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기술혁신"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HD현대 글로벌 R&D센터 [출처=현대건설]HD현대(대표이사 정기선 회장, 조영철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11월20일(목)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HD한국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D현대로보틱스·UNIST·울산대학교 간 ‘조선·해양 산업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이날 체결식에는 정부와 학교를 대표해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동일 산업통상부 산업정책실장, 박종래 UNIST 총장, 오연천 울산대 총장이 참석했다.HD현대 측에서는 정기선 HD현대 회장, 김형관 HD한국조선해양 사장, 금석호 HD현대중공업 사장, 정영근 HD현대로보틱스 로봇 사업 부문장 등이 나왔다.이번 협약은 조선·해양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기술혁신을 위한 산학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기술 분야에서 상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협약에 따라 이들 5개 기관은 향후 △조선업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AI 기반 자율 공정 플랫폼 및 시스템 개발 △데이터 생태계 구축 △전문 인력 양성 사업 등에서 공동 협력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또한 조선 분야 핵심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된 데이터를 AI 기반의 디지털 국가 전략 자산으로 전환, 글로벌 초격차 유지를 위한 자원으로 활용할 방침이다.HD현대는 이번 조선·해양 분야 산학 간 ‘AI 기술 동맹’이 글로벌 1위 조선 기술력을 유지하는 기반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AI 대전환을 한층 더 가속화 해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AI 3대 강국’ 진입 목표 달성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은 물론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의 추진 속도 역시 더욱 높일 것으로 주목된다. 아울러 부·울·경(부산·울산&midd
-
2025-11-05국가정보원(원장 이종석, 이하 국정원)에 따르면 2025년 11월5일(수) 2026년부터 국정원 7급 정기공채를 연 2회 실시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정보환경의 급변 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등 기술혁신에 의한 국가안보와 국익 증진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애국심과 열정을 겸비한 우수인재들의 등용문을 넓하게 됐다.특히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대한민국 국민의 납치, 감금, 폭행, 살인 등 국제범죄가 지능화 되고 악마화 되고 있다.이와 관련해 이재명정부는 국정원에 국제범죄, 마약, 인력 수출, 사이버 범죄, 불법 암호화폐, 스캠 범죄 등 발본색원할때까지 최대한 역량을 집중하라고 지시했다.따라서 국정원은 대한민국의 미래와 안보를 책임질 역량있는 인재를 발굴해 나가고자 2026년부터 7급 정기공채를 연 2회로 확대하기로 했다.설발 분야 및 일정 등 세부적인 사항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다음은 국가정보원 정기공채 연 2회 실시 안내 문을 소개한다.◇ 국가정보원 정기공채 연 2회 실시 안내항상 국가정보원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국가정보원은 급변하는 정보환경과 거대한 기술혁신 속에서 국가안보와 국의 증진을 위해 애국심 열정을 겸비한 우수 인재들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의 문을 넓히고자 2026년부터 7급 정기공채를 연 2회로 확대합니다.상반기 : 2026년 1월 원서 접수하반기 : 2026년 7월 원서 접수선발 분야·일정 등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추후 공개되는 대외공고문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국가정보원은 대한민국의 미래와 안보를 향한 도전에 기꺼이 함께할 여러분을 기다립니다.2025.11.5국가정보원장▲ 국가정보원 정기공채 연 2회 실시 안내 포스터 [출처=국가정보원]
-
▲ KRRI 개발기술을 탑재한 독일 DZSF의 시험차량(Messwagen) 모습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에 따르면 독일연방철도연구원(DZSF)과 함께 철도 소음 저감과 디지털 기반 선로 유지관리의 고도화를 위한 공동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양 기관은 최근 독일 ‘오픈 디지털 테스트필드(Offenes Digitales Testfeld)’에서 차량에 탑재한 센서를 이용해 선로 상태를 측정하는 시스템의 시험주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이번 공동연구는 철도운행에서 발생하는 구름소음(rolling noise)을 줄이기 위해 추진됐다. 열차는 차륜과 레일 사이 표면의 미세한 거칠기*(Acoustic Rail Roughness)로 인해 구름소음이 발생한다.거칠기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시점에 유지관리하면 소음을 줄이는 것은 물론 선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거칠기는 재료 표면의 불규칙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용어로 주로 기계·재료공학에서 표면의 정밀도와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한다.기존에 사용 중인 ‘레일 표면의 거칠기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은 정확도가 높지만 작업자가 선로에 직접 접근해야 해 광범위한 노선을 주기적으로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철도연과 DZSF는 일반 영업 열차에 장착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온보드) 선로음향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운행 환경에서 장거리 구간의 선로 거칠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또한 주행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로관리 시스템의 설계 기반을 마련하고 거칠기 발생과 성장의 원리를 분석해 유지보수 정책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함께 진행 중이다.▲ KRRI와 DZSF 국제공동연구(과제책임자: 고효인 철도연 책임연구원), 참여 연구진 및 독일의 ODT 시험차량 모습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기술은 철도연이 개발한 성과로서 DZSF가 철도 관련 기술의 현장 평가를
-
2025-07-08▲ 인천항만공사 본사 사옥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7월1일(화) ‘친환경·기술개발실’을 신설하고 탄소중립과 기술혁신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실현할 새로운 조직 구조를 가동했다.이번 조직 개편은 인천항이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기술 기반의 친환경 항만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변화다. ‘기술로 여는 청정 인천항’이라는 슬로건 아래 정부 정책 이행과 연구개발(R&D)이라는 2가지 기능 강화를 위해 통합 실행체계를 마련했다.친환경·기술개발실은 기존의 환경정책과 기술개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고 실 단위의 정규 조직으로 격상한 부서다.인천항의 친환경·에너지 전환, 스마트 운영체계 구축, 항만 실증기술 육성과 공공 연구개발 과제 기획·수행 등을 전담하게 된다.공사는 했다. 정부 RE100 정책에 부응하고 항만 내 에너지 자립률 제고, 2035년 온실가스 50퍼센트(%) 감축,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국가 중장기 목표 달성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또한 해수부, 인천시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지속 강화해 정책 간 연계성과 현장 실행력을 제고하고 범정부 차원의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 항만 실현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이번 조직 개편은 공사의 R&D 기능을 다시 본격화한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공사는 과거 정부 R&D 공모사업에서 꾸준한 성과를 내며 기술 선도 공공기관의 역할을 수행해왔으나 정부 R&D 예산 축소 등의 영향으로 관련 기능 확대에 한계가 있었다.그러나 현 정부가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기반 R&D 육성을 주요 국정 과제로 내세우면서 IPA 역시 다시금 연구개발 중심 조직으로 위상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했다.인천항만공사는 현재 국가 공모사업은 물론 중소기업과의 공동 투자형 R&D, 자체 기획 연구까지 폭넓게 추진하고 있
-
2024-08-08▲ 팍스젠바이오 ‘MPCR-ULFA’ 제품[출처=팍스젠바이오]분자진단 전문기업 팍스젠바이오(대표이사 박영석)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에 선정됐다.팍스젠바이오는 이번 과제 선정으로 급성 폐렴균 신속진단 시스템 개발을 위해 원천특허기술인 ‘엠피씨알 울파 어레이(MPCR-ULFA array)’를 적용한 신속하고 경제적인 검사가 가능한 ‘분자·면역 진단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향후 2년간 총 5억700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됐다.팍스젠바이오는 ‘미래혁신선도 : 바이오-분자·면역 진단 시스템’을 전략 품목으로 정했다. 분자·면역 융합기술을 적용해 최근 급증하고 있는 주요 급성 폐렴균에서 정확한 균동정과 항생제 내성을 발생 시키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신속하게 동시 분석할 수 있는 키트를 개발한다.국내의 항생제 내성문제는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심각해 주요 병원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수준이다.정확한 원인 병원체의 확인 없이 필요 이상의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적절하지 못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급성 폐렴균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키트’의 개발은 급성 폐렴균의 동정과 동시에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신속한 검출을 위한 선별검사로써 유용하다.또한 감염된 병원체의 항생제 내성 유무 판별을 통해 해당 병원체가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경우 효과적인 대체 항생제 처방을 가능하게 한다.이를 통해 항생제 내성률 감소와 더불어 치료기간을 단축하고, 의료비용을 절감하는 등 감염초기에 효과적인 질병 제어가 가능하다.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중 시장확대형 사업으로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을 통해 스케일업(Scale-Up)할 수 있도록 혁신역량 단계별 R&D를 지원하고 있다.팍스젠바이오 황병오 이사(과제 책임자)는 “신속 다중 어레
-
▲ 닛폰유센(日本郵船) 선박[출처=닛폰유센]중국은 7월19일 기준 과학기술 기업이 570개 이상 상장 됐으며 IPO 자금은 9100억 위안에 달한다. 중앙은행은 대출시장호가이자율이 1년 3.35%, 5년 이상 3.85%라고 발표했다.일본 닛폰유센(日本郵船)은 2025년 3월기 연결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하면서 컨테이너선 사업 성장 기대로 일시적으로 주가가 상승했다.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는 부품 부족으로 국내 3공장의 가동을 일시 중지했으며 도쿄 해상 홀딩스는 자사주를 공개매수(TOB)하기로 했다.대만은 타이완 시멘트가 카메룬에서 120만 톤이 저탄소 시멘트를 생산하는 새로운 공장을 가동하기 시작했으며 약 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게 됐다.◇ 중국 과학기술혁신위원회, 7월19일 기준 과학기술 기업 570개 이상 IPO중국 과학기술혁신위원회(科创板)에 따르면 7월19일 기준 570개 이상 과학기술 기업이 상장됐다. 기업공개(IPO) 자금은 9100억 위안 조달했으며 총 시장 가치는 약 4조9000억 위안에 달한다.과학기술혁신위원회는 2019년 창립해 7월22일 창립 5주년을 맞았다. 주요 원칙은 세계 기술 개척지, 주요 경제 전재터, 주요 국가 수요에 대응 등이다. 국가 전략에 부합하는 기술 혁신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중국 중앙은행(中央銀行)에 따르면 전국은행간센터(全国银行间同业)가 이달 대출시장호가이자율(LPR)을 발표했다. 1년 LPR은 3.35%, 5년 이상 LPR은 3.85%로 각각 10bp 하락했다.올해 들어 5년 이상 LPR이 두 번째로 하락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주택대출과 밀접하게 관련 있기 때문이다.참고로 bp는 베이시스 포인트(basis point) 약어로 금리나 수익률 변화를 나타낸다. 1bp는 0.01%, 1%는 100bp와 같다.중국 정부는 국내 일부 자동차 제조기업에 대해 2025년까지 관련 칩 조달 비율을 25% 높이도록 요구했다. 국내 독자 칩 채택률율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이다. 자동차용 1등 급 반도체 M
-
▲ 말레이시아 국기[출처=CIA]지난 6월 3주차 말레이시아 경제는 과학기술혁신부(MOSTI)가 국내 인공지능(AI) 개발 목적으로 전자시스템연구원(MIMOS)과 함께 대만 콘트롤러IC 제조업체 피슨(Phison)과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재무부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공항 홀딩스(MAHB)의 민영화는 계획대로 진행할 것이다. VS 인더스트리(VS Industry Bhd)의 2024년 4월 30일 마감 3분기 순이익은 5442만 링릿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다.○ 자동차 제조업체 프로톤(Proton), 2024년 연말까지 eMAS와 스마트 EV라는 2가지 유형의 전기자동차 생산할 계획... 중국 지리자동차의 캘럭시 E 5에 기반한 모델로 100% 자체 플랫폼은 아닌 것으로 판명○ 석유 탐사 및 생산업체인 히비스커스 페트롤리움(Hibiscus Petroleum), 프랑스 토탈에너지로부터 브루나이 사업을 US$ 2억594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 인수로 가스 생산량이 약 8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토탈에너지는 나미비아 유전에 집중할 방침○ 커피 체인점 오리엔탈 코피(Oriental Kopi), ACE 마켓에 기업공개(IPO) 요청...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총 15개의 카페 설립 및 주방 확장, 소매점 추가를 통한 당사의 포장 식품사업 발전을 위해○ 관광위원회(Tourism Malaysia,), 2023년 외국인 관광객 2014만 명이 방문해 RM 713억 링깃의 관광수입 창출... 2022년 외국인 관광객은 1007만 명에 비해 100% 늘어났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2610만 명에는 미치지 못함○ 재무부, 말레이시아 공항 홀딩스(MAHB)의 민영화 계획대로 진행할 예정... 2024년 블랙락이 인수한 GIP( Global Infrastructure Partners)가 MAHB의 지분을 보유하도록 허용○ 과학기술혁신부(MOSTI), 전자시스템연구원(MIMOS)과 대
-
2021-09-14중국 인공지능 기업인 메그비(Megvii)에 따르면 스타마켓(STAR Market, 科創板) 또는 상하이증권거래소의 과학기술혁신위원회에 상장 승인을 받았다.중신증권(CITIC Securities)이 IPO를 후원하는 메그비는 2억 5300만주를 발행해 ¥60억 2000만 위안을 조달할 계획이다. 기본 연구 및 개발센터 건설에 2억 위안, AI 비전에 11억 2000만 위안이 각각 투자될 예정이다.또한 사물 인터넷 솔루션 및 제품 개발과 업그레이드, 지능형 로봇 개발 및 업그레이드에 5억 8000만 위안이 투자된다. 센서 연구 및 설계에 8억5600만 위안, 유통 비용을 공제한 추가 유동성에 12억 6000만 위안이 투자될 예정이다.메그비의 매출은 2018년 8억 5400만 위안이고, 2019년 12억 6000만 위안이며, 2020년 13억 9000만 위안이다. 2021년 상반기 매출은 6억69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14% 증가했다.2021년 9월 2일 기준으로 3명의 공동 창업자인 Yin Qi(CEO), Tang Wenbin(CTO), Yang Mu는 회사 주식의 8.21%, 5.9%, 2.71%를 각각 소유하고 있다.미국의 나스닥에 대응하는 스타마켓을 통한 기술기업들의 상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정부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 기업의 미국 증권시장 상장을 억제하고 있다.▲ 메그비(Megvii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5-11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 산하 기술혁신부(TIA)에 따르면 저렴한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파이버 포인트(Fibre Poynt)에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스타트업인 파이버 포인트가 저소득 지역사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대체 안테나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무선 기술에서 파생된 혁신 기술 솔루션인 홈포인트(HomePoynt)를 출시했다. 홈포인트는 무선 와이파이에 인터넷을 연결해 월 인터넷 비용을 R89랜드까지 낮출 수 있다.파이버 포인트의 기술은 이전에는 실현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지역에 광대역통신 서비스를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기술혁신부는 홈포인트를 통해 작은 마을, 도시 변두리 지역, 소규모 도시 등의 서비스 부족 지역에 인터넷을 보급해 정보격차를 해소할 계획이다. ▲파이버 포인트(Fibre Poynt) 서비스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5-05헝가리 기술혁신부에 따르면 2021년 5월 4일 정부, 대학, 기업이 참여한 ‘헝가리 드론 연합(Hungarian Drone Coalition)’이 결성됐다.헝가리 드론 연합은 향후 고성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드론의 연구부터 법제도까지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설립됐다.특히 올해 초 발표된 드론 운영 규칙이 타국가에 비해 엄격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이에 따른 규제 완화 대응책을 마련하는 중이다.본 연합체의 핵심 멤버는 과학기술혁신부를 비롯해 세체니대학, 부다페스트기술경제대학, 항공교통서비스업체 헝가로컨트롤(HungaroControl)로 구성돼 있다.László Palkovics 기술혁신부 장관은 "드론 산업의 성장은 드론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면서 ”인공지능과 데이터 기술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할 것이다“고 밝혔다.참고로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는 헝가리의 드론 산업 성장에 따라 향후 20년간 최소 10만명을 고용하고 € 100억유로의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다.▲Palkovics 기술혁신부 장관(출처 : 헝가리 NRDIO 홈페이지)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