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마하라슈트라"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MEIL(Megha Engineering & Infrastructures Limited)는 마하라슈트라 주정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출처=마하라슈트라 주 부장관 데벤드라 파드나비스(Devendra Fadnavis)의 공식 X(구 트위터)] 2024년 9월27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MEIL은 2개의 마하라슈트라 주 양수 발전 프로젝트에서 건설·운영·관리(BOM)를 맡았다.중국 산동루이그룹은 파키스탄에 섬유단지를 설립함으로써 의류 수출액 US$ 50억 달러 달성과 함께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한다.◇ 인도 MEIL, 마하라슈트라 주 양수발전 프로젝트에 INR 2100억 루피 투자인도 건설업체 MEIL(Megha Engineering & Infrastructures Limited)는 마하라슈트라 주에 양수발전 장치를 설치하고자 주정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차트라파티 삼바지나가르 지구에서 고슬라 양수발전 사업, 난두르바르 지구에서 카모드 양수발전 사업을 각각 진행한다. 각각 약 3년 반, 5년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한다.총용량 4000MW(메가와트)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에 MEIL은 INR 2100억 루피(US$ 250만 달러)를 투자한다. 건설·운영·관리(BOM)를 맡아 약 25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한다.◇ 중국 산동루이그룹, 섬유단지 설립위해 파키스탄 투자위원회와 양해각서 체결중국 의류업체 산동루이그룹(如意集团)은 파키스탄 특별투자촉진위원회(SIFC)의 지원을 통해 신드와 펀잡 주에 섬유단지를 건설한다. 이를 통해 50만 개의 일자리를 활성화한다.단지에서는 자동화 기술뿐만 아니라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는 등 지속가능한 개발을 장려한다. 가동할 시 파키스탄의 전체 의류 수출량 중 US$ 20억 달러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한다.산동루이그룹은 파키스탄 투자위원회와 양해각서를 체결함으로써 의류 수출액 50억 달러를 목표로 정했다.
-
▲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맥도날드(McDonalds) 인도에 공급되는 치즈. [출처=홈페이지]인도 마하라슈트라주 식품의약국(Maharashtra FDA)에 따르면 맥도날드(McDonalds)의 상품명에 치즈를 잘못 표기해 소비자를 기만했다고 지적했다.맥도날드가 판매하고 있는 버거와 너겟 제품에는 실제 치즈가 아닌 값싼 식물성 기름인 치즈 대체재를 사옹함에도 상품명에 '치즈'를 표기했기 때문이다.마하라슈트라주 식품의약국은 2023년 10월 맥도날드 측에 인도 전국 매장에서 판매 중인 관련 상품 설명에 포함된 '치즈'를 제외할 것을 요구했다.맥도날드 메뉴 중 △치즈 너겟 △맥치즈 베지버거 △맥치즈 논베지버거 △콘앤치즈 버거 △블루베리 치즈케이크 등 최소 8개 상품이 치즈 대체제를 쓴 것으로 조사됐다.한편 맥도날드는 상품명에서 치즈를 삭제했으며 디른 제품은 고품질의 치즈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또한 현지 치즈 공급업체인 드렉타(Dlecta Foods Pvt Ltd)는 치즈 유사제품를 공급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
▲ 인도 최대 와이너리인 술라 빈야드(Sula Vineyards Ltd) 농장 전경 [출처=홈페이지]인도 최대 와이너리인 술라 빈야드(Sula Vineyards Ltd)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3분기 순이익은 4억3000만 루피로 집계됐다. 2023 회계연도 동기 3억9000만 루피와 비교해 9.8% 증가했다.와인 관광사업과 프리미엄 와인 브랜드 수요가 상승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2023년 와인 관광사업의 매출액은 1억4700만 루피로 1년 전과 비교해 16.0% 증가했다.2024 회계연도 3분기 운영 매출액은 20억3000만 루피로 2023 회계연도 동기 19억1000만 루피와 비교해 6.5% 확대됐다. 마진율은 33.6%에서 35.4%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분기별 매출액과 수익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2024년 2월21일 주주들에게 1주당 4루피의 중간배당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술라 빈야드는 마하라슈트라주 나시크에 위치하며 1999년 창립됐다. 나시크에 처음으로 설립된 양조장이자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장된 와인 제조사다.
-
중국 자동차제조업체인 창청자동차(China’s Great Wall Motors Co. Ltd, GWM)에 따르면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정부와 약 $US 10억달러 규모의 투자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체결했다.지난 2020년 1월 GM(General Motors)으로부터 인수한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주 푸네(Pune) 인근의 제조기업 탈레가온(Talegaon)공장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다.탈레가온은 SUVs차량과 픽업트럭을 중점 생산해왔다. 세계 최상급 기술장비를 갖춘 공장으로 키워나갈 예정이다. 단계적으로 약 3000명의 인원을 고용하고 벵갈룰루(Bengaluru) 지역은 연구와 개발 중심으로 운영한다.또한 탈레가온공장은 자동차 생산 전 과정에 선진 로봇기술을 적용해 자동화 생산을 추진할 예정이다. 탈레가온 공장은 연간 자동차 16만5000대, 엔진 16만대를 각각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gwm homepage▲ 창청자동차(China’s Great Wall Motors Co. Ltd, GWM) 홈페이지
-
2017-01-31인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6/17년 설탕생산량 목표를 2250만 톤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인도는 세계에서 두번째 많은 설탕을 생산하고 있으며 최대 소비국이다.2015/16년에는 2510만 톤을 생산했지만 주요 생산지인 마하라슈트라와 카르나타카 지역의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정부 로고
-
인도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 주정부에 따르면 나비뭄바이공항(Navi Mumbai airport) 입찰제안서 제출기간을 연장했다.1월 9일이 마감일이었지만 15일을 추가로 연장하기로 한 것이다. 입찰제안서 제출기간을 연장한 것은 이번이 4번째로 공사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입찰자격을 갖춘 GMR그룹, 타타부동산, 히라난다니그룹 등은 조건이 까다롭고 공기지연에 대한 우려 때문에 입찰을 철회했다.▲GMR그룹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