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lead"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KB금융그룹 건물 전경[출처=KB금융그룹]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에 따르면 2025년2월6일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이하 CDP) ‘2024 기후변화 대응 부문(Climate Change)’ 평가에서 최상위 등급인 ‘리더십(Leadership) A’를 획득했다.CDP는 각 국의 주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등과 관련한 경영정보를 요청하는 글로벌 프로젝트이자 영국에 본부를 둔 국제적인 비영리 기관이다.기업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매년 보고서로 발표돼 전 세계 금융기관의 투자지침서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 환경 분야 평가에서 신뢰도 높은 지표로 인정받고 있다.KB금융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추진 전략인 ‘KB Net Zero S.T.A.R.’의 실질적인 이행을 위해 ‘건물 내 에너지 효율화 사업’,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확대’ 등의 탄소 감축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특히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잃지 않고 더욱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KB ESG컨설팅’ 및 ‘KB탄소관리시스템’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등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경영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다.한편 KB금융은 2024년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ESG 평가’에서 2년 연속 최상위 등급인 ‘AAA등급’을 획득했다.‘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nalytics) ESG 리스크 평가’에서는 국내 금융회사 중 최고 점수 ‘Low Risk 등급’을 평가 받았다.국내 금융회사 중 유일하게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9년 연속 ‘월드지수’에 편입되는 등 국내외에서 ESG경영 우수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
2021-12-07미국 글로벌 블록체인 보안업체 서틱(Certik)에 따르면 시리즈 B2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US 8000만달러를 조달했다. 이번 조달로 서틱의 가치는 10억달러로 증가했다.투자는 Sequoia Capital China의 주도로 기존 투자자 Tiger Global, Coatue Management, GL Ventures 등이 참여했다. 서틱은 지난 4개월 동안 3회에 걸쳐 자금을 조달했으며 조달한 금액은 총 1억4000만달러에 달한다.2021년 암호화페의 해킹, 취약성, 신용사기 등에 의한 피해액은 13억 달러로 2020년 5억 달러 대비 2.6배 늘어 났다. 최근 들어 블록체인 관련 해킹과 암호화폐 도용으로 블록체인 보안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서틱의 Security Leaderboard와 Skynet 등은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Skynet은 교묘한 공격에 대한 탐지와 블록체인 보호를 위한 24/7 능동 모니터링 플랫폼이다.이러한 추세에 따라 Skynet의 매출은 2300%, Security Leaderboard의 총 사용자 수는 2000% 각각 늘어났다. 향후 전망은 더욱 밝은 편이다.▲ 서틱(Certik)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국민연금위원회(연기금)인 펜콤(PenCom)에 따르면 연금기업인 리드웨이(Leadway Pensure Limited)가 퍼스트 은행(First Bank)에 투자한 것은 투자 규정을 위반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리드웨이가 운용 중인 연기금을 대신해 퍼스트 은행에 대해 지분 투자한 것을 펜콤은 '연기금의 명의' 라고 지적했다. 또한 은퇴저축계좌(RSA) 보유자의 소유라고 말했다. 억만장자 사업가인 페미(Femi Otedola)가 퍼스트 은행의 지분 5.07%를 인수했다. 이후 페미의 회사 비서는 나이지리아증권거래소(NGX)에 리드웨이의 지분 2.11% 전부를 리드웨이 관련 기업에게 귀속시켰다. 투자 규정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이와 같은 논란이 대두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펜콤의 해명이 석연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사태로 지주사 내 지분 구조가 재편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펜콤(PenCom) 홈페이지
-
2021-11-02영국 건설업체들의 단체인 CLC(Construction Leadership Council)에 따르면 건설자재 생산업체와 유통업체들은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인해 대규모 가격 인상에 대비하라고 경고했다.2021년 10월 말 현재 건설상품 수요는 2021년 봄철의 절정에서 완화됐다. 하지만 현재의 물류 문제가 해결될려면 2022년까지 기다려야할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다.2022년 1분기까지 대형트럭(HGV) 운전자 부족에 대한 개선이 없을 것으로 예상돼 우려한다. 일부 분야에서 제품 공급은 개선됐다. 하지만 물류와 관련된 인력 부족, 제품 및 투입 비용 상승 등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높은 가스 및 전기 가격과 관련된 탄소 가격은 곧 세라믹 제품, 유리, 철강, 벽돌 등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시멘트 공급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게다가 에너지 비용이 확대되고 있어 향후 몇 달 동안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콘크리트 제품의 가격에도 연쇄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CLC(Construction Leadership Council) 홈페이지
-
미국 생명공학 벤처기업인 타이샤 젠 테라피(Taysha Gene Therapies)에 따르면 제조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해 리더십 팀을 확장했다.회사는 희귀 및 대규모 환자 집단 모두에서 중추 신경계의 단일 유발성 질환 치료(the treatment of monogenic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를 위해 AAV 기반 유전자 치료법을 개발하고 상업화하고 있다.Greg Gara는 제조 부문 수석 부사장으로 합류했다. 그는 AveXis Libertyville, Research Triangle Park 및 Longmont 제조 시설의 건설 및 위임을 이끌었던 경험을 갖고 있다. 특히 AAV 유전자 치료 제조 기술 전문 지식과 함께 여러 cGMP 유전자 치료 시설을 구축한 입증된 성공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Kimberly Lee, D.O.는 기업 커뮤니케이션 및 투자자 관계 부문 수석 부사장으로 합류했다. 그는 20년 이상의 자본 시장 및 전략적 기업금융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양자 모두 회사의 가치인 환자 우선 초점과 열정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경험은 회사에 엄청난 가치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SA-TAYSHAGeneTherapies-Biological▲ 타이샤 젠 테라피(Taysha Gene Therapie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컨설팅기업인 브랜드리더쉽(Brand Leadership)에 따르면 2020년 단고테그룹(Dangote Group)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브랜드는 조사됐다.다른 브랜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동통신사인 MTN, 나이지리아 주요은행인 GT은행(GTBank) 등이 선정됐다.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13개 브랜드가 파악됐다.나머지 대부분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차지했다. 특히 미디어 부분으로는 영국의 BBC, 미국의 CNN, 카타르의 알자지라(Aljazeera) 등이 선정됐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민간사업 부문은 아프리카 대륙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20년 아프리카 브랜드의 성장률은 6.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하지만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연초 아프리카 브랜드 성장률은 3.9%에 그쳤다. 2020년 6월초 현재 25년만에 아프리카 대륙의 첫 경기침체가 전망되고 있다. ▲브랜드리더쉽(Brand Leadership)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컨설팅기업인 브랜드리더쉽(Brand Leadership)에 따르면 2020년 단고테그룹(Dangote Group)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브랜드는 조사됐다.다른 브랜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동통신사인 MTN, 나이지리아 주요은행인 GT은행(GTBank) 등이 선정됐다.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13개 브랜드가 파악됐다.나머지 대부분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차지했다. 특히 미디어 부분으로는 영국의 BBC, 미국의 CNN, 카타르의 알자지라(Aljazeera) 등이 선정됐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민간사업 부문은 아프리카 대륙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20년 아프리카 브랜드의 성장률은 6.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하지만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연초 아프리카 브랜드 성장률은 3.9%에 그쳤다. 2020년 6월초 현재 25년만에 아프리카 대륙의 첫 경기침체가 전망되고 있다. ▲브랜드리더쉽(Brand Leadership) 홈페이지
-
2019-04-08중국 블록체인 정보서비스기업인 블록데이타(Blockdata)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진행 중인 블록체인(blockchain) 프로젝트 숫자가 압도적인 것으로 드러났다.중국에 263개의 블록체인(Blockchain)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전세계의 25%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 부문이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큰 사용자인 것으로 분석된다.은행 및 중개인을 위한 자산 증권화 분야가 이에 해당된다. 2018년 블록체인 관련 특허 출원의 대부분이 중국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2017년 406건의 블록체인 특허 중 절반 이상인 225건이 중국으로부터 출원됐다. 또한 중국 장쑤성(江蘇省)에서는 '교통 인프라 발전 촉진을위한 이행 계획'이라는 다년간의 프로젝트가 공개됐다.계획에 따라 블록체인은 지방 당국이 지역 교통인프라를 개선하는 데 사용할 기술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에서 블록체인기술의 활용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hina-Blockdata-blockchain▲ 블록데이타(Blockdat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07-16뉴질랜드 비영리단체 SBC(Sustainable Business Council)에 따르면 60여개 대기업으로 'Climate Leaders Coalition'을 결성했다. 기후변화에 대해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한 목적이다.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 계획이다. Z Energy는 930마톤의 이산화탄소를 고객들에게 판매했다. 유가공업체인 폰테라느는 2030년경에는 2015년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30% 줄일 방침이다.참가하는 주요 업체들은 Westpac, Ngai Tahu Holdings, Vector, Air New Zealand, Spark, NZ Post 등이다. 이들 업체가 뉴질랜드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고 있다.▲SBC(Sustainable Business Council)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산하기관 OAIC에 따르면 2018년 2월 22일부로 데이터유출 사고를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하는 기준이 발효됐다.국내 기업은 매출액이 300만달러 이상일 경우 사람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데이터 유출을 보고해야 한다. 기업이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처벌을 받게 된다.적법한 데이터 유출이 발생하는 즉시 기업은 OAIC에 통보해야 한다. 위반사항이 발생하면 영향을 받은 사람은 소비자보호법에 따라 정당하게 피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할 수 있다.▲OAIC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