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law"으로 검색하여,
2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26▲ LS일렉트릭, 삼성물산 상사부문과 미국 BESS 사업 위한 합작사 설립[출처=LS일렉트릭]LS일렉트릭(회장 구자균, 사장 김종우)에 따르면 최근 자사 북미 투자법인 ‘LS ELECTRIC Investment(이하 LSE인베스트먼트)’ 출자를 통해 삼성물산 상사 부문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미국법인(Samsung C&T Renewables, LLC)이 개발 중인 500메가와트(MW) 규모의 BESS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합작회사(Joint Venture) ‘에너크레스트(EnerCrest, LLC)’를 설립했다.LS ELECTRIC(일렉트릭)은 삼성물산 상사 부문과 함께 미국 현지 에너지저장장치(BESS)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한 합작법인 설립을 마무리하고 현지 에너지 신사업을 본격화한다.LSE인베스트먼트는 2024년 11월 미국 델러웨어(Delaware)에 법인 등록을 마무리한 이후 ‘에너크레스트’에 대한 첫 출자를 시작으로 현지 에너지 신사업을 확대하고 있다.LS일렉트릭은 ‘에너크레스트’를 통해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삼성물산의 미국 500MW급 BESS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해 사업 가치를 극대화한다.이번 사업을 기반으로 일본과 유럽에 이어 북미로 ESS 전선을 넓히며 글로벌 ESS 종합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전략이다.특히 노후화된 송전·변전·배전 설비 확충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안정적인 계통연계 수요,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신규 전력망 구축 등을 추진한다.북미 전력 인프라 슈퍼사이클을 맞아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서 현지 투자법인을 활용해 미국 사업 현지화, 북미향(向) 솔루션 판매에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이다.
-
2024-10-23▲ 와이즈테크(WiseTech)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물류 소프트웨어 거대 기업 와이즈테크(WiseTech)는 CEO 리처드 화이트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인해 AU$ 60억 달러 손실을 기록했다.오스트레일리아 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ACCC)는 연방법원에 슈퍼마켓 체인 콜스(Coles)와 울워스(Woolworths)의 허위 가격 책정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다.Carter Capner Law와 GMP Law는 오스트레일리아 소비자법을 위반한 Coles와 Woolworths에 대한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이다.오클랜드 월워스(Woolworths New Zealand)는 반사회적 행동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영업 시간을 단축했다. 10월14일 이후 주 7일 오전 8시~오후 8시까지 영업한다.◇ 오스트레일리아 경쟁소비자위원회(ACCC), 슈퍼마켓 체인 콜스(Coles)와 울워스(Woolworths) 소송 제기오스트레일리아 물류 소프트웨어업체인 와이즈테크(WiseTech)는 최고경영자(CEO) 리처드 화이트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인해 AU$ 60억 달러 손실을 기록했다.투자자들은 11월22일 연례 주주총회를 앞두고 회사 가치를 60 억 달러 인하했다. 화이트의 추문으로 회사의 대외적 평판이 훼손됐으며 잠재적으로 악영항을 끼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오스트레일리아 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ACCC)는 연방법원에 슈퍼마켓 체인 콜스(Coles)와 울워스(Woolworths)의 허위 가격건 책정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다.콜스는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고 광고했으나 실제 세척 제품을 소비자에게 36% 더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 등 두 기업이 원래 선반 가격보다 높게 표시된 상품에 할인된 가격을 제공했다는 혐의다.데톨 포밍 핸드워시, 마스터푸드 매리네이드, 반려견 간식
-
▲ 삼양사가 일본에 수출하는 상쾌환(왼쪽)과 상쾌환 스틱 샤인머스캣맛[출처=삼양사]삼양그룹의 식품·화학사업 계열사 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2024년 10월1일(화요일)부터 일본 3대 편의점 중 하나인 ‘로손(Lawson)’에서 상쾌환과 상쾌환 스틱 샤인머스캣맛 등 2종을 판매한다.삼양사 숙취해소 브랜드 ‘상쾌환’이 일본 편의점 매대에 깔리면서 통관 규제로 까다로운 일본 오프라인 숙취해소시장을 진입하게 되어 고무적인 성과를 달성했다.일본 현지 시장에 적합한 성분을 조합해 출시한 상쾌환 스틱 샤인머스캣맛은 국내에서 시판되는 제품과 달리 일본에서 주요 숙취해소 성분으로 알려진 ‘우콘(강황추출물)’을 첨가했다. 삼양사는 2024년 3월 수출입 유통 역할을 담당하는 국내 합자회사 ‘하늘H&B’와 계약을 체결했다. 일본 현지 마케팅, 편의점 및 드럭스토어의 영업 활동은 ‘CENQUR’가 맡았다.2024년 5월 일본 대형 잡화점 ‘돈키호테’를 시작으로 7월 대형마트 ‘이온 홋카이도’, ‘라이프(LIFE)’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10월1일 일본 로손 편의점 1만 4000여 개점 중 약 1만 개점에 입점하게 됐다.이번 성과는 통관 절차상 규제가 까다로운 일본 오프라인 숙취해소 시장에 진출해 수출 활로를 확보한 점에서 의미가 깊다.특히 진입장벽이 높은 일본에서 세븐일레븐, 패밀리마트와 함께 현지 편의점 빅3로 불리는 로손에 입점한 것이 매우 고무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일본 숙취해소 시장은 ‘우콘노치카라’, ‘헤파리제’ 등과 같은 숙취해소 음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약 3500억 원 규모의 우리나라 숙취해소 시장보다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삼양사는 일본의 숙취해소시장 규모와 성장 가능성을 보고 판로 개척을 결심했다. 또
-
2024-09-10▲ 현대자동차 산타페[출처=현대자동차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교통부(Department of Transport)는 한국 현대자동차의 에어백 문제로 SUV 차량 2065대를 리콜하라고 명령했다. 제조상 결함으로 현대 산타페 차량의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은 2024년 9월9일 2025년부터 대기업의 의무적 기후 보고(Mandatory Climate Reporting) 요건을 도입하는 재무부 법률 개정안 법안(Treasury Laws Amendment bill)을 통과시켰다.뉴질랜드 울워스(Woolworths New Zealand) 슈퍼마켓 노동자들은 오후 12시부터 2시까지 전국매장에서 파업을 단행하기로 결정했다. 전국 190개 슈퍼마켓에서 수천 명이 항의 및 파업에 동참한다.◇ 오스트레일리아 교통부(Department of Transport), 한국 현대자동차 에어백 문제로 SUV 차량 2000대 이상 리콜 오스트레일리아 교통부(Department of Transport)에 따르면 한국 현대자동차가 에어백 문제로 SUV 차량 2000대 이상을 리콜했다.제조상의 결함으로 현대 산타페 차량의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교통부는 SUV 뒷좌석 아래의 에어백 배선 하네스가 적절하게 고정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이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서 좌석 조정으로 인해 손상되어 의도치 않게 전개되거나 뒷좌석 측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 사고 발생시 의도한 대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으면 차량 탑승자의 부상이나 사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따라서 교통부는 리콜 대상은 2024년형 산타페(MX5) 2065대 차량이며 영향을 받는 차량 소유자는 가까운 현대자동차 공식 딜러에 연락해 에어백 와이어 하네스를 무료로 검사하고 수리하도록 요구했다.오스트레일리아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은 20
-
일본 편의점브랜드인 로손(ローソン)에 따르면 2021년 6월 3일 신규 브랜드인 LAWSONマチの本屋さん를 개점할 예정이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자택 내의 시간이 늘어나며 서점 병설형 점포를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호점은 사이타마현의 사야마시(狭山市)에 위치한다. 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에 따르면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인 TSMC가 산업개발연구소에 고성능 컴퓨팅 구현 기술 공정 라인을 구축할 것을 채택했다. 포스트 5G 정보통신 시스템 기반 강화 연구개발사업의 첨단 반도체 기술 개발 부문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5건의 채택 사항이 결정됐다. 일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회사인 V-Cube(ブイキューブ)에 따르면 미국 미디어기업인 Xyvid를 인수 후 자회사화하기로 결정했다. 해당사는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소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온라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이벤트, 세미나 등의 생방송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V-Cube(ブイキューブ) 로고
-
2021-06-02일본 편의점브랜드인 로손(ローソン)에 따르면 2021년 6월 3일 신규 브랜드인 LAWSONマチの本屋さん를 개점할 예정이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자택 내의 시간이 늘어나며 서점 병설형 점포를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호점은 사이타마현의 사야마시(狭山市)에 위치한다. 통상 점포에서 취급하는 도시락과 음료 등 3500개 품목 외에도 약 9000종의 문고본 및 소설, 비즈니스서를 취급한다. 2024년까지 100개 점포를 운영할 계획이다.▲로손(ローソン) 점포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영국 정부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IoT) 장치의 보안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사이버 보안법을 제정할 계획이다. 스마트 워치에서 카메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터넷 연결 장치가 점점 더 많이 구매되고 있지만 사용자들이 이에 따른 위험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률(안)에 따르면 추측하기 쉬운 기본 암호를 가진 IoT 장치는 금지된다. 제조업체가 고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강제한다.특히 판매 시점에 각 고객에게 기기가 절실히 필요한 보안 업데이트를 받을 기간을 알리도록 강제한다. 또한 모든 제조업체는 고객이 결함이나 취약점을 쉽게 보고할 수 있는 연락처를 설정해야 한다.이와 같은 사이버 보안법의 제정은 사용자가 사이버 위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영국 정부의 로고
-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보 보안 전문기업인 알트론(Altron)에 따르면 R2억4500만랜드에 동종기업인 로트러스트(Lawtrust)를 인수할 예정이다. 로트러스트는 규정을 준수해 개인 정보를 암호화된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상업용 및 사내 암호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모기업은 기술그룹인 이션(Etion)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동통신사인 셀C(Cell C)에 따르면 2020년 12월 31일 마감 기준 연간 손실 및 일회성 비용 등이 R55억랜드로 집계됐다.1년 내내 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 연간 총 매출액은 138억랜드로 전년 151억랜드 대비 8% 감소했다. 반면 2020년 1분기 76억랜드의 손실을 냈던 것과 대조적으로 2021년 1분기에는 손실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다국적 전자상거래기업이자 기술기업인 아마존(Amazon)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아프리카 본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남아공 수도인 케이프타운(Cape Town)에 R40억랜드 규모의 River Club 복합용도 개발단지 내에 건설한다. 본사 건설 단계에서만 5239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아마존(Amazon) 로고
-
2021-03-23미국 앨라배마대(University of Alabama)에 따르면 차세대 법 집행(law enforcement) 통신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위험한 상황에서 민간인과 직접 상호 작용할 수있는 저렴한 로봇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보조금으로 지원되는 이 프로젝트는 터스컬루사 경찰국(Tuscaloosa Police Department)을 포함한 여러 법 집행 기관과 협력해 진행되고 있다. 카메라,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및 센서를 통해 사람들과 통신하도록 로봇을 설계하고 있다. 로봇은 원격으로 통신하는 경찰관과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관련된 민간인, 용의자 또는 다른 경찰관 사이의 교량 역할을 수행한다.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로봇이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법 집행 활동에 사용되는 로봇은 잠재적으로 수십만 달러의 비용이 들 수 있으며 특수한 상황으로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현재 기술에 비해 저렴한 로봇이 개발된다면 경찰서에서 훨씬 더 자주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까지는 기술보다는 비용 장벽이 존재하는 셈이다.▲ 앨라배마대(University of Alabam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1-20영국 정부 산하 방송통신규제기관인 오프콤(Ofcom)에 따르면 국내 최대 통신사인 BT가 230만명 이상의 고객들로부터 £6억파운드의 집단 소송에 직면했다.2017년 오프콤은 BT가 2009년 이후 8년 동안 상기 230만명 이상의 유선전화 고객들에게 부당하게 요금을 부과했다고 지적했다.유선전화 도매 가격이 25%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BT를 비롯한 주요 유선 사업체들이 유선전화 임대 수수료를 28~41%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BT는 통신시장의 리더로서 유선전화 요금을 부당하게 올린 것에 대해 강한 비난을 받고 있다. 만약 이번 집단 소송에서 고객이 승소하면 BT는 230만명 이상의 고객에게 각각 최대 500파운드를 지불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BT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