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니트"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1968년 설립된 섬유·의류 제조 유통 회사인 신성통상은 니트의류 수출기업으로서 주문자상표부착(OEM) 수출 사업을 운영했다.1990년대부터 국내 SPA 패션 브랜드인 △앤드지(ANDZ) △올젠(OLZEN) △탑텐(TOPTEN10) △지오지아(ZIOZIA) △에디션(EDITION) 등을 운영하고 있다.SPA는 자가상표 부착제 유통방식으로 생산·제조·유통·판매 등 전 과정을 제조회사가 운영하는 의류 전문점을 의미한다. 다품종 대량생산인 패스트 패션을 이르기도 한다.신성통상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신성통상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신성통상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헌장 및 목표 미수립... 56기 부채총계 6458억 원으로 부채율 152.34%ESG 경영 헌장을 비롯해 ESG 경영 목표와 계획 등을 수립하지 않았다. 전 사업장의 윤리경영 실천과 활동의 기본원칙으로 윤리헌장을 제정했다. 윤리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윤리경영 헌장과 규정, 실천지침을 수립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경영 비전은 ‘근로자들에게 적법하고 안전하며 권리와 의견이 존중되는 근로환경을 제공하여 전 세계의 직원, 협력사, 지역사회와 상생하며 동반성장하는 것’으로 정했다.사업 부문은 △수출 △패션 △유통으로 나뉜다. 한국 본사와 △니카라과 △인도네시아 △베트남 △미얀마의 각 해외법인에 독립적인 컴플라이언스팀을 수립했다. 공급 사슬에 포함된 모든 근로자의 근로 환경 개선 및 근로자 인권 보호를 목적으
-
2024-09-20▲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 제품[출처=대웅제약]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에 따르면 숙취해소제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을 출시했다. 숙취 해소제는 '노니트리 추출물'을 담아냈으며 숙취 해소 물질로 국내 유일 특허를 받았다.주성분인 ‘노니트리’는 숙취 효능에 관한 제조 공법 특허를 취득한 원료다. 간 염증 지표를 개선하고 장 내 유익균 증가 및 유해균 억제에 효과가 있어 간 보호와 음주 후 장 트러블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은 알코올 섭취 후 생성되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효과적으로 분해해 숙취 해소를 돕는 제품이다.따라서 대웅제약은 간 건강 관련 노하우를 발휘해 개발한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을 통해 숙취를 케어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은 주 성분 외에도 활력 비타민B군 8종(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B6, 비오틴, 엽산, 비타민B12)을 함유하여 숙취해소는 물론 소비자의 건강까지 고려한 것이 특징이다.대웅제약은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의 흡수와 복용 편의성을 고려해 액상·정제의 이중 제형으로 개발 및 출시했다. 이에 30ml 액상과 정제 2정으로 구성돼 음주 전후 어디서나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다.에너씨슬 퍼펙트샷은 대웅제약 건기식사업부의 기획력과 연구개발센터의 신 제제 기술력이 집약된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이다.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밀크씨슬추출물이 주성분으로 담겨 있으며 비타민 B군 8종도 흡수율을 고려한 최적의 배합으로 함유돼 있다.퍼펙트샷 라인업으로는 면역기능과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에너씨슬 퍼펙트샷 이뮨+,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초점을 맞춘 △에너씨슬 퍼펙트샷 콜레다운, 마그네슘이 정제와 액상 타입으로 담긴 △에너씨슬 퍼펙트샷 마그+, 식후 혈당 상승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바나바잎 추출물이 담긴 △에너씨슬 퍼펙트샷 다이어트샷 zero 등
-
방글라데시 니트웨어제조수출업자협회(BKMEA)에 따르면 2019~20회계연도 세계최대 브랜드 및 소매업자의 주문 취소로 수출손실액이 $US 60억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니트웨어제조수출업자협회는 2020년 7월까지 모든 주문이 취소되거나 중단됐으며 COVID-19 영향으로 30억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주문취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수백만개 일자리가 위협을 받고 있다. 저임금 노동자로 인해 중국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의류제조국이다.전국적으로 약 4000개 공장에 400만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지난 2018-19년 국가 전체 수출의 약 84%가 의류 품목으로 수출 규모는 약 341억달러로 집계됐다.또한 글로벌 브랜드 Gap, Zara Primark 등이 방글라데시로부터 주문을 취소했다. 이중 Primark는 모든 점포를 폐쇄했으며 8억782만달러의 월 판매손실을 경험하고 있다.▲ BKMEA▲BKMEA(Bangladesh Knitwear Manufacturers and Exporters Association) 홈페이지
-
중국 정부에 따르면 저장화하이약업(浙江华海药业)의 자회사가 취급하는 원재료를 포함한 심장병 약을 유럽, 북미 약국으로부터 리콜했다.원료약 중에 강력한 발암물질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NDMA를 포함한 원료약은 고혈압 치료 및 심부전 예방에 사용되는 약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지난 2018년 7월초 유럽 및 북미 22개 국가를 대상으로 리콜을 실시했다. 2017년 관련 약품의 미국시장 내 매출액은 $US 2000만달러에 달한다.중국 정부는 저장화하이약업 외 동일한 원료를 사용해 약품을 제조하고 있는 제약회사 전체로 적격검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huahaipharm▲ 저장화하이약업(浙江华海药业) 로고
-
우즈베키스탄 정부에 따르면 제 13회 우즈베키스탄 국제 면화 및 섬유 박람회 기간동안 US$ 10억달러 규모의 완성품 및 반제품 수출계약이 체결됐다.다른 나라에서 박람회에 참가한 전문가의 숫자는 1500명이 넘었다. 또한 주요 계약 상대국가는 러시아, 터키, 한국, 싱가포르, 몰도바 등이다.이 박람회는 2017년 10월 23일부터 24일까지 타슈켄트에서 개최됐다. 2016년 동 박람회 기간동안 체결한 계약금액은 13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우즈베키스탄은 2017~19년동안 섬유 및 의류와 니트산업의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을 채택했다. 22억달러 규모의 130개 이상 투자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우즈베키스탄 국제 면화 및 섬유 박람회 로고
-
말레이시아 고무장갑업체 탑글러브(Top Glove)에 따르면 2015/16년 3분기 순이익은 6246만링깃(약 17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3.6% 감소했다.동기간 미국달러(US$) 대비 평가절상된 링깃화로 인해 환차손이 발생했으며 고무원재료의 가격상승으로 비용지출이 확대되면서 실적이 악화된 것이다.주력상품인 니트릴장갑의 원재료 가격이 직전분기에 비해 1.0% 하락되면서 매출에 큰 타격을 입었다. 반면에 라텍스장갑의 원재료 가격은 14.2% 올라 생산비용을 증가시켰다.당사는 지난 2분기 순이익이 86.6% 급증한 것에 비해 이번 하락된 분기실적은 외부요인에 의한 영향이 너무 컸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수급에 따른 판매전략도 중요하지만 통화가치에 따른 적절한 수출마케팅과 원자재 가격동향에 대응하는 전략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의료용 니트릴장갑 사진(출처 : 탑글러브)
-
▲ 방글라데시 정부 로고방글라데시 환경부는 공장 10곳 중 1곳의 비율로 환경오염에 대한 벌금을 부과해 총 1000만타카가 집행했다고 밝혔다. 특히 가발염색공장, 니트 의류제조공장 등이 주로 환경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
[말레이시아] 고무장갑제조업체 탑글러브(Top Glove), 2015/16년 2분기 순이익은 1.94억링깃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6% 급증...'니트릴장갑 수요증가·미국달러(US$) 약세'가 주요인이며 주당순이익(EPS)은 2배 가까이 상승
-
[말레이시아] 고무장갑제조업체 Hartalega Holdings Bhd, 2015/16년 3분기 순이익 7279만링깃으로 46.99% 급증...해외수요 증대 및 강달러(US$) 효과로 이익률 상승·Hartalega는 세계 최대 니트릴(nitrile)고무장갑 생산업체임
-
코오롱은 1996년 이웅열 회장이 취임한 이후 외형은 성장했지만 내실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 이유로 새롭게 펼친 신사업의 성과가 부진하고, 신사업을 추진하는 계열사들이 우량 계열사의 실적을 갉아 먹고 있기 때문이다.기업이 위험을 잘 관리하지 못하면 위기에 봉착하게 되는데 코오롱도 위기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코오롱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세 번째 DNA인 성과(Performance)을 이익(profit)와 위험(risk)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주력 계열사 모두 부실 뇌관을 가져 위험 증폭코오롱은 섬유사업뿐만 아니라 건설, OLED 사업 등이 모두 부실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코오롱건설은 2012년 코오롱글로벌과 합병하면서 외형적으로 코오롱글로벌의 매출이 급성장하는 계기를 제공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그다지 긍정적이지 못하다. 코오롱건설이 부실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미분양 등 부실이 전혀 해소되지 않았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