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make"으로 검색하여,
3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14▲ 기아, 인도공과대와 현지 인재 양성을 위한 MOU 체결(왼쪽부터 이광구 기아 인도권역본부장(전무)과 사티아나라야나(Dr. K.N. Satyanarayana))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5월9일(금, 현지시간) 기아 인도권역본부(이광구 기아 인도권역본부장)가 IIT((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티루파티와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현지 인재 양성과 미래 모빌리티 역량 강화를 위해 IIT 티루파티(Tirupati, 인도공과대 티루파티)와 협력한다. IIT는 인도 전역에 23개 캠퍼스를 보유한 최고 수준의 공학 교육기관이다.기아는 인도 공장이 위치한 안드라프라데시주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지역 최우수 대학교 IIT 티루파티와 현지 법인 설립 이후 첫 산학협력 MOU를 체결했다.기아 인도권역본부는 IIT 티루파티에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3억5000만 루피(한화 약 58억 원)을 후원한다.교육 인프라 설립 지원,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자동차산업 특화 전공 개설, 장학금 지원, 산학 공동 프로젝트 추진,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연구 후원 등 다양한 산학협력을 뒷받침할 계획이다.특히 ‘메이커스 랩(Makers Laboratory)’으로 불리는 최첨단 연구 공간 설립을 지원한다. 학생들이 연구를 위한 프로토타입 구상 및 설계, 개발 등에 이 공간을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사티아나라야나(Dr. K.N. Satyanarayana) IIT 티루파티 총장은 “기아 인도권역본부와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하게 돼 기쁘다”며 “의미 있는 혁신을 창출하고 학생들이 미래 모빌리티를 구체화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고 밝혔다.이광구 기아 인도권역본부장(전무)은 “IIT 티루파티와 협력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와 산업 제조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 나갈 숙련된 엔지니어와 기술자를 양성하고자 한다&rd
-
▲ 구자은 LS 회장,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센트럴홀 내 LG전자 전시관에서 AI 기반 콘셉트 차량에 탑승해 인캐빈 센싱 설루션을 체험하고 있다[출처=LS그룹]LS그룹에 따르면 구자은 회장이 2025년 1월 8~9일 이틀간 2024년에 이어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5’ 현장을 찾아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신기술 및 신제품을 직접 경험하고 이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했다.앞서 LS전선과 LS일렉트릭이 공동 개발한 차세대 초전도 혁신 솔루션 ‘HyperGrid NX’는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HyperGrid NX는 낮은 전압으로 대용량 전력을 송전할 수 있어 도심에 추가 변전소를 짓지 않고도 전력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이번 CES에는 구 회장뿐만 아니라, ㈜LS 명노현 부회장, SPSX(슈페리어 에식스) 최창희 대표와 함께 LS전선, LS일렉트릭, LS MnM 등의 주요 계열사 CSO(최고전략책임자) 및 2024년 그룹의 우수 신사업 아이디어 및 연구 성과를 낸 ‘LS Futurist(미래 선도자)’ 등 20여 명이 동행했다.구 회장은 첫날 벤처 및 스타트업들의 혁신 기술이 집약된 유레카 파크를 먼저 관람했다. 1월9일 LG, 삼성, SK 등 국내 대표 기업을 비롯한 TCL, 하이센스, 파나소닉 등 글로벌 선진 회사들의 전시관을 꼼꼼히 살펴보며 우리 일상에 전방위적으로 스며든 AI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다.한편 2205년 CES에는 전 세계 160여 개국, 4800여 개 기업과 기관이 참가했다. 국내 기업은 1000여 곳이 참가해 첨단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직접 확인했다.구 회장은 함께 참관한 임직원들에게 올해 CES는 “MAGA 즉, Make All Great with AI”로 정의할 수 있다&rdq
-
2024-06-19▲ 중동·아프리카 주요국 [출처=CIA][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 4월 산업생산지수(IPI) 전월 대비 1.1% 증가... 2024년 4월 원유 생산량이 1일 890만배럴 기록 등 광업과 채석 부문 생산이 저하되며 2023년 4월 IPI 대비 6.1% 감소[아랍에미리트] 연합국중앙은행(CBUAE), 1분기 은행 부문 동업자 예금 제외한 저축예금 138억 디르함(US$ 38억 달러) 집계... 3월 말 기준 은행 부문 저축 예금은 2866억7000만디르함으로 2020년 3월 2631억4000만디르함 대비 8.9% 상승[아랍에미리트] 스위스 세계경쟁력보고서(World Competitiveness Report), 2024년 세계 경쟁력 지수에서 아랍에미리트 7위 선정되며 2023년 상위 10위권 등극에서 3단계 상승... 2024년 상위 6위 국가는 순서대로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일본, 캐나다, 핀란드[튀르키예] 식품기업인 윌케르(Ülker), 초콜릿 및 제과 제조기업인 웨넴기다(Önem Gıda)와 합병에 대해 규제위원회인 CMB(Capital Markets Board) 승인 신청... 윌케르 측에서 3년 전 웨넴기다 지분 100%를 획득 후 운영하고 있었으며 합병을 통해 제과 부문의 경쟁력과 수익성 향상 목표[튀르키예] 엔진기업인 튀모산(Tümosan), 콘야민간산업지구(Konya Private Industrial Zone)에 ATS 생산 공장 건설 계획... 2023년부터 의무화된 유럽연합(EU) 배출 기준에 부합하는 EURO-5 디젤 엔진 생산으로 트랙터, 건설기계, 화물적재기 부문 등에 진출 계획[나이지리아] 규제청인 업스트림석유규제위원회(NUPRC), 2024년 석유 입찰 라운드에 심해 연안 원유 블록 17개 새로 추가하며 입찰 목록 총 36개... 석유 및 가스 자원의 생산량 상승, 탐사 활동 데이터 수집, 업스트림 부문의 투자 활성화 효과를 기대[나이지리아] 석유수출국기구(OPEC), 5월 원유 평규 생산량
-
[유럽] 중국, 6월17일부터 유럽연합(EU) 국가서 수입한 돼지고기에 대해 반덤핑 조사 시작… 對중국 돼지고기 최대 공급국인 스페인 및 네덜란드‧덴마크 대상으로 조사 중, 중국산 전기자동차(EV) 수출 규제에 대한 대응 조치로 분석[유럽] 5월 유럽의 가스 소비 지형 변화 “미국산 가스보다 러시아산 가스 더 많이 소비”… 5월 유럽이 러시아 에너지 기업 가즈프롬(Gazprom)에서 수입한 가스 25억㎥(입방미터)로 전년 18억㎥ 대비 대폭 증가 및 9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했으며 특히 오스트리아의 러시아 가스 의존도 95%에 달해 증가세 큰 두각[영국] 노동당, 내달 총선 당선 시 실질생활임금 도입하는 ‘노동자를 위한 뉴딜’정책 약속에 각계 갑론을박… HSBC 은행 “임금 인상이 인플레이션 부채질한다” 경고, 최저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 상승률보다 높으면 기업 비용 증가해 되려 직원수 줄여 생산성 감소 및 높은 은행금리 지속 [영국] 英 최대 부동산 웹사이트 라잇무브(Rightmove), 6월 부동산 시장 선거 불확실성에 타격 없이 주택가격 사상 최고 수준 보합세로 유지… 지난 4주간 평균 주택가격 £37만 5110파운드로 5월 사상 최고가보다 £21 파운드 하락에 그쳤으며 구매자 수요 5% 증가[영국] 제조업연맹 메이크UK(Make UK), 공장 구인난으로 제조업 부문 £60억 파운드 손실 발생… 英 전역 제조업체서 6만4000개 일자리 공석이나 자발적 미취업자수 940만 명으로 13년 만에 최고치[독일] 獨 기계공업협회(VDMA), “중국이 독일 따라 잡았다” 자국 로봇산업 성장 전망 하향해 2024년 매출 165억 유로 예상… 1~4월 로봇산업 부문 국내 주문 전년 대비 15% 감소 및 국내외 경쟁 치열[독일] 獨 개발부흥은행(KfW), 독일 2023년 창업 건수 전년 대비 3%
-
2022-06-21영국 제조업체 연맹인 메이크 UK(Make UK)에 따르면 원자재, 에너지, 운송비 상승으로 타격을 받는 제조업체들을 긴급히 지원하기를 정부에 촉구했다.제조 비용 상승으로 생산 기회가 억제되면서 제조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코로나-19, 브렉시트 등이 주요 요인이다.기업의 71.9%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경영이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67.8%는 에너지 비용 상승, 66.8%는 운송비 상승으로 각각 사업에 위협을 느끼고 있다.또한 숙련된 근로자 발굴 및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제조 기업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 100개당 4.1개의 기록적인 수준의 일자리 공석이 있는 기업들에게 숙련된 근로자 채용 지원이 시급한 실정이다. 2022년 연초 정부는 '필요한 근로자 채용 지원을 가을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숙련된 근로자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은 여름 이전에 정부 지원이 이뤄지길 촉구했다. ▲메이크 UK(Make UK) 홈페이지
-
2022-05-19영국 제조업체 연맹인 메이크 UK(Make UK)에 따르면 2022년 5월 중순 기준 지난 2년 동안 국내 공급업체 수는 4분의 3이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체들이 코로나-19 팬데믹과 브렉시트로 인한 공급망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에 법인을 늘린 것이다. 또한 제조업체 절반 이상이 향후 2년 이내에 국내에서 공급 기반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제조업체의 10% 이상은 아시아 공급업체들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계획이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대규모 봉쇄조치를 단행했기 때문이다.코로나-19 팬데믹, 브렉시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등을 포함한 연이은 경제적 충격으로 인해 제조업체들은 부품 및 원자재 도착 지연과 부족 등으로 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제조업체들은 수십 년 동안 이어온 해외 공급망 구조를 국내 공급망으로 되돌려야 할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비상시에는 해외 공급망이 제품 생산에 매우 취약해진다는 것을 절실하게 깨달았다.국내 기업들은 아시아의 저비용 공급업체와 달리 믿을 수 있고 신속한 공급이 가능한 국내 공급업체로 눈을 돌리고 있다. 글로벌화 시대는 세계 무역의 급속한 혼란과 변동성으로 인해 절정이 지났다고 판단한다.향후 거시경제 충격에 대한 국내 경제의 회복력에 대해 점점 더 우려하고 있다. 특히 식량, 제조업, 에너지 분야 등이 가장 큰 걱정거리로 분석된다. ▲메이크 UK(Make UK) 홈페이지
-
2022-04-13영국 프린터 충전 제품 제조사인 앵커(Anker)에 따르면 3D 프린터 사업 촉진 프로젝트인 '3D 프린터 사업 킥스타터(Kickstarter) 프로젝트' 를 시작했다.개발하고 있는 새로운 3D 프린터가 인쇄 속도, 문제점 해결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으로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새로운 3D 프린터 사업 브랜드인 앵커메이크(AnkerMake)와 자사 첫 3D 프린터 시제품 모델인 앵커메이크 M5(AnkerMake M5)를 공개했다. 앵커메이크 M5의 기본 인쇄 속도는 250 mm/s 이며 최대 2500 mm/s의 속도로 인쇄할 수 있는 훨씬 더 빠른 모드를 장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른 3D 프린터에 비해 평균 인쇄 시간을 최대 70%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쇄를 시작할 준비를 하는데 15분 정도 소요되는 데 그쳐 인쇄 속도 개선뿐만 아니라 인쇄 설정도 용이하도록 설계됐다. 앵커메이크 M5에 내장된 인공지능(AI) 구동 카메라로 인쇄 작업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노즐(분사구) 막힘과 같은 문제가 감지되면 휴대폰으로 알림을 보낼 수 있다.또한 앵커의 모바일 앱을 통해 어디에서나 라이브로 인쇄 작업의 원료량도 볼 수 있다. 신속하게 원료 충전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한편 전문가들은 앵커메이크 M5가 상기 모든 기능을 이행할 수 있을지 반문하고 있다. 킥스타터 프로젝트인 만큼 시제품이 아닌 완제품이 출시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그럼에도 앵커는 앵커메이크 M5의 수퍼 얼리버드 가격으로 US$ 429달러를 책정했다. 제반 옵션 가격까지 더해 최소 499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앵커(Anker) 홈페이지
-
2022-03-03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스텔란티스(Stellantis)에 따르면 합병 후 첫 해인 2021년에 US$ 36억 달러의 비용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합병을 통해 효율성이 높아져 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스텔란티스는 프랑스 푸조(Peugeot)와 이탈리아계 미국 자동차업체인 피아트-크라이슬러(Fiat-Chrysler)가 합병해 2021년 1월에 설립됐다.스텔란티스는 2021년 $171억 달러의 이익과 $151억 달러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매출은 2020년 매출과 비교하여 14% 증가했고 이익은 2020년 대비 거의 3배 늘어났다. 2020년 피아트-크라이슬러와 푸조의 매출액은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인해 더 낮았기 때문이다. 향후 스텔란티스는 3가지 주요 영역에 집중할 방침이다.즉 효율성 향상, 중국 시장 진출, 전기, 하이브리드 및 자율주행 차량 라인 개발에 집중해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스텔란티스(Stellanti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2-01-27인도 온라인여행사인 메이크마이트립(MakeMyTrip)에 따르면 창업자이자 회장인 딥 칼라(Deep Kalra)가 경영진에서 멘토쉽 직위로 전보됐다. 2000년 설립됐으며 딥 칼라씨는 2020년 2월 11일부터 그룹 회장직을 맡았다. 그룹 회장이자 최고 멘토로서의 직위는 2022년 4월 1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이사회의 승인을 받은 사항으로 향후 그룹의 상품 혁신과 확장 등 전략적인 부문에서 멘토쉽을 제공하는 것에 기여할 방침이다. 메이크마이트립은 ▶메이크마이트립 ▶소셜네트워킹 웹사이트인 Goibibo ▶온라인 버스 티켓팅 서비스인 Redbus 등 3개 브랜드의 성장을 강화할 계획이다. ▲메이크마이트립(MakeMyTrip) 로고
-
2022-01-12영국 전국의 2만개 제조회사들을 대표하는 산업단체인 메이크 UK(Make UK)에 따르면 2022년 브렉시트(Brexit)로 인해 제조 비용이 급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메이크 UK의 회원사들인 전국 대형 및 중소형 제조사들은 2022년 기업들의 최대 난제 중 하나로 관료주의를 꼽고 있다. 브렉시트로 인한 새로운 관세 규정으로 관세 서류작업의 양과 절차가 복잡해 공급망의 안정적인 운영을 더욱 저해할 것으로 우려한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와 브렉시트 여파가 기업들이 직면한 비용 상승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면서 당분간 혼란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메이크 UK(Make UK) 로고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