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지방자치평가] 2000년 역사가 부끄러운 300만의 인천, 정체성 확보가 우선이다(3)
수도권에 위치해 지방정치보다는 중앙정치에 관심을 가져 자치행정 서비스 질 개선에 관심없어, 인재 유치와 육성전략이 없이는 성장잠재력 확충 불가능해
▶ 소박한 청사에 감동 받았지만 역량부족에 실망해
종합평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지방자치행정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5G Valley Model’을 적용해 인천시의 자치행정을 평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 오곡밸리모델로 평가한 인천시 자치행정
인천시 자치행정은 10점 만점에 평균 2점 수준으로 낙제점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광역자치단체로서 존재가치가 있는 것인가라는 의문점이 들게 만들었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 5개 영역이 10점 만점에 2점으로 세금을 투입해 유지할 필요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평가한 세부 내역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는 보수정당 출신 시장이 장기간 행정을 장악하면서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 토착세력이 발호해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했다.
지역 공무원과 주민도 ‘어차피 소용없다’는 패배의식에 빠져 무능한 지역 정치인을 단죄하는데 실패했다. 중앙정치만 쳐다보는 지역 정치인들은 정작 인천시 자치행정 서비스의 질에는 관심이 없었다.
둘째, 경제는 개항 이후 100년 이상 수도 서울의 관문역할을 수행했지만 정작 지역적 산업기반을 갖추는 데는 실패했다. 일자리가 없어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이 인구의 3분의 1을 넘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정책은 선거 때만 부르는 유행가에 불과해 개선될 가능성은 낮다. 송도국제도시도 투기꾼의 활동무대에 불과하고 전형적인 베드타운으로 전락한지 오래다.
셋째, 사회는 인구는 300만명에 달할 정도로 큰 규모이지만 신도시와 구도심과의 생활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기존 지역 정치인들 중에서 부패와 행정 부실에서 자유로운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사회적 기반은 약화됐다. 허약해진 사회체질로 재도약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넷째, 문화는 2000년 고도라는 이미지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정말 아무것도 없다는 표현이 적절하다. 개항 이후 수많은 근∙현대 문화유산을 쌓았지만 진면목을 보지 못한 행정가와 지역주민들로 인해 콘크리트 교량에 불과한 인천대교를 문화적 상징물로 내세워야 하는 서글픈 처지로 전락했다.
다섯째, 기술은 행정 편의에 의해 추진한 남동공단, 부동산 투기장으로 전락한 송도국제도시 모두 본연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대학도 제대로 없고, 젊은 엔지니어를 포용할 국가산업단지도 제구실을 다하지 못해 도시의 장기적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은 꿈꾸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2000년의 역사와 동북아 최대 무역항으로 군림했던 인천시의 지방행정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오곡밸리모델’로 평가하면 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의 영역에서 모두 낙제점을 기록했다.
인재와 돈을 빨아들이는 블랙홀 주변이라는 지리적 취약점이 존재하고 있지만 스스로 지방자치행정의 비전(vision)과 방향(direction)을 정립할 의지를 표명한 적도 없었다.
수십 층에 달하는 현대식 건물로 청사의 위용을 자랑하려는 경기도의 신청사와 달리 낮고 소박한 인천시 청사에 감동을 받았지만 정작 시정부의 역량부족은 아쉬웠다.
차량과 방문객으로 혼잡한 시 청사 내부와는 달리 정문 앞 건물의 1층 상가 대부분은 비어 있었다. 상가의 출입문과 유리 벽면마다 붙어 있는 ‘임대’라는 표지판이 이미 망해 회복조차 어려운 인천경제를 상징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 끝 -
▶ 소박한 청사에 감동 받았지만 역량부족에 실망해
종합평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지방자치행정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5G Valley Model’을 적용해 인천시의 자치행정을 평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 오곡밸리모델로 평가한 인천시 자치행정
인천시 자치행정은 10점 만점에 평균 2점 수준으로 낙제점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광역자치단체로서 존재가치가 있는 것인가라는 의문점이 들게 만들었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 5개 영역이 10점 만점에 2점으로 세금을 투입해 유지할 필요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평가한 세부 내역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는 보수정당 출신 시장이 장기간 행정을 장악하면서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 토착세력이 발호해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했다.
지역 공무원과 주민도 ‘어차피 소용없다’는 패배의식에 빠져 무능한 지역 정치인을 단죄하는데 실패했다. 중앙정치만 쳐다보는 지역 정치인들은 정작 인천시 자치행정 서비스의 질에는 관심이 없었다.
둘째, 경제는 개항 이후 100년 이상 수도 서울의 관문역할을 수행했지만 정작 지역적 산업기반을 갖추는 데는 실패했다. 일자리가 없어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이 인구의 3분의 1을 넘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정책은 선거 때만 부르는 유행가에 불과해 개선될 가능성은 낮다. 송도국제도시도 투기꾼의 활동무대에 불과하고 전형적인 베드타운으로 전락한지 오래다.
셋째, 사회는 인구는 300만명에 달할 정도로 큰 규모이지만 신도시와 구도심과의 생활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기존 지역 정치인들 중에서 부패와 행정 부실에서 자유로운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사회적 기반은 약화됐다. 허약해진 사회체질로 재도약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넷째, 문화는 2000년 고도라는 이미지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정말 아무것도 없다는 표현이 적절하다. 개항 이후 수많은 근∙현대 문화유산을 쌓았지만 진면목을 보지 못한 행정가와 지역주민들로 인해 콘크리트 교량에 불과한 인천대교를 문화적 상징물로 내세워야 하는 서글픈 처지로 전락했다.
다섯째, 기술은 행정 편의에 의해 추진한 남동공단, 부동산 투기장으로 전락한 송도국제도시 모두 본연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대학도 제대로 없고, 젊은 엔지니어를 포용할 국가산업단지도 제구실을 다하지 못해 도시의 장기적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은 꿈꾸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2000년의 역사와 동북아 최대 무역항으로 군림했던 인천시의 지방행정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오곡밸리모델’로 평가하면 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의 영역에서 모두 낙제점을 기록했다.
인재와 돈을 빨아들이는 블랙홀 주변이라는 지리적 취약점이 존재하고 있지만 스스로 지방자치행정의 비전(vision)과 방향(direction)을 정립할 의지를 표명한 적도 없었다.
수십 층에 달하는 현대식 건물로 청사의 위용을 자랑하려는 경기도의 신청사와 달리 낮고 소박한 인천시 청사에 감동을 받았지만 정작 시정부의 역량부족은 아쉬웠다.
차량과 방문객으로 혼잡한 시 청사 내부와는 달리 정문 앞 건물의 1층 상가 대부분은 비어 있었다. 상가의 출입문과 유리 벽면마다 붙어 있는 ‘임대’라는 표지판이 이미 망해 회복조차 어려운 인천경제를 상징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 끝 -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