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 미디어"으로 검색하여,
6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5▲ 하만 인터내셔널 로고[출처=하만 인터내셔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전액 출자 자회사로 커넥티드 기술에 주력하고 있는 하만 인터내셔널(HARMAN International)이 KT 알티미디어(KT altimedia)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KT 알티미디어는 미들웨어, 콘텐츠 보안, 사용자 경험 및 클라우드 기반 UI를 전문으로 하는 국내 최고의 페이TV(PayTV) 사업자 대상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 솔루션 제공업체다.하만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 사업부가 주도하는 이번 파트너십은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의 혁신을 주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페이TV 솔루션의 확장을 가속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하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은 글로벌 미디어 기술 분야에서 수십 년간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디어 트렌드와 최첨단 솔루션을 소개하기 위해 업계와 긴밀한 관계를 활용하고 있다.하만은 페이TV 경험을 향상하고 콘텐츠 보안을 개선하며 미디어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하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 총괄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인 비카스 굽타(Vikas Gupta)는 “KT 알티미디어와의 파트너십은 페이TV 경험을 재정의하고 미디어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있어 흥미로운 진전이다”며 “하만의 기술 전문성과 KT 알티미디어의 업계 선도적인 미디어 서비스를 결합하여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를 만들어갈 최첨단 확장형 솔루션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KT 알티미디어 최고경영자 박도사는 “하만과 전략적 협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페이TV 솔루션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그는 “KT 알티미디어는 미디어 플랫폼 기술 및 서비스 혁신에 대한 다년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하만과 함께 유연한 첨단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을 창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번 파트너십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하려는 하만의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한다. 하만과 KT 알티미디어는 양사의 강점을 활용하여 발전하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차세대 페이TV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하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은 물리적인 것과 디지털을 결합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인간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을 더욱 역동적으로 만드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전 세계 45개 이상의 지역에서 7000명 이상의 직원이 일상의 경험을 혁신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하만은 국제 표준/경영 시스템 EN 9100:2018 / AS9100D, ISO 9001:2015, ISO 27001:2013, ISO 13485:2016을 준수하고 인증을 받았으며 CMMI-DEV 2.0 ML5의 평가를 받았다.고객과 협력해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크로스 채널 사용자 경험, 클라우드, 모빌리티, 인사이트 데이터 및 확장 가능한 기본 IT 플랫폼으로 뒷받침되는 사물 인터넷의 융합을 추진하고 있다.우리의 글로벌 제공 방식, IP, 플랫폼 및 인력을 통해 차세대 플랫폼을 배포하는 한편 비용 효율성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해 뛰어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999년 설립된 KT 알티미디어(KT altimedia)는 전 세계 페이TV 사업자를 대상으로 엔드투엔드 멀티미디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대표 미디어 플랫폼 기업이다.셋톱박스 및 모바일용 디바이스 플랫폼부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기반 UI/UX, 보안 콘텐츠 보호 시스템(CAS/DRM)에 이르기까지 독자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합 서비스를 공급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강력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아시아 및 유럽 전역의 주요 방송 및 통신 사업자들이 KT 알티미디어의 솔루션을 도입해 사업 확장과 운영 효율화를 실현하고 있다.KT 알티미디어의 첨단 보안 시스템, UI 관리 시스템, 원격 관리 솔루션을 통해 사업자들은 변화하는 시장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동시에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성, 유연성, 비용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앞으로도 KT 알티미디어는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미디어 혁신을 선도하며 미디어 서비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는 페이TV 사업자의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다.하만(harman.com)은 커넥티드 카 시스템, 오디오 및 비주얼 제품, 기업 자동화 솔루션, 사물 인터넷 지원 서비스 등 전 세계 자동차 제조업체, 소비자, 기업을 위한 커넥티드 제품 및 솔루션을 설계 및 엔지니어링한다.AKG®, Harman Kardon®, Infinity®, JBL®, Lexicon®, Mark Levinson®, Revel® 등 주요 브랜드를 보유한 하만은 전 세계 오디오 애호가, 뮤지션 및 이들이 공연하는 엔터테인먼트 공연장으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현재 도로 위를 달리는 5000만 대 이상의 자동차에 하만 오디오 및 커넥티드 카 시스템이 장착돼 있다. 하만의 소프트웨어 서비스는 직장과 가정, 자동차, 모바일 등 모든 플랫폼에 걸쳐 연결 및 통합되어 있다.안전한 수십억 개의 모바일 장치와 시스템을 지원한다. 하만은 미주, 유럽, 아시아 전역에 약 3만 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2017년 하만은 삼성전자의 완전 자회사로 전환됐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
급격한 미디어 환경 변화 속에서 현재 미디어는 일상생활에 깊숙이 자리를 잡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로의 확장으로 인해 세대별로 주로 활용하는 미디어가 다르다.하나의 미디어 내에서도 장르 및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어 다양성의 범위가 더 넓어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의 역할과 영향력이 세대별로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특히 신속한 재난상황 파악과 피해복구를 돕는 커뮤니케이션 분야 및 사전 안전교육이 필요한 재난 분야의 활용에 주목받고 있다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미디어의 다양성과 세대별 이용분석–재난 상황 중심으로(Diversity of Media and Usage Analysis by Generation-Focused on disaster situations)'이며 중앙대 ICT융합안전전공이정윤·황해석·손혁·정상이 연구에 참여했다. ◇ 미디어를 활용해 재난의 에방 및 대비 관련 발전 방향 모색정민경은 위기 대응 매뉴얼과 재난대응 홍보물을 통해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한 연령계층별 인지반응을 알아봄으로써 연령대별로 효과적인 유형을 확인했듯이 더 나아가 재난 사례를 통해 세대별 미디어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있다.한국은 대구 지하철 참사, 세월호 침몰,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까지 안타깝고 끔찍한 재난 상황을 세기에 걸쳐 국민이 직·간접적으로 겪으며 미디어를 활용한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실제 재난 상황과 관련된 기사, 문헌 및 통계 내용을 기반으로 세대별로 당시 활용한 미디어가 무엇이며 어떤 영향력을 미쳤는지 확인하고 세대별로 필수적으로 여기는 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확인했다.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지속적인 경각심을 일깨워 예방, 대비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 어떻게 신속한 대응력을 갖출 수 있을지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 재난 예방 및 대응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2003년 당시 TV를 중점적으로 조사한 방송통신위원회의 ‘2003년 TV 시청행태 연구’에 따라, 연령별 지상파TV 장르별 시청 정도를 ‘전혀 안 본다’를 1점, ‘별로 안 본다’를 2점, ‘보통’을 3점, ‘자주 본다’를 4점, ‘매우 자주 본다’를 5점으로 하여 평균을 구해 2003년 당시 TV 장르별 시청 실태를 살펴봤다.10대 607명을 대상으로 ‘음악, 쇼’, ‘토크쇼’가 1위(3.62점), ‘드라마’가 2위(3.47점)를 받았고 20대는 264명을 대상으로 ‘뉴스 및 보도’가 1위(3.68점), ‘드라마’가 2위(3.44점)였다.30대는 280명 대상으로 ‘뉴스 및 보도’가 1위(4.07점), ‘드라마’가 2위(3.39점)였으며 40대는 237명 대상으로 ‘뉴스 및 보도’가 1위(4.28점), ‘드라마’가 2위(3.35점)으로 조사됐다.40세 이상은 214명 대상으로 ‘뉴스 및 보도’가 1위(4.19점), ‘드라마’가 2위(3.63점)였다. 10대를 제외한 다른 세대는 TV로 ‘뉴스 및 보도’를 많이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지하철 참사 미디어 활용 사례 분석... TV 뉴스를 통해 재난 상황 파악2003년 2월18일 발생한 대구 지하철 참사 당시, 피해자들은 스마트폰의 기본 기능인 문자메시지와 전화를 이용해 상황을 알려 구조 요청 및 신고를 하거나 마지막 연락을 남기는 데 활용됐다.국민은 TV의 뉴스, 다큐멘터리를 통해 사고에 대한 상황을 인지하고, 추후 지하철 영상을 봄으로써 급박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문을 읽으며 원인, 진행 상황 및 결과를 확인했다.대구 지하철 참사를 계기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제정하고 소방방재청이 출범됐으며 2004년부터 매년 국제 소방안전 박람회를 개최하고 있다.2017년에는 지하철 가상체험을 제공했다. 안전 메카의 중심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시민들의 재난 대응 능력 함양 및 안전 문화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여러 가상재난체험시설 등을 갖춘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를 2008년에 개관하였다.▲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세대별 피해자 현황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인명피해를 참고하여 재구성한 그림에서 피해자에 대해 부상자와 사망자로 나눴다. 넓게는 10~30대까지 피해자 수가 많고 주 피해자는 20대로 출근 시간 및 졸업 시즌까지 겹쳐 승객들로 붐볐던 것으로 확인됐다.대학생과 일반인이 포함된 20대는 90명으로 전체 피해자 중 26.71%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직장인과 일반인이 포함된 30대는 67명으로 19.88%의 비중을 점유했다.졸업 시즌을 맞은 학생이 포함된 10대는 48명으로 14.24%의 비중을 보였다.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해 부상자 151명, 사망자 186명으로 총 337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세월호 침몰 미디어 활용 사례 분석... 10~20대의 메신저 이용률이 다른 세대에 비해 높아2014년 4월16일 발생한 세월호 침몰 당시, 피해자들은 스마트폰의 기본 기능인 문자메시지와 전화 및 카카오톡을 이용해 상황을 알려 구조 요청 및 신고를 하거나 마지막 연락을 남기는 데 활용했다.그러나 안타까운 현실은 세월호 침몰 당시 18통의 신고 전화 중 13통이 119로 전화했고 해경 신고전화번호인 122로는 5통만이 연락돼 평소 미디어를 통한 해양 안전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상황임을 보여줬다.국민은 TV의 뉴스 등으로 진행 상황을 파악했지만 보도에 있어 오보라는 큰 실수로 인해 혼란과 침울함을 겪었다. 구조 현장을 생중계 촬영으로 보도되면서 어선들이 사람들을 구조하는 모습도 포착됐다.스마트폰으로 찍어놓은 마지막 영상을 유튜브에 올리게 되면서 그 당시 기울어지는 상황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었고 트위터로 ‘세월호 인명구조 실시간 정보’를 운영하기도 하였다.해양의 선박에 대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법을 개정하고 운항관리자를 늘렸으며 세월호 추모곡 작곡가 윤민석은 ‘약속해’, ‘기억해 그리고 사랑해’, ‘잊지 않을게’, ‘얘들아 올라가자’ 등의 세월호 추모곡 음원을 만들어 배포했다.노란 리본달기 캠페인을 통해 전 국민이 실종자들 모두 돌아오기를 바랬고 한국가상현실(주)에서는 선박사고에 대한 안전교육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가상으로 경험해 볼 수 있게 됐다.세월호 참사 희생자·미수습자 304명 전체 명단을 참고하여 재구성한 그림을 보면 피해자는 실종자와 사망자로 나눴다.수학여행을 가는 단원고 관련 사람들, 초등학교 동창생 모임으로 모인 사람들, 일반인, 선원 등이 탑승했고 그 중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이 포함된 10대가 250명으로 82.24%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았다.교사, 선원 등이 포함된 20대가 16명으로 5.26%를 점유하며 60세인 초등학교 동창생 모임 사람들이 포함된 12명이 3.95%의 비중을 차지한다. 실종자 9명, 사망자 295명으로 총 304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2014년 세월호 침몰 세대별 피해자 현황2014년 당시, 방송통신위원회의 ‘2014년 방송매체 이용 행태 조사’에 따라, 어제(조사 전날) 이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복응답을 허용해 정보 검색 및 자료 수집면에서 ‘건강/의료’, ‘날씨’, ‘교통/지도’, ‘기사 검색’, ‘학습/교육’ 항목에 대해, 커뮤니케이션 면에서는 ‘e-mail’, ‘SNS’, ‘메신저(카카오톡)’, ‘인터넷전화’ 항목에 대해 세대별 실태를 확인했다.10대 629명, 20대 909명, 30대 1,090명, 40대 1,064명, 50대 681명, 60세 이상 197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모든 세대가 비중은 달랐지만 정보 검색 및 자료 수집에 대해 1위는 ‘기사 검색’이며, 2위는 ‘날씨’였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모든 세대가 비중은 달랐지만 1위는 높은 비율로 ‘메신저(카카오톡)’였고 2위는 ‘SNS’였다.또한 10대와 20대의 메신저 이용률이 각각 93.8%, 94.1%로 다른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세월호 침몰이 발생했던 2014년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있어 ‘기사 검색’을 했고 ‘메신저(카카오톡)’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많이 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범유행 미디어 활용 사례 분석... 인터넷과 전용앱이 강력한 전파 수단으로 자리매김2019년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코로나19 당시, 중국 의사 리원량은 SNS 단체 대화방에 ‘우한 시내에 사스와 유사한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다’라고 글을 올렸고 이는 인터넷에 급속히 전파돼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후에 직접 영상을 SNS에 올려 자신의 상태와 코로나19가 얼마나 위험한지 알렸으나 안타깝게도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사망했다.한국에는 2020년부터 급속히 확진자가 증가했고 이에 TV의 뉴스에서 확진자 현황을 알려주며 생활 방역수칙인 사회적 거리두기 및 마스크 착용 등을 반복적으로 노출했다.예능이나 드라마에서도 손소독제를 사용하고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촬영하는 모습을 보이며 국민의 인식 개선에 일조했다.한국뿐만 아니라 각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홈페이지를 개설해 각종 정보 및 현황을 알 수 있게 됐으며 관련 앱이 등장했다.한국은 공적 마스크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는 마스크 앱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리하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정보화진흥원, 서비스형 플랫폼(PaaS; platform as a service)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업(PaaS –TA 얼라이언스), 시민 개발자 커뮤니티, 웹·앱 개발 기업이 협업해 15일 만에 앱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공적 마스크 5부제를 실시하지 않고 실시간 재고를 확인해 구매할 수 있었다.이에 국내외 언론에서 많은 관심을 가졌고 방송매체뿐만 아니라 온·오프라인 신문 매체에서도 코로나19 대응 성공 요인으로 분석했고 한국의 높은 ICT 수준이 대국민 서비스를 높인 결과라고 호평했다.‘코로나 100m’ 앱은 확진자가 방문한 곳 100m 내 접근 시 알림을 보내주고 ‘코로나맵’은 확진자별 동선이 지도 위에 색깔별로 표시해준다.무엇보다 일상생활을 변화시켰고 집에서 TV 시청이나 스마트폰으로 OTT(over the top) 보기 등 미디어 활용이 증가했다.코로나19 범유행이 진행됨에 따라 국가는 파급영향 최소화 및 조기 극복을 위해 코로나19 관련 감염병법을 개정했다.질병관리청 보도·참고자료를 참고하여 재구성한 그림에서는 피해자에 대해 확진자와 사망자로 나눴다. 비교적 사회적 활동량이 많은 20대~60대까지 피해자 범위가 고르게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0대가 1만1602명으로 다른 세대에 비해 높은 18.56%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020년 12월 31일 24시 기준으로 확진자 6만1769명, 사망자 917명으로 총 6만2686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2020년 코로나19 세대별 피해자 현황코로나19 범유행이 된 2020년 당시, 방송통신위원회의 ‘2020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내용 중 코로나19 관련 정보습득 매체를 통해 세대에 따라 어떤 미디어로 정보를 습득하는지 확인했다.10대는 511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83.1%)’이 1위, ‘TV(14.8%)’가 2위이며, 20대는 91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83.3%)’이 1위, ‘TV(12%)’가 2위이고, 30대는 987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71.3%)’이 1위, ‘TV(24.4%)’가 2위를 차지했다.40대는 1,08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60%)’이 1위,‘ TV(36.2%)’가 2위를 점유했다. 50대는 1131명을 대상으로 ‘TV(57.9%)’가 1위, ‘스마트폰(40.1%)’이 2위로 나타났다.60대는 768명을 대상으로 ‘TV(78.2%)’가 1위, ‘스마트폰(20.5%)’이 2위를 차지했고 70세 이상은 640명을 대상으로 ‘TV (96.1%)’가 1위, ‘스마트폰(3.2%)’이 2위로 조사됐다.10대에서 40대까지 비중은 다르지만, ‘스마트폰’이 1위를 차지했고 ‘TV’가 2위를 기록했다. 50대부터 ‘TV’가 1위를 점유했고 ‘스마트폰’이 2위로나타났다.70세 이상은 ‘TV’가 96.1%의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세대별로 코로나19가 유행한 2020년에는 세대별로 코로나19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미디어에 차이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재난 상황 시 세대별 미디어 활용분석... 10~40대는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활용도 높아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일어나는 재난에 대해 누구에게,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발생했는지 미디어를 통해 파악하고 있으며 의사소통 역할로 활용되고 있다.실제 재난에서의 미디어 활용, 영향력, 세대별 피해자 현황을 파악했고 당시 연도의 매체 이용행태 조사를 활용해 세대별 미디어 활용 인식 및 실태를 확인해 분석했다.세대별 미디어 활용 인식 및 실태를 확인해 본 결과, 10대~40대는 스마트폰을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재난 상황에서도 필수적으로 여기고 있다.따라서 유튜브에 재난 관련 교육 콘텐츠를 만들어 올리거나 인터넷 신문을 통해 국내외적 재난 이슈를 알려 정보를 제공하고 SNS에 재난 공익광고를 삽입해 지속적인 노출로 경각심을 강화하여 예방해야 한다.또한 페이스북, 카카오톡, 트위터를 통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으로 상황을 대처하는 재난관리체계를 갖추고 증강현실 (AR; augmented reality)을 활용한 재난 대비, 대응 체험 앱 및 실시간 재난정보 제공 앱을 개발해 신속한 대응력을 갖춰야 한다.50대는 2014년에 일상생활 시 TV를 필수적으로 여기고, 2016년에 재난 상황 시 TV를 필수적인 매체로 여겼으나, 2020년에 일상생활 및 재난 상황에서 스마트폰을 가장 필수적으로 여기는 것을 보아 변화가 존재한 세대로써 두 매체 모두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60대 이상은 TV를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재난 상황에서도 가장 필수적으로 여기며 그다음으로는 스마트폰이었다. 눈에 띄는 것은 다른 세대보다 라디오와 신문에 대한 언급이 더 존재했다.이를 위해 여러 재난에 대한 공익광고를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송출을 하며 드라마와 예능에서 연예인 및 전문가가 등장해 재난 소재를 다뤄 시선을 끌어 인식을 개선하도록 예방해야 한다. 재난 당시 실내일 경우, TV와 라디오로 재난에 맞는 대처방안을 제공해여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재난 발생 시점 및 재난별로 사용된 미디어의 형태가 달라 활용방안 심층 연구 필요문헌 조사과정에서 TV 장르와 스마트폰 SNS 종류의 다양성을 확인하면서 미디어에 대해 알아봤고 미디어의 여러 역할과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및 기술적 영향력을 피익헸다.국내 하루 평균 미디어 이용 현황을 TV 시청 시간과 스마트폰 이용 시간으로 확인해 세대별 작년 대비 증감을 봄으로써 코로나19 전후 차이를 분석했다.실제 재난인 대구 지하철 참사, 세월호 침몰, 코로나19 범유행 사례를 분석헤 당시 미디어의 활용과 영향력을 도출했다.또한 세대별 일상생활 및 재난 상황 시 필수적으로 여기는 미디어 인식조사를 통해 미디어의 특성을 살려 세대에 적합한 예방, 대응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안했다.연구대상인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세월호 침몰, 코로나19 등의 재난 발생 시점 및 재난별로 사용된 미디어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재난 예방, 대응을 위한 미디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정상 전문위원(중앙대학교 교수)
-
2025-03-19▲ 독일 프랑크푸르트 ‘2025 유럽 테크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2025년형 OLED 신제품을 살펴보고 있다[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3월18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2025년형 TV의 차별화된 기술과 인공지능(AI) TV 신기술을 소개하는 ‘2025 유럽 테크 세미나’를 개최한다.테크 세미나는 2012년부터 전 세계 주요 지역에서 영상·음향 분야의 미디어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삼성 TV의 최신 기술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행사로, 업계 관계자들이 신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다.올해 테크 세미나에서는 2025년형 Neo QLED·OLED·라이프스타일 TV뿐만 아니라 AI 기반 시청 경험 및 사운드 기술을 소개한다.2025년형 Neo QLED 4K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능으로 우수한 블랙 표현력과 HDR 정확도를 구현한다. 또 △‘AI 업스케일링’ △‘모션 인핸서’ 등 기존 8K 모델의 차별화 기술을 4K에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2025년형 OLED는 ‘글레어프리 2.0(Glare Free 2.0)’으로 빛 반사를 줄여 선명한 화면을 구현한다. 128개의 AI 뉴럴 네트워크가 적용된 3세대 4K AI 업스케일링을 통해 정교한 해상도를 제공한다.여기에 ‘OLED HDR’ 기술을 더해 전년 대비 밝기와 명암비를 업그레이드시켰다. 향상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더 프레임 프로(The Frame Pro)’는 Mini-LED 로컬디밍 기술을 적용해 일상적인 시청 환경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더 프레임 프로’ 사용자는 삼성 아트 스토어를 통해 약 3000점 이상의 디지털 아트를 감상할 수 있다. ‘무선 원커넥트 박스’를 지원해 복잡한 케이블 없이도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다.콤팩트한 신규 디자인과 선명한 화질을 갖춘 ‘더 프리미어 5(The Premiere 5)’는 터치 솔루션을 탑재한 프로젝터로 단순한 시청을 넘어 교육, 비즈니스,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이번 테크 세미나에서는 이를 활용한 게임 및 키즈 콘텐츠 등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포함한 다양한 시나리오와 편의성을 시연한다. ‘비전 AI(Vision AI)’를 기반으로 AI 시청 경험과 CX-MDE(고객 중심의 멀티 디바이스 경험)도 소개했다.주요 기능으로는 △재생 중인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클릭 투 서치(Click to Search)’ △외국어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바꿔주는 ‘실시간 번역(Live Translate)’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TV를 제어할 수 있는 ‘퀵 리모트(Quick Remote)’ 등이 있다.또 구글과 공동 개발을 통해 업계 최초로 적용한 ‘이클립사 오디오’ 기술을 선보인다.‘이클립사 오디오’는 IAMF(Immersive Audio Model and Formats) 기반의 차세대 3D 오디오 기술로 콘텐츠에 최적화된 멀티 채널 오디오를 통해 소비자에게 더욱 몰입감 있는 사운드 경험을 제공한다.이번 행사에서는 해당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사운드바 연계 3D 사운드 효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유럽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주요 지역에서도 테크 세미나를 순차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한편 삼성 TV는 AI 기반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화질과 음향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며 19년 연속 글로벌 TV 시장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
▲ 엔씨소프트 빌딩[출처=엔씨소프트]엔씨소프트(공동대표 김택진, 박병무)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NC AI(대표 이연수)가 2025년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 참가해 AI 기술을 선보인다.MWC 2025에서 NC AI는 LG유플러스와 협력해 자체 AI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데모 시연 부스를 운영한다. 부스 방문객은 자신의 얼굴로 생생한 게임 캐릭터를 만들고 게임 속 대사를 연기하는 나만의 AI 캐릭터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NC AI는 올해 △오디오 △그래픽스 △챗봇 △기계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상용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엔씨소프트의 게임 프로세스를 혁신했던 기술력을 바탕으로 패션, 미디어, 콘텐츠 등 다양한 산업에 맞춤형 AI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NC AI는 엔씨소프트의 인공지능 사업 법인이다. 'Everyone can be a Creator'라는 미션을 중심으로 게임을 포함한 각종 산업에서 혁신적인 AI 솔루션을 접목하며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NC AI 이연수 대표는 “NC AI는 국내 게임 업계에서 가장 선도적으로 AI 서비스 경험을 축적해 온 인공지능 전문 기업이다”며 “오랜 R&D 기간 동안 쌓아 올린 AI 기술력을 기반으로 게임을 넘어 미디어 콘텐츠 산업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며 글로벌 AI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
▲ ’우주특공대 바이오맨 x 빛의 전사 마스크맨 한국 출시 35주년 기념 팬미팅’ 장면[출처=컴투스홀딩스]컴투스홀딩스(대표 정철호)에 따르면 자회사 컴투스플랫폼(대표 최석원)은 웹3 마켓플레이스, ‘X-PLANET’이 주최한 ‘우주특공대 바이오맨’과 ‘빛의 전사 마스크맨’의 팬미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이 행사에는 바이오맨과 마스크맨의 주연 배우들과 바이오맨의 주제곡을 부른 가수, 미야우치 타카유키가 등장해 분위기를 띄웠다.배우들은 무대에서 멋진 변신 포즈를 취하며 관객들의 호응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두 작품의 주연 배우들은 MC들과 기억의 남는 에피소드를 주제로 대화를 나누며 촬영 당시의 추억을 되살렸다.또한 객석으로 들어가 사진을 촬영하는 등 관객들과 밀접한 거리에서 호흡했다. 이 외에도 바이오맨과 마스크맨의 영상과 음악, 슈트 액터들의 공연 각 배우별 에피소드 영상도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했다.이번 프로젝트는 공식 지식재산권(IP) 홀더인 일본 토에이 컴퍼니와 국내 라이센스를 보유한 대원미디어의 협력을 통해 진행됐다.팬 미팅에 참여한 한 관객은 “모든 관객들이 35년의 시간을 거슬러 다시 소년이 됐다. 함께 바이오맨과 마스크맨의 주제가를 부르고 사진을 찍고, 사인을 받으며 보낸 모든 시간이 꿈결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
▲ 커즈가 삼성전자의 C-Lab Outside 7기로 선정됐다[출처=커즈]아티스트와 개발자로 구성된 크리에이티브 미디어아트 기업 (주)커즈(대표 진실)에 따르면 삼성전자 ‘C-Lab Outside 7기’에 최종 선정됐다.이번 선정으로 삼성전자와의 사업 협력 기회, 전용 업무공간 제공, 글로벌 정보기술(IT) 전시회 참가 지원, 삼성전자 특허 활용 등 다양한 혜택을 받게 된다.진실 커즈 대표는 “삼성전자 C-Lab Outside 선정을 통해 WAA 플랫폼의 기술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미디어아트 기업 커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혁신적인 디지털 예술 경험을 제공한다. AI 기반 구독형 미디어아트 플랫폼 ‘WAA’를 운영하고 있다.커즈의 ‘WAA’ 플랫폼은 국내 최대 규모의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연한 구독형 라이선스 정책을 제공한다.고해상도 비디오부터 인터랙티브 작품, 아나모픽 콘텐츠까지 다양한 공간 맞춤형 미디어아트를 제공하며, 매월 새로운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한편, 2018년 출범한 삼성전자 C-Lab Outside는 국내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커즈는 선정기업으로서 삼성전자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글로벌 서비스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커즈(CUZ)는 아티스트와 개발자로 구성된 크리에이티브 미디어아트 그룹이다. 실감 미디어 콘텐츠, CG·VFX 애니메이션, 미디어아트 전시를 주축으로 특별한 스토리와 경험을 선사한다.자체 랩(Lab) 운영을 통해 지속적인 아이디어 검증과 AR, VR, 컴퓨터 비전 등 신기술을 도입한 콘텐츠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CUZ의 목표는 예술과 기술의 교차점에서 미디어아트를 통해 대중에게 더 가깝고 친근한 형태의 예술적 영감을 전달하는 것이다.
-
▲ 인도 다국적 기술기업인 조호(Zoho) 본사 이미지 [출처=위키피디아]2025년 2월4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기업 경영과 통계를 포함한다. 인도 다국적 기술기업인 조호(Zoho)에 따르면 2024년 나이지리아 기업 중 전면적으로 원격근무를 시행하는 곳은 14%로 집계됐다.남아프리카공화국 구직 사이트인 커리어정션(CareerJunction)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디자인, 미디어&예술 전문직의 고용 활동 성장율은 2024년 3분기와 비교해 22%로 집계됐다. ◇ 인도 조호(Zoho), 2024년 나이지리아 기업 중 전면 원격근무 시행하는 곳은 14% 집계인도 다국적 기술기업인 조호(Zoho)에 따르면 2024년 나이지리아 기업 중 전면적으로 원격근무를 시행하는 곳은 14%로 집계됐다.2024년 나이지리아 기업들의 생산성과 협업 실태를 조사한 결과이다. 고용 인원이 50명 이상인 기업 500곳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나이지리아 기업체의 55%는 아직도 현장 근무로 운영되고 있으며 31%는 복합 근무 형태를 도입했다. 협업 필요성이 적은 직군에서 재택근무 도입율이 높았다.재택과 현장 근무를 동시에 하는 하이브리드 노동자의 경우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은 경우가 높았다.나이지리아 국내 기업의 주요 어려움으로는 과중한 앱 사용율이 지적됐다. 앱 이용율이 높음에도 작업의 진척도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열악한 와이파이(WiFi)와 데이터 환경으로 효율적인 소통이 어렵기 때문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커리어정션, 2024년 4분기 디자인, 미디어&예술 전문직의 고용 활동 성장율 전분기 대비 22% 집계 남아프리카공화국 구직 사이트인 커리어정션(CareerJunction)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디자인, 미디어&예술 전문직의 고용 활동 성장율은 전분기와 비교해 22%로 집계됐다.이중 △저널리즘 △작문 △편집 △인테리어 디자인 △그외 디자인, 미디어&예술 부문의 고용 수요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반면 △금융 전문가 -7% △IT 전문가 -5% △판매 전문가는 -12%로 고용 활동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학 스킬과 고학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금융과 IT 일자리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이다.
-
▲ 삼성전자 Neo QLED 8K 제품[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월7일~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구글과 공동 개발한 3D 오디오 기술 ‘Eclipsa Audio(이클립사 오디오)’를 탑재한 TV를 업계 최초로 선보인다.이클립사 오디오는 IAMF(Immersive Audio Model and Formats) 기술을 기반으로 소리의 위치와 강도, 공간 반사음 등의 음향 데이터를 디바이스 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3차원 공간에 있는 듯한 몰입감 있는 사운드 경험을 구현한다.IAMF 기술은 삼성전자를 포함한 구글·넷플릭스·메타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이 속한 ‘오픈미디어 연합(AOM)’에서 최초로 채택한 오디오 기술 규격으로 오픈소스 기반으로 제공되는 첫 번째 개방형 오디오 기술이다.오픈미디어 연합(AOM, Alliance for open media)은 콘텐츠 제작자들이 비용 부담 없이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공유를 목표로 운영하는 비영리 산업 컨소시엄이다.IAMF 기술은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주도해 표준을 확립함으로써 생태계 확장에 이바지하고, 향후 다양한 서비스로 확산이 가능할 전망이다.삼성전자는 2025년형 크리스탈 UHD 모델부터 Neo QLED 8K까지 전 라인업에 IAMF 기술을 공식 지원한다.삼성전자와 구글은 TV 전용 유튜브 앱을 통해 소비자들이 IAMF 기술이 적용된 3D 오디오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와 구글은 IAMF 오디오 인증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 중이다.양사는 외부 인증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함께 Eclipsa Audio 기술이 적용된 기기의 오디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테스트 기준을 마련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손태용 부사장은 “CES 2025에서 3D 오디오 기술을 탑재한 Neo QLED TV를 통해 차세대 몰입형 오디오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IAMF 기술을 통해 업계에 새로운 오디오 표준을 정립할 것이다”고 강조했다.구글 크롬의 짐 뱅코스키(Jim Bankoski) 엔지니어링 부사장은 “구글은 Eclipsa Audio가 소리를 경험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믿는다. 크리에이터들이 이를 어떻게 활용해 새롭고 혁신적인 오디오 경험을 만들어낼지 기대가 된다”고 밝혔다.
-
2024-11-07▲ IBK기업은행 로고[출처=IBK기업은행]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에 따르면 2024년 11월7일(목) 서울특별시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7회 대한민국소통어워즈에서 ‘소셜미디어 종합대상(국회 위원장상)을 수상했다.또한 ‘대한민국소통 금융 부문 대상’, ‘대한민국디지털콘텐츠 시리즈콘텐츠 부문 대상’을 함께 수상했다. 기업은행은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중기지원, 금융·경제, 은행 상품 등 정보를 트렌디하게 제작해 구독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이끌어낸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특히 중소기업의 제품 생산 과정을 영상미가 돋보이는 콘텐츠로 제작한 ‘팩토리 유니버스’, 다양한 금융정보와 세무·재테크 등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을 은행 담당자가 직접 출연해 소개하는 ‘IBK Talk’ 시리즈가 구독자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다.대한민국소통어워즈는 사단법인 한국인터넷소통협회가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한민국 국회가 후원하는 소통·마케팅 관련 시상식이다. 기업과 공공기관의 소셜미디어 활용성, 디지털 기반 소통지수 등을 평가해 시상한다.
-
▲ 도쿄상공리서치 홈페이지중국 최고 입법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全国人民代表大会) 상무위원회는 2024년 11월4일~8일 개최되는 회의에서 향후 몇년 간 10조 위안 이상의 추가 부채 발행을 승인할 계획이다.창안자동차(长安汽车)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영업 이익은 342억37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5% 감소했다. 동기간 순이익은 7억4800만 위안으로 66.44% 줄어들었다.일본 도쿄상공리서치(東京商工リサーチ) 간사이지부 정보부(関西支社情報部)에 따르면 후나이 전기(船井電機)가 출판사에 인수된 이후 300억 엔의 자금 유출이 발생했다.NEC는 상장 자회사 NEC 넷츠 에스아이(NECネッツエスアイ)를 완전 자회사하기로 결정했다. TOB(주식공개매입)를 통해 다른 주주로부터 약 50%의 주식을 2354억 엔에 취득할 예정이다.일본 정부(政府)는 2025년 3월24일부터 마이넘버 카드와 운전면허증을 일체화시킨 마이너면허증(マイナ免許証)을 운영할 계획이다.대만 반도체 기업 미디어텍(聯發科, MediaTek)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연결 매출액이 NT$ 1318억13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3.6% 증가했다.◇ 중국 창안자동차(长安汽车), 2024년 3분기 영업이익 342억3700만 위안중국 최고 입법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全国人民代表大会) 상무위원회는 2024년 11월4일~8일 개최되는 회의에서 향후 몇년 간 10조 위안 이상의 추가 부채 발행을 승인할 계획이다.지방정부 부채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6조 위안 뿐 아니라 유휴 토지 및 부동산 매수에 최대 4조 위안의 채권 승인 등이 포함된다.6조 위안 규모 부채는 2024년부터 3년에 걸쳐 조달되며 주로 지방정부의 비공식 부채 위험 해결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중국 창안자동차(长安汽车)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영업 이익은 342억37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5% 감소했다. 동기간 순이익은 7억4800만 위안으로 66.44% 줄어들었다.2024년 1~3분기 매출액은 1109억6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4% 소폭 증가했다. 동기간 순이익은 35억8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78% 감소했다.◇ 일본 정부(政府), 2025년 3월24일부터 마이너면허증(マイナ免許証) 운영일본 도쿄상공리서치(東京商工リサーチ) 간사이지부 정보부(関西支社情報部)에 따르면 후나이 전기(船井電機)가 출판사에 인수된 이후 300억 엔의 자금 유출이 발생했다. 파산 신청 시 117억엔 초과 채무가 발견됐다.파산절차 개시 신청서 등에 따르면 채권자는 524명, 부채액은 총 474억 엔에 달한다. 모기업 후나이전기 HD의 채무는 214억 엔 초과, 9월 말 기준 예금 약 700만 엔이 줄어들었다.일본 NEC는 상장 자회사 NEC 넷츠 에스아이(NECネッツエスアイ)를 완전 자회사하기로 결정했다. TOB(주식공개매입)를 통해 다른 주주로부터 약 50%의 주식을 2354억 엔에 취득할 예정이다.TOB 기간은 2024년 10월30일~12월11일이며 종가에 20% 프리미엄을 붙여 주당 3250엔에 의결권 기준 51% 네츠에스아이주를 매입한다.일본 정부(政府)는 2025년 3월24일부터 마이넘버 카드와 운전면허증을 일체화시킨 마이너면허증(マイナ免許証)을 운영할 계획이다.관련 개정 도교법시행령(道交法施行令) 등을 각의 결정했다. 통합은 선택 사항이며 기존 면허증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경찰청은 면허 종류 등 정보를 마이 넘버 카드 내장 IC칩에 기록해 면허증 기능을 갖게 한다. 마이너 면허증만, 종래의 운전면허증만, 병용-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대만 미디어텍(聯發科, MediaTek), 3분기 연결 매출액 NT$ 1318억1300만 달러대만 반도체 기업 미디어텍(聯發科, MediaTek)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연결 매출액이 NT$ 1318억13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3.6% 증가했다.연간 세후 순이익은 255억900만 위안 증가했으머 분기 1.4% 감소, 연간 37.8% 확대됐다. 주당 순이익은 15.94달러로 전분기 16.19달러 대비 소폭 감소했다.3분기 영업이익은 238억6400만 위안으로 분기 감소율 4.4%, 연간 증가율 33%를 기록했다. 영업 총 이익률은 전분기와 동일한 48.8%이며 연간 증가율은 1.4%다.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