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관광업"으로 검색하여,
2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1-08▲ 홍해의 해양 관광업 홍보 이미지. [출처=사우디 홍해 당국(SRSA) 엑스(X) 계정] 2025년 1월8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정부 정책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경제개발국(ADDED)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사업 부문 등록 및 라이센스 위원회인 ADRA(Abu Dhabi Registration and Licensing Authority)의 운영을 개시했다.사우디아라비아 해양 규제기관인 사우디 홍해 당국(SRSA)에 따르면 2024년 동안 발급한 해양 사업 부문 라이센스는 28개로 집계됐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경제개발국(ADDED), 2025년 1월부터 사업 부문 등록 및 라이센스 위원회인 ADRA의 운영 개시아랍에미리트 샤르쟈 경찰청(Sharjah Police)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스마트앱을 통한 원격 차량 조사 서비스를 운영한다.아랍에미리트 차량 솔루션 기업인 라피드(Rafid Automotive Solution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운영되는 서비스이다.샤르자 지역 번호판을 받은 개인 차량의 조사 및 갱신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 기간이 최소 8년 미만이거나 지난 18개월 이내에 차량 조사를 실시한 차량은 제외된다. 라피드 앱을 통해 이용자는 원격 조사 서비스를 활성화해 직접 시설에 방문할 필요 없이 조사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경제개발국(ADDED)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사업 부문 등록 및 라이센스 위원회인 ADRA(Abu Dhabi Registration and Licensing Authority)의 운영을 개시했다.국내와 비금융 부문 경제자유구역 내의 사업 운영을 원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라이센스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관련 기관들과 협업할 계획이다.자금세탁방지(AML)와 금융 범죄 방지, 불법 단체 해결 등 법과 규정 준수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국내 사업체의 정보를 통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상업적 등록 운영과 라에센스 과정의 최적화, 규정 준수 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홍해청(SRSA), 2024년 동안 해양 사업 부문 라이센스 28개 발급사우디아라비아 해양 규제기관인 사우디홍해청(SRSA)에 따르면 2024년 동안 발급한 해양 사업 부문 라이센스는 28개로 집계됐다.라이센스를 발급해준 곳으로는 각각 △해양 관광 에이전트 8개 △정박지 운영업자 9개 △요트 전세 기업 3개△크루즈선 운영 기업 1개 등이었다.홍해의 해양 관광업 서비스 품질을 높이며 투자 환경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우디산 요트에 대한 첫번째 규제 프레임워크도 도입했다.
-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메트로 열차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5년 1월6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의 정부 정책과 통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2025년 대규모 주택개발 프로젝트를 승인했다.카타르 관광청(QT)에 따르면 2024년 관광업 매출액은 QAR 400억 리얄(US$ 109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 관광객 수는 약 500만명으로 2023년과 비교해 25% 증가했다.◇ 아랍에미리트 정부, 2025년 1월 AED 54억 디나르(US$ 15억 달러) 규모의 두바이 내 주택 프로젝트 승인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5년 1월 AED 54억 디나르(US$ 15억 달러) 규모의 두바이(Dubai) 내 주택 프로젝트를 승인했다.프로젝트에 따라 신규 주택 3004채를 건설해 지역별 주택 부문 복지의 범위에 속하는 시민에게 혜택을 부여할 계획이다.주택 대출 부문에는 리티파 시티(Latifa City)에서 1181채가 지원된다. 주택 보조금 부문에는 △Al Yalayis 5, 606채 △Wadi Al Amardi, 432채 △Al Awir 1, 398채 등이 지원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프로그램의 가정 복지 및 안정성을 강화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는 석윻산업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 경제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카타르 관광청, 2024년 관광업 매출액 QAR 400억 리얄(US$ 109억 달러) 기록카타르 관광청(QT)에 따르면 2024년 관광업 매출액은 QAR 400억 리얄(US$ 109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 관광객 수는 약 500만 명으로 2023년과 비교해 25% 증가했다.환대산업 부문의 2024년 숙박일수는 사상 처음으로 1000만 일을 기록했다. 관광산업 전반에 걸쳐 호황이 지속되고 있다.2024년 동안 카타르 국내에서 진행된 이벤트 수는 △비즈니스 이벤트 100건 이상 △엔터테인먼트 부문 120건 △스포츠 이벤트 80건 이상으로 집계됐다.전체 관광객의 41%는 걸프협력회의(GCC) 국가로 조사됐다. 국가별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영국 △독일 △미국 순으로 방문객이 많았다.
-
2024-12-17▲ 2024년 12월 사우디아라비아 관광업 국부펀드(PIF) 기업인 단 컴퍼니(Dan Company)는 건설 회사인 압둘모센 알 타미미 건설(Abdulmohsen Al-Tamimi Contracting Company)과 관광업 개발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단 컴퍼니 엑스(X) 계정]2024년 12월17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금융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사우디아라비아 단 컴퍼니(Dan Company)에 따르면 2024년 12월 관광업 개발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 연방세무청(FTA), 2024년 12월부터 관광객 대상 전자상거래 소매업 구매 부가가치세(VAT) 환금 시스템 출시아랍에미리트 연방세무청(FTA)에 따르면 2024년 12월부터 관광객을 대상으로 전자상거래 소매업 구매 부가가치세(VAT) 환금 시스템을 출시했다.디지털 전환과 결제 시스템 개선을 목적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기업인 플래닛(Planet)과 협업했다.2년 전인 2022년 개발된 관광객 대상의 디지털 VAT 환금 시스템을 더욱 개선하여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전자상거래 소매업체들을 시스템에 포함시켰다.관광객들은 시스템을 통해 쉽게 여권 확인과 구매 절차를 마무리하고 디지털 송장 형식으로 정보를 공유받을 수 있다. 물품 배달 혹은 온라인 주문이 완료된 이후 관광객의 신원 확인이 되면 VAT 환금 등록이 완료된다.◇ 사우디아라비아 단 컴퍼니(Dan Company), 2024년 12월 관광업 개발 프로젝트 계약 체결사우디아라비아 관광업 국부펀드(PIF) 기업인 단 컴퍼니(Dan Company)에 따르면 2024년 12월 관광업 개발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사우디아라비아 건설 회사인 압둘모센 알 타미미 건설(Abdulmohsen Al-Tamimi Contracting Company)과 함께 주력 관광지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알 아사(Al-Ahsa) 지역에 현지 환대산업 브랜드인 타우자 럭셔리 리조트(Tuaja Luxury Resorts) 산하의 고급 리조트 3곳을 건설한다.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2030년까지 관광객 1억5000만 명을 유치해 관광업의 국내총생산(GDP) 기여도를 6%~10% 사이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
▲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의 호텔 운영 전문 벤처 자회사인 Adeera(Hotel Management Company)의 로고. [출처=PIF 홈페이지] 2024년 12월1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부동산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경영 컨설팅 기업인 밸류스트랫(ValuStrat)에 따르면 2024년 11월 두바이 프라임 자산 거래 24건의 금액 규모는 AED 3000만디르함(US$ 820만달러) 이상으로 집계됐다.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에 따르면 2024년 12월부터 호텔 운영 전문 벤처인 Adeera(Hotel Management Company)의 운영을 개시했다.◇ 아랍에미리트 밸류스트랫(ValuStrat), 2024년 11월 두바이 프라임 자산 거래 24건의 금액 규모 AED 3000만 디르함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경영 컨설팅 기업인 밸류스트랫(ValuStrat)에 따르면 2024년 11월 두바이 프라임 자산 거래 24건의 금액 규모는 AED 3000만 디르함(US$ 820만 달러) 이상으로 집계됐다.두바이 내의 고급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고부가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두바이 부동산 부문의 연간 자본 이익에서 빌라는 31.9%, 아파트는 23.9%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11월 밸류스트랫의 가격 지수는 197.3포인트로 전월 대비 1.8% 상승했다. 2024년 8월 이후 월별 성장율은 둔화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 2024년 12월부터 호텔 운영 전문 벤처인 Adeera(Hotel Management Company) 운영 개시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에 따르면 2024년 12월부터 호텔 운영 전문 벤처인 Adeera(Hotel Management Company)의 운영을 개시했다.국내 환대 산업의 전문성과 산업 기준을 향상시켜 지속가능한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글로벌 환대 산업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 인력 창출 및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국제 수준의 새로운 사우디 호텔 브랜드를 구축할 계획이다.향후 호텔을 포함해 국내 관광업과 부동산 부문의 다양한 투자로도 확장해 국내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
▲ 2024년 4월 개최된 응오요 어업 문화 축제(Nwonyo International Fishing Festival) 중 카누 퍼레이드의 모습. 이번 행사는 14년 만에 재개된 것이었다. [출처=타라바(Taraba)주정부 엑스(X) 계정] 2024년 12월1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나이지리아의 통계와 정부 정책을 포함한다. 이집트 통계청(CAPMAS)에 따르면 2024년 11월 연간 소비자 가격 인플레이션율은 25.5%로 집계됐다.나이지리아 타라바(Taraba)주정부에 따르면 주내 관광업의 연간 매출 N 30억 나이라 창출을 목표로 정했다.◇ 이집트 통계청(CAPMAS), 2024년 11월 연간 소비자 가격 인플레이션율 25.5% 집계이집트 통계청(CAPMAS)에 따르면 2024년 11월 연간 소비자 가격 인플레이션율은 25.5%로 집계됐다.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낮았다.2024년 11월 주요 인플레이션율은 0.5% 인상됐다. 식품 가격이 2024년 10월 대비 2.8% 감소하며 그외 부문의 가격 상승을 상쇄한 것으로 판단된다.채소 가격은 12.4% 급락했으며 육류와 가금류 가격은 3% 낮아졌다. 반면 운송 부문 가격은 6.2% 상승했으며 문화 및 오락 서비스 산업 부문은 13.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주요 인플레이션은 2023년 9월 3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23년 10월 26.5%로 축소했다. 2022년 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며 이집트 국내의 인플레이션은 상승세를 보였다.◇ 나이지리아 타라바(Taraba)주정부, 관광업 연간 매출 N 30억 나이라 창출 목표나이지리아 타라바(Taraba)주정부에 따르면 주내 관광업의 연간 매출 N 30억 나이라 창출을 목표로 정했다. 수입원의 다양화와 주내 관광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주요 문화 및 생태계와 관련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타라바주에서 주최되는 주요 축제로는 응오요 어업 문화 축제(Nwonyo International Fishing Festival)와 페베 문화 축제(Febe Cultural Festival) 등이 있다.주정부는 관광업 전략의 일환으로 지역 내 호텔 투자와 투자자 유치 및 협업 등을 확장할 계획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완화된 이후 관광산업이 회복 중이기 때문이다.
-
2024-12-09▲ 22대 제주 서귀포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 공약 구분 [출처=iNIS]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제주특별자치도에서 1개월 정도 살아보자는 '제주 한달살기'가 유행이다. 육지와 다른 볼거리와 먹거리가 많은 것도 제주도의 매력이다.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편안하게 지낼 숙소를 구하고 섬 구석구석을 여행하는 묘미를 즐기려는 사람이 적지 않다.최근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2대 국회에 △제주도 전 연안 해양보호구역 지정 추진 △해양보호구역 지정 취지에 맞는 관리방안 법제화 △국가관할권 이원지역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이용 협정(BBNJ)의 조속한 국회 비준 등을 요구했다. 지역 토박이로 3선 도의원을 지낸 위성곤 의원은 20~22대 연이어 3선 고지에 올랐다. 2024년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주도 서귀포시 지역구 위성곤 의원(3선)이 제시한 선거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사회·문화 공약 75.3% vs 경제·과학기술 공약 19.1% 22대 3선으로 당선된 위선곤 의원은 89개 공약을 제시했으며 공약은 정치(행정)(5)·경제(산업)(16)·사회(복지)(41)·문화(교육)(26)·과학(기술)(1) 등으로 구성됐다. 사회(복지) 공약이 전체의 46.1%를 차지했으며 △문화(교육) 공약 29.2% △경제(산업) 공약 18.0% △정치(행정) 공약 5.6% △과학(기술) 공약 1.1%로 조사됐다. 위성곤 의원의 요소별 주요 공약은 다음과 같다. 정치(행정) 공약은 △내 손으로 뽑는 서귀포시장 △여성농어업인의 지위향상을 위한 입법 추진 △제주4·3 왜곡·폄훼 처벌 △군기지 이전 장기계획 수립 △행정서비스 개선(통·반 분리) 등 5개다. 경제(산업) 공약은 △농산물 가격안정제 도입 △농업 수입 보장보험 확대 △하원 테크노밸리 산업단지 조성 △기후위기대응 스타트업 100곳 육성 △기존 고금리 대출 저금리 전환 지원 확대 △농기계 지원 및 대여 2배 확대 △감귤 경쟁력 강화 △명품 마늘산업 육성 △제주감귤가공수출단지 △월동무 특구 등 16개다. 사회(복지) 공약은 △서귀포의료원 의료역량 강화 △24시간 어린이전문병원, 공공요양병원 건립 △제주도민 항공료 반값 △공공추진사업 및 청년채용 시 시민 우선권 부여 △청소년 하고 싶은 거 ‘다 해 센터’ 건립 △제주 청년 기본소득 연 100만 원 도입 △아이 돌봄 국가 무한책임 보장 △여성 근로환경 개선법 제정 추진 △관내 산부인과·소아과 확충 △원도심 재개발 추진 △청소년문화센터 건립 등 41개다. 문화(교육) 공약은 △서귀포시민대학 설립 △동지역·읍면별 파크골프장 추가 건설 △제주대 교육경쟁력 강화 △웰니스·워케이션 활성화로 관광객 유치 △문학인의 집, 예술인 회관 건립 △반려동물 보건소 확대 및 동물복지 개선 △송악산-평화대공원 관광벨트 조성 △체류관광 활성화 △관광 활성화 및 국제(카페)축제 추진 △해양치유센터 웰니스관광 활성화 등 26개다. 과학(기술) 공약은 UAM(도심항공교통) 기반 구축 등 1개뿐이다. 농어업이 중심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했던 고기철도 과학기술 공약을 1개도 제시하지 않았다. 고기철 후보가 제시한 공약은 41개며 정치(행정)(5)·경제(산업)(13)·사회(복지)(12)·문화(교육)(11)·과학(기술)(0)등으로 구성됐다. 다음으로 △경제(산업) 공약은 31.7%를 차지했으며 △사회(복지) 공약 29.3% △문화(교육) 공약은 26.8% △정치(행정) 공약 12.2% △과학(기술) 공약 0.0%를 집계됐다. ◇ 다수 공약이 모호해 구체적인 실행계획 없으면 달성 불가능▲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의 제주도 서귀포시 평가 결과 [출처=iNIS]위성곤 의원의 공약을 국정연이 개발한 갑옷(ARMOR), 즉 달성 가능성(Achievable)·적절성(Relevant)·측정 가능성(Measurable)·운영성(Operational)·합리성(Rational) 지표를 적용해 평가했다. 간략한 내역과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달성 가능성은 4년 임기 내에서 완료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공약 중 기후위기대응 스타트업 100곳 육성, 24시간 어린이전문병원, 공공요양병원 건립, 제주대 교육경쟁력 강화를 분석했다.기후위기대응 스타트업 육성은 구체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할 솔루션을 개발할 스타트업을 100개 설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서귀포나 제주도에서 청년이 창업하기 어려운 환경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어린이전문병원과 공공요양병원도 열악한 의료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저출산으로 서울시 등 대도시에서도 어린이전문병원의 운영이 불가능한 실정이다.제주도의 교육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대 수준으로 집중 투자하는 것도 쉽지 않다. 예산을 확보해 건물과 같은 캠퍼스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은 쉽지만 교수와 학생의 질적 향상, 우수 강의교안의 개발 등은 예산 투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애초부터 달성이 불가능한 목표를 수립한 셈이다.적절성은 공약이 제주도 서귀포시 지역구의 다양한 여건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지표이며 농산물 가격안정제 도입,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공시제도 도입, 문학인의 집 및 예술인 회관 건립과 맞춤형 임대아파트 건립을 적용했다.농산물 가격안정제는 농촌과 농민을 보호하고 식량안보를 위해 필수적인 정책이며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업협동조합의 역할이다. 하지만 해방 이후 정부는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키는 임무에 충실하지 못해 농민은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성별 임금격차 해소는 양성평등 뿐 아니라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지만 기업의 적극적인 호응이 요구된다.예술에 대한 관심이 부족해 예술인의 생활 수준이 악화되고 있어 예술 관련 건물의 신축, 임대아파트 건립도 수요자의 입장을 배려해야 만족도가 높아진다. 예술은 단기적인 상업적 이익이 아니라 장기적 사회자본(social capital) 측면에서 접근해야 성숙한 사회를 구현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측정 가능성은 공약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군기지 이전 장기계획 수립, 관광 활성화 및 국제(카페)축제 추진, 여성 근로환경 개선법 제정 추진, 원도심 재개발 추진으로 판단했다. 군기지의 이전을 위한 장기계획 수립은 형식적으로 가능하겠지만 완료를 판단하기는 불가능하다. 제주해군기지는 안보 측면에서 이전 자체가 불가능하다.관광활성화는 제주도의 관광업이 코로나19 종료 이후 타격을 받고 있어 지역경제를 위해 필요한 공약이다. 바가지 상혼이나 불친절 등을 이유로 일본이나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리는 국민이 많아졌다. 각종 문제점을 해결한다고 해도 관광업 자체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할 기준을 제시해야 완료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여성의 근로환경을 개선할 법 추진은 위성곤 의원이 제안할 수는 있겠지만 본회의를 통과할지는 미지수다. 21대를 기준으로 보면 국회의원이 발의한 법안의 통과율이 10~20%대로 낮다. 원도심 재개발 추진도 낙후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지만 어디까지가 추진됐다고 볼 것인지 모호하다.운영성은 행정조직과 공무원이 공약을 실천할 역량과 조직체계를 구축·운영했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웰니스(wellness)·워케이션(workcation) 활성화로 관광객 유치, 체류관광 활성화, UAM(도심항공교통) 기반 구축, 관내 산부인과·소아과 확충으로 파악했다.웰니스, 워케이션으로 방문 목적 다양화하게 만들면 관광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웰니스와 워케이션의 목적지로 제주도를 선택하는 것은 여행격의 몫이다. 웰니스는 웰빙(well-being)과 행복(happiness), 건강(fitness)의 합성어로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상태를 의미한다.제주도 상인의 불친절, 비싼 가격을 해결하지 않으면 방문자의 웰니스 확보는 불가능해진다. 워케이션도 코로나19 기간 동안 잠깐 유행하다가 사무실 출근이 본격화되면서 사그라들었다. 잠깐 관심의 초점을 받는 유행보다는 본질적인 핵심(core)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UAM 기반의 구축은 2024년 6월 현재 기체 개발조차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미국이나 독일에서 개발된 기체를 도입하겠다지만 해당 국가에서도 UAM은 아직 개발단계에 머물러 있어 상업 운행은 언제 이뤄질지 모른다. 합리성은 공약이 주민자치를 실현하고 주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며 동지역·읍면별 파크골프장 추가 건설, 수어교육센터·점자도서관 설치, 반려동물 보건소 확대 및 동물복지 개선, 동물 학대자 사육 금지 명령제 도입으로 결정했다. 이들 공약도 합리적이라고 보는 어렵다. 종합적으로 위성곤 의원의 선거공약은 낙후된 서귀포 경제를 살리고 관광업 육성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산물 가격안정제나 예술인 보호도 시급한 과제이지만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공약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선거공약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5G는 오곡(五穀·다섯 가지 곡식), 밸리(Valley)는 계곡을 의미한다. 문명은 ‘오곡백과’가 풍성한 계곡에서 탄생해 발전했기 때문에 국가·지자체가 번성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
2024-12-02▲ 22대 더불어민주당 제주갑 문대림 의원 주요 공약 [출처=iNIS]이국적인 자연풍광을 자랑하는 제주특별자치도는 2006년 출범한 이후 자립경제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지난 18년 동안 주력산업인 관광업이 주변 환경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은 것도 요인 중 하나다.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기간 동안 해외 여행이 어려워지며 제주도에 대한 선호도가 급상승했지만 바가지 상술, 비싼 요금, 낮은 서비스의 질, 불친절 등 고질병이 재발하며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휴가철 방문지로 제주도 대신에 일본과 동남아시아 국가로 눈을 놀리는 여행객이 늘어나고 있다.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 문대림 의원은 도의원과 청와대비서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 등을 거치며 성장했다. 2024년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주도 제주시갑 지역구 문대림 의원(초선)이 제시한 선거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정치·사회·문화 공약 78.9% vs 경제·과학기술 공약 21.1% 22대 초선으로 당선된 문대림 의원은 52개 공약을 제시했으며 공약은 정치(행정)(7)·경제(산업)(11)·사회(복지)(30)·문화(교육)(4)·과학(기술)(0) 등으로 구성됐다. 사회(복지) 공약이 전체의 57.7%로 가장 많았으며 △경제(산업) 공약 21.1% △정치(행정) 공약 13.5% △문화(교육) 공약 7.7% △과학(기술) 공약 0.0% 순이었다. 문대림 의원(22대, 초선)의 요소별 주요 공약은 다음과 같다. 정치(행정) 공약은 △관광기본권을 국민의 권리로 법제화 △해양수산부 권한 이양을 통한 실질적 해양 자치권 확보 △인구감소 지원 특별법에 제주도를 포함 관련 법안 개정 △제주교도소 이전 추진 △지역주민 상생 및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4·3보상 대상 확대 및 유족 보상금 지급 등 4·3특별법 개정 등 7개다. 사회(복지) 공약은 △결혼-출산-양육 드림(Dream)패키지 △수요자 중심의 사회복지· 보건의료 · 사회 서비스 근거 및 참여기반 마련 △비정규직 노동기본권 보장, 노조법 제2·3조 즉시 개정 △성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관련 법·제도 마련 △1일 생활권 유지를 위한 해상교통권 확보 △제주공항 소음에 따른 사유재산권 피해 현실화 지원과 피해보상 체계 개정 추진 △상급종합병원 지정 및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 지원 등 30개다. 문화(교육) 공약은 △펫푸드, 펫헬스케어, 펫서비스, 펫테크 4대 주력산업 육성 근거 마련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치유관광 및 스마트관광 등) △산림 및 해양치유 체험관광 인프라 구축 △복합체육관 및 체육복합단지 조기 조성 지원 등 4개다. 경제(산업) 공약은 △농산물 공영도매시장 및 농산물 가공유통센터 개설 지원 △제주형 제조업 및 6차산업 활성화 △전통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상권 활성화 재단 설립 지원 △원도심 맞춤형 특화 거리 조성 지원 △제주미래농업센터 설립 지원 △농산물 공영도매시장 설립 지원 △섬 지역 수산직불제 현실화 △친환경 축산업 도입 지원 등 11개다. 과학(기술) 공약은 1개도 없다. 문대림 의원과 경쟁한 국민의힘 고광철 후보가 △ICT, 항공우주 등 신성장 첨단기업 유치 △제주 관광형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 지역 조성과 같은 공약을 제시한 것과 비교된다. 신성장 첨단기업 유치나 UAM 상용화가 가능할지는 미지수이지만 도입하려는 의지를 나쁘지 않다.참고로 고광철 후보는 53개 공약을 제안했으며 정치(행정)(5)·경제(산업)(9)·사회(복지)(25)·문화(교육)(12)·과학(기술)(2)등으로 구성됐다. 요소별로는 △사회(복지) 공약이 전체의 47.2%를 차지했으며 △문화(교육) 공약 22.6% △경제(산업) 공약 17.0% △정치(행정) 공약 9.4% △과학(기술) 공약 3.8%로 나타났다. ◇ 지역 실정 반영한 공약이 다수지만 구체성·합리성 부족▲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의 제주갑 평가결과 [출처=iNIS]문대림 의원의 공약을 국정연이 개발한 갑옷(ARMOR), 즉 달성 가능성(Achievable)·적절성(Relevant)·측정 가능성(Measurable)·운영성(Operational)·합리성(Rational) 지표를 적용해 평가했다. 간략한 내역과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달성 가능성은 국회의원 임기 내에 완료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관광기본권을 국민의 권리로 법제화, 제주 미래산업 육성(기회 및 분산특구지정 지원), 친환경 축산업 도입 지원, 1일 생활권 유지를 위한 해상교통권 확보 등을 선정했다. 관광기본권 2019년 아시아태평양도시관굉진흥기구(TPO)에서 처음 선언되었으며 2022년 서울시가 관련 조례를 제정했지만 아직 법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관광기본권은 '인간의 존엄과 행복을 추구할 권리로 관광할 권리'로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열린 여행으로 관광할 권리를 말한다. 아직 관광 인프라의 수준이 낮아 법 제정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산업 육성은 기회 및 분산특구를 지정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구상인데 달성 가능성이 높지 않다. 하원테크노캠퍼스지구를 기회발전특구 지정해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첨단미래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것이지만 우주산업의 기반이 없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분산특구는 한국전력이 독점하고 있는 전력판매를 동네 발전소도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며 관련 기업을 입주시키겠다는 구상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면 기업, 인력 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 한전은 제주도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한 후 2025년 전국으로 확산할 계획이지만 사업성은 높지 않다. 적절성은 공약이 제주갑 지역구의 다양한 여건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지표이며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치유관광 및 스마트관광 등), 산림 및 해양치유 체험관광 인프라 구축, 제주미래농업센터 설립 지원, 섬 지역 수산직불제 현실화 등을 대상으로 삼았다. 제주의 주력 산업이 관광업이라 관광객을 늘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치유관광, 스마트관광, 체험관광 등과 같은 새로운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면 관광진흥이 가능해진다. 치유관광만 보더라도 어떤 질병에 도움이 되는지, 어떤 치료법을 제안할 것인지 등이 명확해야 타겟마케팅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수산직불제는 어업인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 지급하는 보조금이며 10년 이상 지속적으로 어촌계원 자격을 유지하고 어촌계를 통해 소득을 증명할 수 있는 어촌계원이어야 한다. 제주시는 6월28일까지 수산공익직불제 신청을 받고 80~130만 원 지원할 예정인데 얼마가 현실적인 금액인지는 명확하지 않다.측정 가능성은 공약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지역주민 상생 및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제주형 제조업 및 6차산업 활성화, 수요자 중심의 사회복지·보건의료·사회 서비스 근거 및 참여기반 마련 등을 분석했다. 지역주민이 상생할 수 있는 거버넌스는 구체적인 구성 원칙, 운영방향 등을 제시해야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주형 제조업이라는 용어 자체가 모호하며 정의되어 있지 않다. '광주형' 일자리라는 단어가 사용된 이후에 다양한 아류작이 나왔지만 명확하게 성공한 모델은 없다. 사회복지나 보건의료는 공급자 중심이 아니라 수요자의 어떤 요구를 반영할지 명확해야 만족도가 높아진다. 운영성은 행정조직과 공무원이 공약을 실천할 역량과 조직체계를 구축·운영했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전통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상권 활성화 재단 설립 지원, 결혼-출산-양육 드림(Dream) 패키지, 펫푸드, 펫헬스케어, 펫서비스, 펫테크 4대 주력산업 육성 근거 마련 등을 고려했다전통시장을 살리겠다는 취지는 좋지만 공무원이 주도해 성공한 사례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2000년대 초 전자상거래 도입 이후 오프라인 전통시장이 붕괴되기 시작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가속화됐다. 반려인의 숫자가 증가하며 펫산업이 확장 중이지만 제주의 여건에 부적합하다.합리성은 공약이 주민자치를 실현하고 주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며 성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관련 법·제도 마련, 복합체육관 및 체육복합단지 조기 조성 지원, 제주공항 소음에 따른 사유재산권 피해 현실화 지원과 피해보상 체계 개정 추진 등으로 파악했다.임금격차는 우리나라 기업의 고질병이며 특히 동일 노동을 하는 여성에 대한 임금 차별은 심각한 실정이다. 인권신장,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이므로 매무 합리적인 제안이다. 제주공항 주변 주민의 소흠 피해에도 합당하는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적으로 문대림 의원의 선거공약은 국정연이 평가하는 5가지 영역 중 대부분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지 못했다. 도의원직을 수행하며 지역 실정에 적합한 공약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겠지만 공약의 달성목표나 추진 방안 등이 구체적이지 않거나 한정된 예산의 합리적인 배분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았다.⋇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ARMOR)=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선거공약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5G는 오곡(五穀·다섯 가지 곡식), 밸리(Valley)는 계곡을 의미한다. 문명은 ‘오곡백과’가 풍성한 계곡에서 탄생해 발전했기 때문에 국가·지자체가 번성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
[아랍에미리트] 2024년 9월 1주차 경제동향...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 미국 석유회사인 엑스모빌(ExxonMobil Corporation)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2024-09-24▲ 아랍에미리트 국영석유회사인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에 따르면 미국 석유회사인 엑스모빌(ExxonMobil Corporatio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ADNOC 홈페이지] 2024년 9월 1주차 아랍에미리트 경제는 통계와 광업, 정부 정책, 건설 등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부동산 개발 회사인 DAMAC 자산(DAMAC Properties)에 따르면 라스알카이마(Ras Al Khaimah)의 해변가에 고급 부동산 프로젝트인 '쇼어라인(Shoreline)'을 시작할 계획이다.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비즈니스 및 관광산업 위원회인 DET(Department of Economy and Tourism in Dubai)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두바이 관광객 수는 1062만명으로 전년 동기간 983만명과 비교해 8% 증가했다.헝가리 저가항공사인 위즈항공(Wizz Air)에 따르면 2025년 6월2일부터 이탈리아 밀라노(Milan)에서 아랍에미리트 수도 아부다비(Abu Dhabi)까지의 직항노선을 운영할 계획이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석유회사인 드래곤 오일(Dragon Oil Holdings LLC)에 따르면 투르크메니스탄 수도인 아시가바트(Ashgabat)에 새로운 지역 거점을 오픈했다.해외 지역 거점 중 가장 규모가 크다. 25년 이상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운영하며 석유 및 가스 부문 투자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현재 투르크메니스탄 내 석유 생산량은 약 6만 배럴이다. 2029년까지 블루수소(Blue Hydrogen) 산업 개발 등 투르크멘 시장의 투자를 늘릴 방침이다.드래곤 오일은 2025년 말까지 운영 국가의 석유 총생산량을 기존 1일 18만 배럴에서 25만 배럴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두바이 경찰청(Dubai Police)은 네덜란드 경찰청(Dutch National Police)이 스마트 경찰서인 SPS 위트레흐트(SPS Utrecht)를 창설하는데 협력했다고 밝혔다.두바이 경찰청(Dubai Police)은 스마트 경찰서 컨셉을 해외에 수출하는데 네덜란 경찰청이 2번째 글로벌 사례다. 양측은 보안, 범죄 예방, 지식 교류 등의 분야에서 협업하고 있다.스마트 경찰서는 사람이 없어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며 1일 24시간 운영한다. SPS 위트레흐트에는 다양한 지역 및 보안 서비스와 함께 범죄 신고 서비스도 제공한다.SPS 위트레흐트는 위트레흐트의 중심지이자 교통 허브인 위트레흐트 중앙역(Utrecht Central Station)에 위치한다.참고로 위트레흐트는 위트레흐트주의 주도로 네덜란드에서 4번째로 큰 도시다. 2024년 6월 말 기준 인구 수는 37만 명 이상이다.▲ 아랍에미리트 부동산 개발 회사인 DAMAC 자산(DAMAC Properties)의 고급 부동산 프로젝트인 '쇼어라인(Shoreline)'의 이미지. [출처=DAMAC 자산 홈페이지]○ 아랍에미리트 다국적 물류회사인 두바이 포츠 월드(DP World)에 따르면 2024년 7월 제벨알리항(Jebel Ali Port)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140만TEU(20피트 분량 컨테이너)로 월별 최고치를 기록했다.2015년 기록을 깨며 월별 컨테이너 처리량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상반기 컨테이너 처리량은 730만TEU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3.9% 증가했다.주요 아시아 시장인 중국, 일본, 대한민국의 수입 화물 물량 흐름이 강세를 보이며 컨테이너 교통량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현재 진행 중인 제벨알리자유구역(Jafza)의 확장 공사도 제벨 알리 항구의 글로벌 컨테이너 교통 향상에 도움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랍에미리트 부동산 개발회사인 DAMAC 자산(DAMAC Properties)에 따르면 라스알카이마(Ras Al Khaimah)의 해변가에 고급 부동산 프로젝트인 '쇼어라인(Shoreline)'을 시작할 계획이다.공사 위치는 알 마르잔 섬(Al Marjan Island)의 아일랜드 4(Island 4)로 17층 규모의 고급 아파트다. 바닷가와 접근성이 높으며 5성급 리조트 시설을 제공할 방침이다.건축 디자인은 프랑스의 현대미술 브랜드인 바볼렉스(BABOLEX)와 협업한다. 양측의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은 이번이 두번째이다.○ 아랍에미리트 국영석유회사인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에 따르면 미국 석유회사인 엑스모빌(ExxonMobil Corporatio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협업을 통해 미국 텍사스주 베이타운(Baytown)에 저탄소 수소와 암모니아 생산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ADNOC는 해당 시설의 지분 35%를 보유한다.미국 내에서 생산된 천연가스에서 이산화탄소(CO2)를 98%까지 제거해 탄소 중립에 거의 가까운 저탄소 수소를 1일 10억 큐빅피트까지 생산할 계획이다.저탄소 암모니아 생산량은 연간 100만 톤(t) 이상으로 전망된다. 2025년 최종투자결정(FID)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9년부터 스타트를 시작할 예정이다.이번 전략적 투자는 저탄소 에너지원을 넓히고 저탄소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지원해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비즈니스 및 관광산업 위원회인 DET(Department of Economy and Tourism in Dubai)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두바이 관광객 수는 1062만 명으로 전년 동기간 983만 명과 비교해 8% 증가했다.월별 관광객 수는 △1월 177만 명 △2월 190만 명 △3월 151만 명 △4월 150만 명 △5월 144만 명 △6월 119만 명 △7월 131만 명으로 각각 집계됐다.해외 관광객 중 서유럽 국가 방문객 수는 약 208만6000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20%를 차지했다. 2위는 남아시아 국가로 방문객 수는 184만8000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17%를 점유했다. 3위인 걸프협력회의(GCC)의 방문객 수는 153만7000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14%였다.▲ 헝가리 저가항공사인 위즈항공(Wizz Air)의 항공기 기체. [출처=위즈항공 엑스(X) 계정] ○ 아랍에미리트 수도 및 전기공사인 에티하드WE(EtihadWE)에 따르면 AED 4억2200만 디르함(US$ 1억1490만 달러)를 투자해 새로운 시설 4곳을 개설했다.북부 에미레이트의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목적으로 전기와 수도 인프라시설의 기능을 확충하고 서비스 지역을 확장했다.북부 지역의 지역 개발 및 인구 증가로 인한 시설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아랍에미리트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제 다각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새로운 수도 및 전기시설들은 현장에 사람이 없어도 가동해 운영 유연성을 높였다. 정부의 전국 수자원 전략 2036(National Water Strategy 2036)의 연장선으로 수자원 보안과 지속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헝가리 저가항공사인 위즈항공(Wizz Air)에 따르면 2025년 6월2일부터 이탈리아 밀라노(Milan)에서 아랍에미리트 수도 아부다비(Abu Dhabi)까지 직항노선을 운영할 계획이다.해당 직항노선은 새로 도입하는 에어버스 A321XLR(Airbus A321XLR) 기체로 운영된다. 운항 효율성을 높여 저가의 장기간 운항 노선을 도입할 수 있었다.항공권 예매는 현재 위즈항공 홈페이지와 공식 앱을 통해 가능하다. 위즈항공은 최근 아부다비에서 몰도바 수도인 키시너우(Chisinau)와 루마니아의 클루지나포카(Cluj) 직항노선의 운항을 시작했다.
-
2024-09-24▲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도심 전경 [출처=위키피디아]2024년 9월 1주차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는 정부 정책과 통계를 포함한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통신사인 SPA(Saudi Press Agency)에 따르면 2024년 9월4일부터 호텔 운영을 위한 상업적 활동 라이센스 취득 비용을 없앤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공장 및 산업 시설 수는 1만1549개로 2016년 7206개와 비교해 60% 급증했다.2023년 행정 지역 중 산업 시설이 가장 많은 곳은 수도인 리야드(Riyadh)로 공장 수는 4502개로 집계됐다. 비전 2030(Vision 2030)에 따라 정부는 2035년까지 글로벌 상위 15위 안에 드는 산업 허브로 전환하고자 한다.2022년 공개된 국가산업전략(National Industrial Strategy)은 2034년까지 국내 공장 시설 수를 3만6000개로 3.5배 늘리는 목표를 포함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통신사인 SPA(Saudi Press Agency)에 따르면 2024년 9월4일부터 호텔 운영을 위한 상업적 활동 라이센스 취득 비용을 없앤다.국내 관광업 투자 활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2024년 3월부터 진행한 TIEP(Tourism Investment Enabler Program)의 일환이다.세계적인 관광 선도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향후 관광업의 투자를 향상해 국내총생산(GDP) 기여도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비전 2030(Vision 2030)은 국내 경제의 현대화와 석유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제 다각화를 위해 편성된 예산은 US$ 8000억 달러 이상이다.
-
▲ 아랍에미리트 국영 인공지능(AI) 개발기업인 G42에 따르면 미국 IT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함께 수도 아부다비(Abu Dhabi)에 AI센터 2개를 설립할 계획이다. [출처=G42 홈페이지] 2024년 9월 3주차 아랍에미리트 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항공,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해외직접투자 유치기관(Sharjah FDI Office)에 따르면 세계 처음으로 인공지능(AI)에 의한 상업적 라이센스를 발행한다.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여름 시즌의 운항 일정에서 주요 유럽 지역의 노선 운항을 2배로 늘린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해외직접투자 유치청(Sharjah FDI Office)에 따르면 세계 처음으로 인공지능(AI)에 의한 상업적 라이센스를 발행한다.이번 계획은 샤르자 출판자유구역(SPCFZ)과 미국 IT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의 협업으로 진행됐다.자동화 시스템과 디지털 데이터로 주도되는 경제 부문을 보조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국내 투자 환경을 향상하고 투자 과정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인공지능(AI) 개발기업인 G42에 따르면 미국 IT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수도 아부다비(Abu Dhabi)에 AI센터 2개를 설립할 계획이다.2024년 초 발표된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양사의 AI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첫 번째 센터는 AI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산업 기준과 관례를 설정하고 개발한다.두번째 센터는 주요 사회 목표를 다루는 AI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연구 기관인 AI 포 굿 리서치 랩(AI for Good Research Lab)의 확장이기도 하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여름 시즌의 운항 일정에서 주요 유럽 지역의 노선 운항을 2배로 늘린다. [출처=에티하드 항공 엑스(X) 계정] ○ 아랍에미리트 관공서인 두바이 경제 관광청(DET)에 따르면 환대 사업 기업인 이마르 호스피탈리티 그룹(Emaar Hospitality Group)과 관광 부문 협업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협업은 두바이 관광 부문의 홍보와 프로모션 향상, 관광 상품 개발, 관광 부문 교육과 시설 구축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한다.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두바이 관광객 수는 1062만 명으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8% 증가했다. 2023년 관광객 수는 1715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여름 시즌의 운항 일정에서 주요 유럽 지역의 노선 운항을 2배로 늘릴 계획이다.아랍에미리트의 관광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의 밀라노 및 로마 등 주요 유럽 지역의 운항 횟수와 빈도를 높였다.유럽 외에도 여름 시즌 동안 인도네시아 발리,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운항 횟수도 늘릴 계획이다. 비즈니스 여행객을 대상으로 오후 시간대의 노선도 운영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