루독(BrewDog)에 따르면 드론을 이용해 맥주 배달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0년 7월 오하이주 주립대(Ohio State University)에 위치한 42에어커의 콜럼버스 캠퍼스(Columbus campus)의 다양한 장소에서 테스트한다.이 테스트는 드론을 사용해 사회적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맥주를 배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영국, 더블린, 베를린 및 브리즈번에서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브루독은 영국에서 BrewDog Now 배송 서비스의 다음 단계로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브루독은 바에서 신선한 파인트 모음과 맥주를 주문할 수있는 온라인 웹 상점을 고객에게 제공한다.코로나19(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전세계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면서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도입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K-BrewDog-drone▲ 브루독(BrewDog)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4-16오스트레일리아 유제품 제조사인 라이언(Lion Dairy & Drinks)에 따르면 일부 유제품의 부분적인 공급 부족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사의 유제품 수요 증가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특히 자사 브랜드의 아이스 커피우유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들의 불만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거세지고 있다. 라이언은 양혜를 바라며 제품 공급의 차질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주장했다.국내 유제품 생산업체들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은 가뭄을 포함해 극심한 기상조건과 더불어 물, 사료, 에너지 등에 대한 원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이로 인해 낙농가로부터 우유 공급이 감소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유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봄부터 여름까지 최악의 가뭄으로 낙농가가 우유생산에 어려움을 겪었다.▲라이언(Lion Dairy & Drinks)의 아이스 커피우유 제품(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환경단체 부메랑 얼라이언스(Boomerang Alliance)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다.플라스틱병이나 캔을 돈으로 교환하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재활용 가능한 용기를 가져오는 사람들에게 돈도 지급하고 있다.현재 폐플라스틱 등으로 인한 해양오염이 심각한 상황이지만 오스트레일리아 국민들은 여전히 무단으로 폐기물을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대대적인 환경캠페인으로 폐플라스틱의 해양투기를 40%나 줄였다.▲환경단체 부메랑 얼라이언스(Boomerang Alliance) 로고
-
뉴질랜드 푸드뱅크(Foodbank)에 따르면 지난 6년간 국내 주요 유제품제조사들은 800만 리터 이상의 우유를 푸드뱅크에 기부한 것으로 집계됐다.기부된 우유는 생계도움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오스트레일리아 국민들에게 제공됐다. 우유뿐만 아니라 요거트, 치즈 등 유제품도 기부한 것으로 드러났다.푸드뱅크를 지원하는 유제품제조사들은 Lion Dairy and Drinks, Murray Goulburn, Parmalat, Fonterra 등이다. 2600개 이상의 기부업체로부터 푸드뱅크에 기부된 식품의 1/3은 오스트레일리아로 보내진다.▲Lion Dairy and Drinks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