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개점"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1▲ 우리은행 전경[출처=우리은행]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에 따르면 2025년 3월31일(현지시각) 국내은행 최초로 유럽 지역의 전략적 거점 확대를 위해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 폴란드 지점을 개설했다.폴란드는 동·서유럽과 모두 맞닿아 있는 유럽의 생산기지이자 물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일찍부터 폴란드 시장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한 우리은행은 2017년 국내기업 현지 법인이 다수 포진하고 있는 남서부 공업도시 카토비체에 사무소를 설치하고 이들 기업의 자금조달과 중계 서비스 등 금융지원 업무를 수행해 왔다.이날 개점식에는 임훈민 주폴란드 한국대사, 이정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바르샤바무역관장, 류형진 우리은행 글로벌그룹장을 비롯해 폴란드 진출 국내 지상사 관계자들이 다수 참석했다.특히 한국·폴란드 협력과 K-방산 진출에 힘써 온 피오트르 오스타셰프스키 전 주한 폴란드 대사가 참석해 지점 설립의 의미를 더했다.최근 폴란드는 K-방산, 전기차, 이차전지 기업들의 진출과 더불어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의 전초기지로 부상하고 있다.우리은행은 국내기업 진출 확대에 따른 현지 금융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2023년 말부터 지점 설립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2024년 7월 폴란드 감독 당국의 지점 신설 인가를 받아 2025년 4월 한국계 은행 최초로 바르샤바에 폴란드 지점을 개점하게 됐다.바르샤바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국내 대표 방산기업들을 비롯해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기아차 등 다수 기업 현지 법인들이 진출해 있다.또한 폴란드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금융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어 훨씬 효율적으로 폴란드 전역의 고객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우리은행은 이번 폴란드 지점 개설로 유럽 내 외화 조달 역할을 담당하는 런던지점, 기업금융을 전담하는 프랑크푸르트 소재 유럽우리은행에 더해 유럽에 세 번째 거점을 확보하게 됐다.폴란드지점은 폴란드를 넘어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등 한국계 지상사가 진출한 동유럽 지역 영업을 총괄 관리하게 된다.이정우 폴란드 지점장은 “동유럽 최대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폴란드에 국내은행 중 처음으로 지점을 설립하게 돼 그 의미가 매우 남다르다.이로써 독일(유럽우리은행), 런던(지점), 폴란드를 잇는 ‘우리은행 유럽 삼각편대’가 완성됐다”며 “폴란드의 지정학적 이점과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으로 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기업에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3-07▲ 우리은행 전경[출처=우리은행]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에 따르면 2025년 3월6일(목) 여의도 TP타워에서 ‘투체어스W여의도’ 개점식을 진행했다. ‘투체어스W’는 고액자산가에 대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화 브랜드다.이번에 오픈하는 ‘투체어스W여의도’는 8번째 특화점포다. 우리은행은 ‘투체어스W여의도’에 센터장 및 PB지점장 등 분야별 최고의 전문가를 배치했다.‘투체어스W여의도’에서는 △세무 △부동산 컨설팅 △가업승계 △증여신탁까지 아우르는 원스톱(One-Stop) 금융솔루션을 제공한다.이 밖에도 △인문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를 개최해 고액자산가의 니즈를 충족해 나갈 예정이다.우리은행은 △본점(투체어스E본점) △테헤란로(투체어스E강남) △강남대로(투체어스시그니처)를 비롯해 △영동대로(투체어스W청담) △압구정(투체어스W압구정) △해운대(투체어스W부산) △도곡(투체어스W도곡) 등 7개 지역에서 자산관리 특화 영업점을 운영 중이다.우리은행은 이번 ‘투체어스W여의도’ 오픈을 계기로 ‘믿고 맡길 수 있는 자산관리 전문은행’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우리은행은 "탁 트인 한강을 바라보며 차를 마실 수 있는 편안한 분위기에 맞춰 서비스 공간을 기획했다. 앞으로도 지역별 특징을 살린 맞춤형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해가겠다"고 밝혔다.
-
▲ 12월19일 개점한 가산디지털금융센터[출처=iM뱅크]iM뱅크(아이엠뱅크, 은행장 황병우)에 따르면 수도권 영업 활성화를 위해 시중은행 2호 가산디지털금융센터와 3호 동탄금융센터를 연속 개점했다.시중은행 전환 이후 2024년 7월 첫 점포인 원주지점을 오픈했다. 이후 5개월여 만에 신설된 2개 점포를 통해 수도권역 기업금융 강화의 영업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2024년 12월19일(목) 개점한 가산디지털금융센터(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86, 센터장 정상국)는 최초 국가산업단지이자 현재는 IT벤처기업이 집적된 가산디지털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있다.기반산업과 연계한 2030의 젊은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시중은행 전환 이후 변경된 사명과 새로운 간판으로 가산디지털단지역 바로 앞 건물 3층에 열었다.가산디지털금융센터를 알리기 위해 지점 직원들은 역 주변에서 iM뱅크(아이엠뱅크) 홍보에 힘썼다. 개점 당일 ‘iM푸드트럭’을 운영해 커피와 핫팩을 나눴다.12월23일(월) 개점한 동탄금융센터(경기 화성시 동탄대로 676, 센터장 김한극)는 동탄테크노밸리에 위치하고 있다.동탄2신도시는 자족도시 컨셉의 2기 신도시로 주거와 산업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주민의 평균 연령이 35세로 전국에서 가장 젊은 지역이다.가산디지털금융센터와 동탄금융센터 개점을 알리기 위해 ‘팔로(Follow) iM뱅크, 8.5%! 더쿠폰적금’을 판매한다. 또한 iM 푸드트럭 ‘EAT's Go!’를 운영하는 등 주변 지역에 iM뱅크(아이엠뱅크)를 알리고 시중 고객에게 진심으로 다가가기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황병우 은행장은 “가산디지털금융센터와 동탄금융센터가 위치한 지역은 중소기업금융을 중심으로 디지털금융의 동반 성장 및 젊은 고객층의 신규 유입 가능성이 높아 두 지역을 새로운 지점 개점 장소로 선정했다”라는 배경을 설명했다.
-
▲ 테슬라(Tesla)의 말레이시아 페낭 서비스 센터 모습[출처=테슬라 말레이시아(Tesla Malaysia) 인스타그램]2024년 9월13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싱가포르 페어프라이스 그룹(FairPrice Group)은 초등학교 졸업시험을 앞둔 수험생들을 격려하고자 2024년 9월20일부터 21일까지 아침식사 사업을 실시한다.테슬라(Tesla)가 말레이시아 페낭에 전국에서 두 번째 서비스 센터를 열었다. 같은 지역에 위치한 쇼핑몰 거니 플라자에는 국내 첫 V4 슈퍼차저 충전소를 설치했다.◇ 싱가포르 페어프라이스 그룹(FairPrice Group), 초등학교 졸업시험 앞두고 무료 아침식사 사업 진행싱가포르 페어프라이스 그룹(FairPrice Group)은 초등학교 졸업시험(PSLE)을 앞둔 학생들을 위해 무료 아침식사 사업을 진행한다.2024년 9월20일부터 21일까지 전국의 치어스(Cheers) 편의점 131곳과 페어프라이스 엑스프레스 아웃렛(FairPrice Xpress outlet)에서 아침식사 꾸러미 1만2000개를 배분한다.한 꾸러미당 S$ 20달러 상당으로 자사의 통밀빵과 카야잼, 메리골드 UHT 우유(Marigold UHT Milk), 네슬레(Nestle) 시리얼, BRAND사의 단백질 건강식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학생증 혹은 PSLE 수험표를 제시하면 받을 수 있다. PSLE는 2024년 9월26일에서 10월2일로 예정돼 있다.▲ 싱가포르 페어프라이스 그룹(FairPrice Group)의 무료 아침식사 사업 홍보 이미지[출처=페어프라이스 그룹 홈페이지]◇ 미국 테슬라(Tesla), 말레이시아 페낭서 서비스 센터 및 워크숍 개점미국 전기자동차(EV) 제조업체 테슬라(Tesla)는 말레이시아 페낭 지역에 서비스 센터 및 워크숍을 열었다. 2023년 테슬라가 국내에 진출한 이래 두 번째 서비스센터다.2024년 9월12일부터 13일까지 페낭의 고객들에게 25대의 테슬라 차량을 전달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전국에는 약 6000대의 테슬라 차량이 존재한다.페낭에 위치한 쇼핑몰 거니 플라자에는 국내 첫 V4 슈퍼차저 충전소를 개장했다. 250킬로와트(kW) 슈퍼차저 4개를 설치한 충전소는 세계 최초이다.
-
▲ 미국 닭고기 전문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칙필레(Chick-fil-A) 지점. (출처=홈페이지)미국 닭고기 전문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칙필레(Chick-fil-A)에 따르면 근시일 싱가포르에 첫 번째 아울렛을 개점할 계획이다.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는 첫 단계다.칙필레는 2026년까지 US$ 10억 달러를 투자해 유럽과 아시아로 운영 지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해외에 지점 5곳을 오픈할 예정이다.현재 지점을 운영하는 해외는 푸에르토리코와 캐나다 뿐이다. 2024년 1월부터 싱가포르 본사를 설립하며 현지 운영 직원과 식당 종업원 등을 모집하기 시작했다.칙필레는 싱가포르를 포함해 아시아 내의 해외 지점 장소를 모색하고 있다. 해외 지점의 운영 모델은 미국 국내의 운영 모델과 동일하게 현지 사업자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다.1967년 설립된 칙필레는 미국 전역에 아울렛 3000곳 이상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국내에서 맥도날드(McDonald’s)와 스타벅스(Starbucks) 다음으로 프랜차이즈 중 국내 3위 매출액을 기록했다.
-
▲ 캐나다 가구업체인 이케아 캐나다(IKEA Canada)의 이케아 플랜앤오더 포인트(Plan and Order point)에서 상담을 받는 고객. (출처: 홈페이지)캐나다 가구업체인 이케아 캐나다(IKEA Canada)에 따르면 2024년 3월 이케아 플랜앤오더 포인트(Plan and Order point) 지점을 2개 개점할 계획이다.개점 지역은 온타리오(Ontario)주의 런던(London), 퀘벡(Quebec) 남서부의 라세네(Lachenaie) 2곳이다. 런던 지점은 3월6일, 라세네 지점은 3월20일 각각 오픈할 예정이다.이케아의 플랜앤오더 포인트 지점은 전문 플래너와 인테리어 상담을 가질 수 있다. 소비자가 고른 가구는 직접 가져가지 않고 집으로 배송해 주는 차이점이 있다.캐나다인의 50% 이상이 향후 2년 동안 집을 개조하거나 이사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이 주거 공간 활용에 대한 상담을 원하는 수요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이케아 캐나다는 2024년 동안 플랜앤오더 포인터 지점을 3곳 개점할 예정이다. 2024년 여름 온타리오주 배리(Barrie)에도 새로 지점을 추가해 캐나다 전국에 총 8곳을 운영할 방침이다.
-
일본 편의점 기업인 사쿠라미쿠라편리점(さくらみくら便利店)에 따르면 2022년 3월 중순에 군마현 미도리 오마마초 오마마정 4가 지점(みどり大間々町4丁目店)을 개점할 계획이다. 해당사는 레스토랑 체인점인 젠쇼홀딩스(ゼンショーホールディングス)에서 2021년 6월부터 1호점을 오픈한 편의점 브랜드이다. 주로 군마현(群馬県) 내에 소규모로 운영되는 현지 체인점이다. 점포 내의 미쿠라식당(みくら食堂)에서 요리한 도시락은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이다. 계산대에서 주문을 받은 후 조리를 시작해 주문 번호를 호출하는 방식이다. 편의점 내에 일반적인 편의점 도시락도 판매하며 40종류를 구비하고 있다. 제조자는 군마현 내 기업으로 대형 편의점 프랜차이즈와의 차별화를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쿠라미쿠라편리점(さくらみくら便利店) 로고
-
2022-02-17일본 다국적 캐주얼 의류업체인 유니클로(UNIQLO)에 따르면 2022년 싱가포르 국내에 신규 지점을 5곳 개점할 계획이다. 국내 지점 수가 31곳으로 확장되는 것이다.2022년 상반기 동안 앙 모 키오(Ang Mo Kio)와 클레멘티(Clementi)에 신규 지점 2곳이 오픈된다. 다른 신규 지점들에 대한 세부사항은 발표되지 않았다. 앙 모 키오 지점은 장애인 친화적인 피팅룸, 지역 사회 협업 프로젝트 등 새로운 기능의 테스트 베드로서 운영될 계획이다. 기존의 쇼핑몰 기반 아울렛 네트워크를 보완하기 위해 신규 지점은 라이프웨어(LifeWear)에 집중한다. 부기스(Bugis)와 파크웨이 퍼레이드(Parkway Parade)의 기존 지점 2곳은 개조할 예정이다. ▲유니클로(UNIQLO) 로고
-
2022-01-24일본 부동산기업인 미쓰이 부동산(Mitsui Fudosan Co Ltd)에 따르면 2022년 1월 2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르 쇼핑몰인 라라포트 BBCC(LaLaport BBCC)에 미쓰이 쇼핑몰을 개점했다. 첫번째 동남아시아 라라포트 쇼핑몰로 규모는 7만8500평방미터(sqm)이다. 87억링깃 규모의 부킷 빈탕 시티센터(BBCC)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부킷 빈탕 시티센터 프로젝트의 완공 시 일본 기반 라이프스타일의 유일한 랜드마크로서 지역 사회에 편리성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16억링깃 규모 미쓰이 쇼핑몰은 미쓰이 부동산에서 50%를 보유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MFBBCC Retail Mall Sdn Bhd에 의해 개발됐다. 나머지 50%는 컨소시엄 파트너들이 보유한다. ▲미쓰이 쇼핑몰(Mitsui Shopping Park) 로고
-
2022-01-13일본 스포츠상품기업인 알펜(Alpen Co.Ltd)에 따르면 2022년 봄 신주쿠 유니카(ユニカ) 빌딩에 플래그쉽 스토어를 개점할 계획이다. 2022년 7월 8일 창업 50주년을 맞이하는 것을 계기로 새로운 도전이며 사상 최대 규모이다. 국내 최대 종합 스포츠 전문점으로 지상 8층, 지하 2층의 총 10층에 전체 면적은 1만2231.39제곱미터이다. 기존에 교외에서 입지를 다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수도권의 수요를 충족하고자 한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특히 수도권의 스포츠 수요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스포츠 데포(Sports Depo), 알펜 아웃도어즈(Alpen Outdoors), 골프5(GOLF5) 등 각사의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신주쿠점으로 운영하게 된다. 점포 효율화를 위해 신주쿠 내에서 폐점이 진행되고 있다. ▲알펜(Alpen Co.Ltd)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