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미쓰비시중공업"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0-12▲ 아랍에미리트 냉방 서비스 제공업체인 Empower(Emirates Central Cooling Systems Corporation PJSC)는 일본 미쓰비스 중공업의 냉방 시스템 개발 자회사인 MHI Thermal Systems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Empower 엑스(X) 계정] 2024년 10월 2주차 아랍에미리트 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서비스, 통계 등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이 두바이 국립항공여행사(dnata)에 따르면 대한민국 저가항공사인 티웨이항공(T’way Air)과 이탈리아 로마 피우미치노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FCO)의 케이터링 서비스에 대한 다년간 계약을 체결했다.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비석유 부문 수출의 22%는 도로 운송으로 진행됐다. 2023년 도로 운송을 통한 비석유 부문의 수출 규모는 AED 5764억 디르함(US$ 1569억 달러)로 집계됐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재생에너지 회사인 마스다르(Masdar)에 따르면 2023년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규모는 31.5기가와트(GW)로 전년 대비 58% 확장했다.연간 지속가능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만6700기가와트시(GWh) 이상이며 이산화탄소(CO2e) 배출량은 1400만 톤(t)을 절감했다.해외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재생에너지 비중을 50% 이상 늘리며 재생에너지 규모를 확장할 수 있었다. ESG 경영의 일환으로 자산의 환경 부문 실적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랍에미리트 상품 교환 및 자유무역지역인 두바이 종합 상품센터(DMCC)에 따르면 스위스 블록체인 벤처자본기업인 크립토벨리벤처캐피털(CV VC)과 지역별 웹3(Web3) 생태계 향상 및 지원을 위한 전략적 협업을 체결했다.협업을 통해 스위스와 두바이의 각 운영 기관의 웹3 앙트레프레너십을 가속화해 웹3 생태계 내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한다.양사 간의 지역 협업의 일환으로 교육 프로그램과 워크숍, 지식 공유, 협업 이벤트 등을 진행해 블록체인 기술 이노베이션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차 시설 및 서비스 제공기업인 파킨(Parkin Company)에 따르면 영국 항공 자산 서비스 및 드론 기업인 스카이포츠 인프라시설(Skyports Infrastructure)과 두바이 수송 인프라시설 개선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파킨의 주차 시설 네트워크에 스카이포츠의 수직이착륙장(Vertiport) 인프라시설을 도입해 서비스 제공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협업에 따라 양사는 수직이착륙장에 주차 시설을 제공하며 새로운 에어 택시(Air taxi) 인프라시설의 개발과 에어 택시 서비스를 확장하고자 한다.▲ 두바이 주차 시설 및 서비스 제공기업인 파킨(Parkin Company)은 2024년 10월 스카이포츠 인프라시설(Skyports Infrastructure)과 두바이 수송 인프라시설 개선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출처=스카이포츠 인프라시설 홈페이지]○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4년 10월 요르단과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했다. 양국간 투자 규모는 US$ 225억 달러를 초과했다.주요 산업 부문인 에너지, 농업, 식량 안보 등의 협업 강화와 원활한 무역 및 투자 흐름을 조성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CEPA의 일환으로 재생가능에너지 개발을 통해 2020-2030 요르단 에너지 전략(Jordan Energy Strategy)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요르단 발전량의 29%는 태양열과 풍력 발전을 통해 충족하고 있○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이 두바이 국립항공여행사(dnata)에 따르면 대한민국 저가항공사인 티웨이항공(T’way Air)과 이탈리아 로마 피우미치노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FCO)의 케이터링 서비스에 대한 다년간 계약을 체결했다.계약에 따라 dnata는 인천국제공항(ICN)과 로마 노선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연간 8만개 이상의 식사를 준비 및 공급하게 된다.티웨이항공은 1주에 3회 해당 노선을 운항한다. 티웨이는 로마를 비롯해 최근 바르셀로나, 프랑크푸르트, 파리 등 유럽 지역의 운영을 확장하고 있다.현재 dnata는 이탈리아 국내의 11개 항공 내에서 37개 항공사에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냉방 서비스 제공업체인 Empower(Emirates Central Cooling Systems Corporation PJSC)에 따르면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의 냉방 시스템 개발 자회사인 MHI Thermal Systems(Mitsubishi Heavy Industries Thermal Systems Ltd)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계약에 따라 2025년부터 최신 기술을 활용한 고효율 터보 냉동기 18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전체 수용량은 5만6250냉동톤(RT)로 두바이 내 여러 냉각 시설에 배치한다.이번 협업은 양사 간 2번째 협업 계약 체결이다. 두바이 내 주거, 상업, 보건, 교육 등 다양한 부문의 고객들에게 최신 기술을 접목한 냉각 시설을 제공할 방침이다.양사는 냉방 인프라 시설의 기술 발전과 에너지 효율 솔루션을 통한 탄소 중립 사회를 가속화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아랍에미리트 부동산 서비스 기업인 알다(Aldar)에 따르면 두바이 전시관 및 무역센터인 엑스포 시티 두바이(Expo City Dubai)와 복합 용도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50대50 조인트벤처에 따라 두바이 국제공항인 알막툼 국제공항(Al Maktoum International Airport) 근처에 주거, 오피스, 소매업 등 다목적 건물 6개를 건설한다.건축 규모는 AED 17억5000만 디르함(US$ 4억8000만 달러)이며 완공 이후 주요 국제 행사 개최 등 비즈니스와 관광업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비석유 부문 수출의 22%는 도로 운송으로 진행됐다. 2023년 도로 운송을 통한 비석유 부문의 수출 규모는 AED 5764억 디르함(US$ 1569억 달러)로 집계됐다.국내 주요 도시와 항만, 산업 지역을 연결하는 UAE 철도 프로그램(The UAE Railway Programme)의 개발에 집중할 방침이다.국내 철도와 지원 부문의 개발을 통해 경제 기회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정했다. 화물 수송 이후 2025년 말부터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는 승객 교통 부문을 시작할 예정이다.
-
2021-03-31일본 중공업회사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에 따르면 미쓰이 E&S(三井E&S造船株式会社)과 함정 및 선박 사업 양도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간 최종 합의를 통해 결정됐다. 양사간의 사업이 친화성이 높고 상호 보완될 것으로 기대된다. 통합 운영으로 함정 및 특수 기계 운영을 강화하고 기업 가치를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공정거래윈원회 등 당국의 조사를 거친 이후 2021년 10월까지 양도를 완료할 예정이다. 미쓰이사의 조선소인 타마노함선공장(玉野艦船工場)은 사업을 계속 진행한다.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 로고
-
2021-01-26일본 자동차 부품 제조 자회사인 토요타샤타이(トヨタ車体)에 따르면 2021년 2월부터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 직원을 파견 형태로 받을 계획이다.해당사는 이미 중공업 기업인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 등으로부터 직원 수백명을 받아들였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수요가 감소된 항공기 분야 인력을 자동차 산업으로 파견한 것이다.서로 간 업종의 인력을 받아들여 자동차 산업의 증산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이다. 팬데믹 이후 토요타가 인원 파견을 받아들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조사됐다. ▲토요타샤타이(トヨタ車体) 로고
-
일본 중공업회사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에 따르면 미국 통합 에너지기업인 엔터지 코퍼레이션(Entergy Corporation)와 수소 생산과 저장 및 이용에 대해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실질적으로 제로로 만들 목표를 설정했다. 수소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국내외 기업과의 제휴도 증가하고 있다.미츠비시중공업은 자회사로 화력발전설비를 제작하는 미츠비시파워와 미츠비시엔진을 보유하고 있다. 포괄적이 업무 제휴로 관계사도 참여할 예정이다.▲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 로고
-
2020-12-29일본 중공업 회사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에 따르면 수소를 이용한 제철 시설을 유럽에 건설할 계획이다. 기존의 석탄 이용을 대체하는 것이다.이산화탄소 배출량 제로 달성을 목적으로 한다. 지구 온난화 대책을 위해 유럽에서는 수소를 이용한 제출 시설의 실용화에 가속화하고자 한다.▲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 로고
-
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에 따르면 2018년 4~6월기 매출액은 9061억7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했다.2018년 4~6월기 영업이익은 314억27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배 성장했다. 수주액은 7071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늘어났다.이중 항공, 방위, 우주 등의 매출액이 1506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0억엔 감소했다. 2018년 4~6월기 영업이익은 121억엔 적자를 기록해 전년 동기 68억엔 적자 대비 확대됐다.또한 2019년 3월기 예상실적은 매출액 4조2000억엔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가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1600억엔 으로 전년 대비 2.8배, 순이익은 800억엔 흑자, 수주액은 4조100억엔이 전망된다.▲ Mitsubis▲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 로고
-
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에 따르면 2017년 4~12월 연결 매출액은 2조8514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동기간 연결 최종 손익은 247억엔으로 전년 동기 112억엔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영업이익은 800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9% 늘어났다.지게차 및 자동차 용 터보차저, 항공기 부품 비용 개선에 따른 이익이 늘어났다. 반면 대형 여객선 건설지연으로 인한 막대한 손실이 없어졌기 때문이다.반면 화력발전 설비 등 원자력 관련 매출 감소, 제트 여객기 MRJ 개발비 증가로 이익이 줄어 들었다. 또한 2018년 3월기 연결 매출 예상액은 4조500억엔으로 , 영업이익은 1800억엔, 최종 이익은 800억엔으로 전망된다.2018년 1월 하순 미국 동부항공의 MRJ 주문 40대 취소 확정 및 개발비 당초 계획 대비 2배이상, 동기간 MRJ수주 제로 등의 영향으로 이익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히타치제작소와 합작으로 추진한 화력발전 설비사업은 수요 감소로 생산체제를 재검토하고 있다. 향후 매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고 판단된다.▲ Japan_MHI_Logo▲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 로고
-
2017-02-01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에 따르면 2017년 태국에서 에어컨의 생산능력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부품공장과 전장기판을 만드는 공장을 신설하고 기존공장에 에어컨 조립시설을 새롭게 도입할 계획이다.투자금액은 약 30억엔이며 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에어컨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 해당공장은 2018년부터 가동하기 시작해 연간 생산량 270만개로 2015년 대비 30% 늘릴 계획이다.▲조립라인 이미지(출처 : 미쓰비시중공업)
-
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은 2016년 10월부터 유럽에 룸 에어컨 ‘ZSX시리즈’와 ‘ZS시리즈’ 총 9기종을 순차적으로 생산 및 판매할 예정이다.에너지절약의 성능을 높이고 유럽 주택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 이탈리아 디자인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향후 2017년 유럽 30개국에서 매출액 전년 대비 10% 확대를 목표로 한다.▲ZSX시리즈(좌)와 ZS시리즈(우) 이미지(출처 : 미쓰비시중공업)
-
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은 2016년 8월 시속 120킬로미터로 주행이 가능한 새로운 교통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실용화한다고 밝혔다.전자동 무인운전차량으로 철도에 비해 도입비용이 20~30% 저렴하며 사물인터넷(IoT)기술 활용, 상시 감시가 가능해 보수 및 관리비용 등을 줄일 수 있다.철도 수준의 속도를 확보해 향후 도시 근교의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흥국을 중심으로 판매를 강화할 계획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