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세계보건기구(WHO), 중국인 성인의 약 28%가 흡연인구로 연간 100만 명·담배관련 질환으로 사망 및 간접흡연으로 10만 명 사망
중국 베이징시는 2015년 6월 사업소, 음식점, 호텔, 병원 등에서 엄격한 금연 조례 발표
중국 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는 지난 11월21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WHO회의에서 공공장소 내 흡연규제를 중국 전역에 실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 내 발표 및 시행할 수 있는 법적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약 20개 도시에서 공공장소에서 금연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 성인인구의 약 28%가 흡연 인구로 세계최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성인 남성의 약 50%가 흡연 중독자이다.
세계 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중국인이 담배 질환과 관련해 연간 100만 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간접 흡연으로 약 10만 명이 사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 베이징시는 2015년 6월 사업소, 음식점, 호텔, 병원 등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엄격한 금연 조례를 발표했다. 위반 시설에 대해서는 최대 1만 위안의 벌금을 부과하게 된다.
상하이시는 2016년 11월 둘째주에 실내 전면 금연, 버스정류장과 학교의 야외, 경기장 등 공공시설 등에서 금연하는 담배 규제조례를 개정했다.
하지만 중국 국유기업인 국가연초전매국의 2015년도 세입은 1조1000억 위안으로 2014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중국 담배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다. 또한 중국이 세계 최대 담배 생산국이자 수입국이기도 하다.
따라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금연정책의 영향으로 세수감소뿐만 아니라 담배를 생산하는 농민공의 소득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China_NHFPC(National Health and Family Planning Commission)_Homepage 2
▲중국 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 홈페이지
2016년 내 발표 및 시행할 수 있는 법적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약 20개 도시에서 공공장소에서 금연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 성인인구의 약 28%가 흡연 인구로 세계최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성인 남성의 약 50%가 흡연 중독자이다.
세계 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중국인이 담배 질환과 관련해 연간 100만 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간접 흡연으로 약 10만 명이 사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 베이징시는 2015년 6월 사업소, 음식점, 호텔, 병원 등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엄격한 금연 조례를 발표했다. 위반 시설에 대해서는 최대 1만 위안의 벌금을 부과하게 된다.
상하이시는 2016년 11월 둘째주에 실내 전면 금연, 버스정류장과 학교의 야외, 경기장 등 공공시설 등에서 금연하는 담배 규제조례를 개정했다.
하지만 중국 국유기업인 국가연초전매국의 2015년도 세입은 1조1000억 위안으로 2014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중국 담배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다. 또한 중국이 세계 최대 담배 생산국이자 수입국이기도 하다.
따라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금연정책의 영향으로 세수감소뿐만 아니라 담배를 생산하는 농민공의 소득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China_NHFPC(National Health and Family Planning Commission)_Homepage 2
▲중국 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 홈페이지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