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물류 IT"으로 검색하여,
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년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은 '드론 전쟁'으로 불릴 정도로 전쟁용 드론이 기존의 전쟁 양상과는 다른 새로운 전쟁의 주역으로 등장하는 계기가 됐다.특히 전장에서 폭탄을 투하하거나 자폭하는 드론을 영상으로 시청하게 된 일반인은 드론이 레저용으로만 활용되는 것을 넘을 수 있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드론은 일반인의 인식과 달린 전쟁용 드론뿐만 아니라 이미 일상 속에서도 농업용 드론이나 산업용 드론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특히 산업용 드론은 건설, 물류,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널리 활용된다.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인간의 접근성이 낮고 위험성이 높은 작업 수행... 물류 및 배송에서 시범사업 진행 중산업용 드론은 인간의 접근성이 낮고 위험성이 높은 작업을 수행하거나 물류 및 배송에서 시범사업들이 진행 중이다. 산업용 드론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자.첫째, 산업용 드론은 고해상도 카메라, 적외선 센서, 열화상 카메라, 라이다(LiDAR) 등 다양한 센서를 장착해 복잡한 정보를 수집한다.고성능 센서를 통해 공중에서 정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농작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구조물의 손상을 감지하는 데 유용하다.둘째, 산업용 드론은 인공지능(AI)과 위성항법시스템(GPS) 기술을 결합한 자동화 기능을 통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율비행이 가능하다.이로 일관된 작업 수행이 가능해지며 대규모 산업 현장에서 반복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교량을 점검하거나 고층 건물의 외관 촬영을 통해 구조적 문제를 파악한다.셋째, 산업용 드론은 장시간 비행할 수 있도록 배터리 용량이 크고 강한 바람이나 거친 환경에서도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춰야 한다.원격지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육지와 해상을 연결하는 대형 교량을 점검하는 임무는 강한 바람과 높은 염도를 견뎌야 한다.넷
-
▲ 케냐 담배회사인 BAT 케냐(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 케냐)는 2023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공개했다. [출처=BAT 케냐 엑스(X) 계정] 2024년 8월19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케냐의 통계를 포함한다. 이집트 통신사인 텔콤 이집트(Telecom Egypt)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매출 EGP 380억 파운드(US$ 7억74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35% 상승했다.케냐 담배회사인 BAT 케냐에 따르면 2023년 임원진 중에서 여성 임원진의 비중은 47%를 달성했다.◇ 글로벌 통합 물류 플랫폼인 노아툼 로지스틱스(Noatum), 이집트 화물 서비스 기업인 사피나 B.V.(Safina B.V.)의 지분 대부분 인수글로벌 통합 물류 플랫폼인 노아툼 로지스틱스(Noatum)에 따르면 이집트 화물 서비스 기업인 사피나 B.V.(Safina B.V.)의 지분 대부분을 인수했다.인수 과정은 2024년 3분기에 마무리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피나의 창업자들은 소수의 지분을 유지한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사피나의 회사명은 노아툼 마리타임 이집트(Noatum Maritime Egypt)로 바뀌며 노아툼 마리타임(Noatum Maritime)과 합병된다.노아툼 로지스틱스는 아랍에미리트 항구 및 관련 인프라시설 개발 회사인 AD 포트 그룹(AD Ports Group)에서 소유하고 있다.이집트 통신사인 텔콤 이집트(Telecom Egypt)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매출 EGP 380억 파운드(US$ 7억7400만달러)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35% 상승했다.데이터 매출과 소매업, 국제자동통화서비스(IDD) 등을 확장하며 수익 실적이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65억 이집트 파운드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서비스 이용 자본 지출은 80억 이집트 파운드였다. 한편 현금 자본 지출은 274억 이집트 파운드로 2024 회계연도 전체 자본 지출 예산의 80%에 달했다.◇ 케냐 BAT 케냐, 2023년
-
▲ 유인 자율주행 장비가 부착된 트럭 내부[출처=MMP코리아]미들마일 모빌리티 전문기업 MMP코리아(대표이사 김병록, 김신배)에 따르면 최근 우편 물류 분야에 자율주행 트럭을 도입하기 위한 시범운행을 진행했다.2024년 7월 자사 우체국 간선운송 노선에 마스오토의 자율주행 트럭을 투입해 인천~대전까지 구간에 우편물을 적재한 자율주행 트럭이 야간 왕복 운송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시범운행을 진행했다.우체국 간선운송은 정기적인 야간 고속도로 운행이라는 특성 때문에 자율주행 트럭이 적용될 경우 운전자의 피로도를 낮춰 졸음운전과 교통사고 예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분야다.▲ 야간 유인 자율주행 테스트 대기 중인 마스로지스 트럭[출처=MMP코리아]한편 2024년 8월7일 마스로지스는 우체국물류지원단과 ‘화물자동차 유인 자율주행 테스트베드)Test-bed)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우편물운송 자율주행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다.마스로지스는 MMP코리아가 자율주행 트럭 상용화를 위해 마스오토와 합작으로 설립한 기업이다. MMP코리아는 국내 최대 기업간거래(B2B) 화물 운송 기업 로지스퀘어와 물류 IT 및 공급망 핀테크 기업 로지스랩이 전략적 사업 통합을 통해 2023년 설립한 기업이다.MMP코리아의 김인석 부회장은 “화물운송의 디지털 전환, AI 활용, 공급망 금융 등 다양한 디지털 혁신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고 밝혔다.또한 "고속도로 고정 노선 운행에 자율주행 트럭을 적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준비를 통해 향후 디지털 운송관리 역량과 자율주행 차량을 결합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엠엠피코리아 로고[출처=MMP코리아]
-
▲ 중동·아프리카 주요국가 [출처=iNIS]6월 중동·아프리카 경제정책 주요동향은 아랍에미리트 환경규제기관(EAD)에 따르면 6월1일부터 수도 아부다비(Abu Dhabi)와 두바이(Dubai) 내 스타이로폼 제품과 일회용품 금지 조치를 발효했다. 나이지리아 통계청(NBS)에 따르면 1분기 제조업 부문 국내총생산(GDP) 성장율은 1.49%로 둔화됐다. [아랍에미리트] 환경규제기관(EAD), 6월1일부터 수도 아부다비(Abu Dhabi)와 두바이(Dubai) 내 스타이로폼 제품과 일회용품 금지 조치 발효 ... 미세 플라스틱 발생량 감축해 지구환경 보호할 방침[아랍에미리트] 라스알카이마 경제구역(RAKEZ), 6월 인도상공회의소(ICC)와 양해각서(MOU) 체결... 양국간 협업과 경제성장률 상승 전망[아랍에미리트] 두바이상공회의소(Dubai Chamber of Commerce), 1분기 인도 기업 4351개가 새로 가입하며 국가별 기업 수 가장 높아... 2위는 파키스탄으로 2222개 기업이 가입했으며 글로벌 허브로 부상 중[아랍에미리트] 두바이상공회의소(Dubai Chamber of Commerce), 지난 13년 동안 세네갈에 31억 디르함(US$ 8억4400만 달러) 투자... 2023년 말 기준 쌍무무역 US$ 9억4200만 달러 기록하며 성장세 유지[아랍에미리트] 통신디지털규제위원회(TDRA), 8월 중순부터 감독관청에 텔레마케팅(통신판매) 사전승인 필요... 자유경제구역(FEZ) 내 기업을 포함해 국내에서 사업 허가를 받은 모든 기업에 적용[아랍에미리트] 샤르자 토후국 수도인 샤르자(Sharjah), 2024 글로벌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보고서(GSER)의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순위에서 걸프협력회의(GCC) 지역 중 4위,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중 7위로 선정... 경제구역 운영과 연간 교육 부문에 US$ 15억 달러 투자하며 특수 분야 스타트업에 강세[아랍에미리트] 비영리단체인 두바이 상공회의
-
2022-02-05케냐 나이로비 본사의 디지털 트럭 물류 스타트업 아미트럭(Amitruck)에 따르면 아프리카 전역의 디지털 물류 솔루션 확장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중동, 미국 등의 투자자들이 참여한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US$ 400만달러를 모금했다. 이번 시드 펀딩 라운드는 BTV(Better Tomorrow Ventures)가 주도했다.엔젤 투자자들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Dynamo Ventures, Rackhouse Venture Capital, Flexport Inc, Knuru Capital, Launch Africa Ventures, Uncovered Fund 등이다.투자받은 자금은 아프리카 전역으로 사업 입지를 확장하고 새로운 인재를 고용하는 데 사용할 방침이다. 특히 기술 및 운영, 영업부 전반에 걸친 팀 등 고급 인재 확보에 사용할 예정이다.아미트럭은2019년에 설립됐다. 지금까지 비공식적이고 단편적이며 불필요하게 운영비를 증가시키는 오래된 수동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던 아프리카 물류에서 트럭 운송 사업을 효율화하기 위함이다.아프리카 대륙의 트럭 운송 운영의 대다수가 기반이 되어 온 비공식적인 합의의 결과다. 이로 인해 운송 비용은 선진국에 비해 5배 더 높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최종 물품 비용은 최대 60%나 늘어난다.아미트럭은 트럭 운전사들의 운영 및 재무 요구사항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아프리카의 트럭 운송과 물류 사업은 수년간 엄청나게 성장했지만 행정적인 혁신 속도는 더디다.아미트럭은 화물 소유주와 운송업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투자자들의 지원으로 더 많은 운송업체와 화주를 디지털 트럭 물류 시장에 유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아미트럭(Amitruck) 홈페이지
-
글로벌 물류서비스업체 어질러티(Agility)에 따르면 2017년 신흥시장물류지수(AEMLI)에서 말레이시아가 4위에 선정됐다. 세계 50개 신흥국가를 대상으로 산출된 지수다.최근 몇년간 말레이시아 정부의 주도로 물류인프라에 지속적으로 투자한 결과다. 항만과 육상교통의 연계적 발전에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물류비용의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참고로 상위 1~10위 신흥국가를 차례대로 살펴보면 중국, 인도, 아랍에미리트,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브라질, 멕시코, 터키, 러시아 등으로 집계됐다.▲Agility Emerging Markets Logistics Index 보고서 표지
-
베트남 물류회사 TCIT에 따르면 2016년 11월 28일 처음으로 연간 화물처리량이 처음으로 100만TEU를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2011년 1월 가동을 시작한 이후 2000척 이상의 선박이 입항했으며 450만TEU를 처리했다. 시간당 120개의 컨테이너를 운반하고 있는데 6년만에 화물운송량이 첫해와 비교해 4배 늘어났다.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카이멥(Cai Mep)항은 국내에서 2번째로 큰 규모의 컨테이너항이다. 국내 선박화물의 65%를 처리하고 있으며 하이퐁, 다낭, 등과 연계돼 있다.▲카이멥(Cai Mep)항 위치(출처: 구글맵)
-
2014-11-03SG그룹(이하 SG)은 이의범 회장이 1991년 설립한 생활정보신문 ‘가로수’를 모태로 하고 있으며, 2008년 SG&G로 상호를 변경했다. SG는 ‘세계’의 영문 두문자다. 2001년 부동산임대업체 마이크로오피스를 설립한 후 2003년 고려(현 SG고려 및 KM&I 분사), 2005년 SG세계물산, 2007년 SG충남방적 등을 인수하면서 그룹의 기틀을 마련했다.자동차 시트, 시트부품 등을 제조, 판매하고 의류의 제조, 판매를 비롯해, 물류, 방적, 봉제, 복권, 부동산 투자 및 임대, 인터넷 복권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2013년 매출 1조원을 돌파했지만 글로벌 자동차기업 및 SPA기업의 치열한 경쟁으로 매출이 정체되고 있어 신성장동력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 SG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SG는 국내21개, 해외8개, 총 29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 계열사는 표1과 같이 지주회사, 제조/유통, 광고/출판, IT/부동산/투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SG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지주회사인 SG고려는 1969년 설립 및 1978년 고려피혁공업을 흡수 합병해 상호를 고려피혁공업으로 변경했다. 1988년 고려로 상호가 변경됐으며, 2003년 SG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됐다. 2004년 회사정리절차가 종결되고, 같은 해 자동차부품 사업을 분할해 KM&I를 설립했다.2007년 피혁사업을 중단과 2008년 에스지에셋을 거쳐 2010년 현재 상호가 됐으며, 주요사업은 자회사관리를 하는 비금융 지주회사이다.제조/유통부문 계열사는 KM&I, SG 충남방적, SG 세계물산, SG&G, 탑웰스 등이 있다. KM&I는 2004년 고려(현 SG고려)에서 자동차 사업을 물적 분할해 설립했으며, 주요사업은 자동차 부품 제조 및 판매로 한국GM의 핵심협력업체다.SG충남방적은 1954년 설립한 국안방적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1970년
-
2014-10-06인터파크그룹(이하 인터파크)은 1995년 데이콤의 사내벤처에서 출발했으며 1996년 인터넷 쇼핑몰을 오픈한 이후 1997년 데이콤인터파크로의 계열 분리됐으며 1999년 ㈜인터파크로 상호가 변경됐다. 2006년 4개사로 분할한 이후 기존회사는 지주회사체제로 전환됐다.2000년 초 G마켓을 설립해 오픈 마켓을 개척했지만 2009년 미국 이베이에 매각한 이후 문화, 예술, 여행사업분야를 개척했다. 2012년 아이마켓코리아를 인수한 이후 B2B시장을 개척하면서 덩치를 키우고 있지만 직원들의 비도덕적 행위 등으로 신뢰가 추락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도서, 공연, 여행, 이사 등 주력사업의 침체로 인해 성장이 정체돼 있다. ◇ 인터파크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인터파크는 국내 20개, 해외 13개 등 총 33개의 계열사를 갖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지주회사, 유통/물류, IT/서비스/기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인터파크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지주회사는 ㈜인터파크인데, ㈜인터파크는 1995년 데이콤의 사내벤처로 출범했으며, 1997년 데이콤의 자회사 데이콤인터파크로 분리 독립했다. 인터파크는 ‘인터넷 테마파크’의 준말로 1999년 4월 현재 상호로 변경했으며, 같은 해 7월 코스닥에 상장됐다.2006년 쇼핑몰, 도서, ENT(엔터테인먼트), 여행 등 4개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해 인터파크쇼핑, 인터파크도서, 인터파크이엔티, 인터파크투어 등을 신설하고, 기존회사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다.유통/물류부문 계열사는 아이마켓코리아, 인터파크아이엔티, 인터파크면세점, 인터파크인터내셔널, 인터파크로지스틱스, 인터파크에이치엠, 안연케어 등이다.아이마켓코리아는 2000년 설립된 기업간전자상거래, MRO자재유통등 상품 종합 도매업체로 인터넷 유통, 경매, 광고, 인터넷 비지니스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2012년 인터파크 계열사가 됐다.인터파크아이엔티는 2006년 ㈜인터파크의 도서사
-
2014-08-18일진그룹(이하 일진)은 창업주 허진규 회장이 1967년 설립한 일진금속공업사를 모태로 하고 있으며, 1982년 일진전기공업, 2002년 일진전기를 거쳐 2008년 일진홀딩스로 지주회자체제로 전환됐다. 일진은 동복강선사업의 성공을 바탕으로 제강 및 소재산업뿐만 아니라, KIST와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개발하는 등 부품전문기업으로 성장했다.하지만 1989년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사가 영업비밀 침해혐의로 일진다이아몬드를 미국법원에 제소했고, 7년간 생산중지 및 관련 장비 파괴결정을 받았다. 1994년 GE와 기술 제휴 및 로열티 제공 등의 협상을 통해 소송을 마무리했다.최근 전주방송의 사내 유보금 50억원의 부실계열사지원, 기업내부거래를 통한 일감몰아주기, 패션브랜드 사업진출 등의 이슈가 제기되면서 부품전문기업으로서 이미지가 훼손되고 있다. ◇ 일진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일진은 국내27개, 해외10개, 총 37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 계열사는 표1와 같이 지주회사, 제조, 건설/유통/물류, IT/금융/방송/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일진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지주회사 계열에는 일진홀딩스가 있다. 일진홀딩스는 1967년 설립한 일진금속공업사를 모태로 하고 있으며, 1982년 일진전기공업으로 법인 전환됐다. 1987년 일본 야스카와, 1990년 독일 ABB, 1991년 스위스 알스톰, 1995년 일본 아사히메탈, 1996년 일본 토모에 및 미국 VALMET사와 기술 제휴 후 2000년 일진전선과 합병하고, 2002년 일진전기로 상호를 변경했다.2008년 부동산 사업부문은 일진디앤코, 전기사업부문은 일진전기로 법인을 신설하고, 기존법인은 일진다이아몬드의 투자부문을 분할, 합병한 후 현재의 상호로 변경하고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했다.제조부문 계열사는 일진전기, 일진다이아몬드, 일진디스플레이, 일진머티리얼즈, 일진제강, 일진복합소재, 일진엘이디, 알파니언메디칼시스템, 일진반도체, 루미리치 등이 있다.일진전기는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