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보유 특허"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인천항만공사 CI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기술력 강화와 신사업 판로 지원을 위해 공사가 보유한 특허 등 지식재산권 3건을 무상 양도했다.공사는 2024년 12월 ‘인천항만공사 지식재산권(특허 등) 기술나눔 공고’를 통해 공사 보유 지식재산권 28건 중 14건을 양도받을 중소·중견기업을 모집했다. 기업의 적정성 및 특허 활용계획 등 적격심사를 거쳐 최종 2개 기업에 지식재산권 3건을 양도했다.‘기술나눔’은 중소·중견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와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보유한 미활용 기술을 유·무상으로 양도하거나 전용 실시권을 부여하는 사업이다.전용 실시권은 특허권자가 정한 범위에서 타인의 특허 발명·등록 실용 신안·등록 의장 등을 독점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이번에 양도한 기술은 특허 2건으로 바지선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및 착탈식 방충재 고정장치와 이와 관련된 디자인 선박용 완충재 고정구 1건이다.특허 양도를 위해 공사는 발명자를 포함한 지식재산권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적정성을 검토한 후 법률 자문을 거쳐 양도·양수 계약을 체결했다. 특허청을 통한 권리이전까지 모두 완료했다.공사는 이번 기술 나눔에 그치지 않고 양수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의 사업화 및 상용화 전략 수립, 기술지도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인천항만공사 정근영 건설부문 부사장은 “인천항만공사의 항만 기술력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으로 이어지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이번 기술나눔이 국내 중소기업의 항만 신시장 개척과 사업 확장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
2025-04-15▲ 우리은행 본사 전경[출처=우리은행]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에 따르면 2025년 4월14일(월) 특허청(청장 김완기)과 ‘지역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 본점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김완기 특허청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이번 협약은 시중은행과 특허청이 손잡고 지역 지식재산 금융지원에 나서는 첫 사례로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본 협약에 따라 특허청은 지역지식재산센터(RIPC)를 통해 지식재산경영 인증기업 등 지역 우수 지식재산 보유기업을 발굴하고 은행과 정보를 공유한다.우리은행은 지역별 중소기업 특화 채널인 BIZ프라임센터를 통해 △지식재산(IP) 담보대출 △벤처투자 추천 △경영 컨설팅 등 맞춤형 금융지원을 제공한다.정진완 우리은행장은 “우수한 기술력 및 지식재산을 보유한 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을 발굴해 성장에 필요한 금융지원 및 경영 컨설팅 등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지식재산금융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1-04-13일본 휴대전화 및 이동통신기업인 NTT도코모(NTTドコモ)에 따르면 5G 서비스를 보유하기 위해 필요한 5G 표준 필수 특허 보유 수는 세계 3위로 집계됐다. 2020년 10월 기준으로 세계 6위를 기록한 것에서 순위를 올린 것이다. 해당 순위는 5G 표준 필수 특허 관련 주요 기술과 서비스 개발 동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이다. 5G 필수 특허의 숫자는 5G 규격의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의 기술적 기여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NTT가 글로벌 통신업체 중에서는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2021년 3월 기준 NTT도코모가 보유한 특허는 누계로 130건에 달한다. 참고로 NTT도코모는 총무성이 설립한 'Beyond 5G 신경영 전략센터'의 회원이다. ▲NTT도코모(NTTドコモ)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6-07중국 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中国科学技术发展战略研究院)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인공지능(AI) 시장 규모가 $US 119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2018년 국내 인공지능 시장 규모 17억6000만달러의 약 6.8배에 달한다. 인공지능이 중국 경제성장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스마트 제조, 과학기술, 금융, 디지털 컨텐츠, 뉴미디어, 새로운 소매(New Retail), 스마트 시큐리티 등 18개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2018년 글로벌 인공지능 분야 특허출원 건수 13만건으로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AI 응용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중국은 이를 기반으로 2030년 인공지능 이론, 기술, 응용 등에서 글로벌 선진수준의 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글로벌 인공지능 혁신센터로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참고로 중국차세대인공지능개발보고2019(中国新一代人工智能发展报告2019)에 포함된 내용이다. 과학기술부 차세대인공지능개발연구센터,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연합국내외 다수 기관 등이 작성에 참여했다.▲ castd▲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中国科学技术发展战略研究院) 홈페이지
-
2018-10-18중국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Alibaba)에 따르면 보유한 블록체인 특허가 90개로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위는 89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IBM이다.다른 국내 기업을 보면 텐센트(Tencent)는 40개로 8위, 바이두(Baidu)는 40위를 각각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3개업체 모두 2015년부터 블록체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해 다양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2018년 1월 알리바바가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P2P서비스를 론칭하면서 가상화폐를 적용한 것은 아닌지 의심을 받았다. 알리바바는 부인했지만 가상화폐의 개념과 동일한 서비스였다.2018년 4월 알리바바는 두바이의 '알라바바코인(Alibabacoin)'이라는 업체를 미국 법원에 제소했다. 알리바바는 자사의 서비스로 혼란을 초래할 여지가 있다며 이름을 변경하라고 요구했다.알리바바코인은 $US 35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는데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라는 명칭을 사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알리바바는 가상화폐로 알리페이(Alipay)를 서비스하고 있다.▲알리바바(Alibaba) 알리페이(출처 : 홈페이지)
-
2018-08-26핀란드 네트워크 및 통산장비제조업체인 노키아(Nokia)에 따르면 자사가 보유한 5G스마트폰 1대당 €3유로의 로열티를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노키아(Nokia)와 마찬가지로 5G 관련 특허를 보유한 에릭슨(Ericsson)은 스마트폰의 가격에 따라 $US 2.50달러에서 5.0달러, 퀄컴(Qualcomm)은 스마트폰이 5G전용이면 기기 가격의 2.275%, 멀티 모드이면 기기 가격의 3.25%를 징수한다.노키아(Nokia), 에릭슨(Ericsson), 퀄컴(Qualcomm)은 공동으로 5G스마트폰 1대당 21달러를 로열티로 받기로 합의했다. 다른 기업들이 제시한 금액보다 높은 편이다.중국의 통신장비 및 스마트기기 제조업체인 화웨이(Huawei)는 5G 기술특허에 대해 로열티를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합리적인 수준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관련 업체들은 글로벌 통신회사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4G기술을 버리고 5G시대가 빨리 도래할 수 있도록 협력할 방침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참고로 노키아(Nokia)는 스마트폰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흐름을 타지 못해 위기를 경험했지만 자사가 보유한 5G기술 특허를 바탕으로 향후 10년간은 성장기반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노키아(Nokia) 본사(출처 : 위키피디아)
-
대만 스마트폰 대기업 HTC(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에 따르면 구글 Pixel 스마트폰 개발자와 HTC가 보유한 휴대폰 특허기술을 구글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매각 대금은 약 $US 11억달러로 기술자 약 2000여명은 구글로 이적하게 된다. HTC의 2017년 8월 매출은 약 $NT 30억달러로 1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9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HTC는 2010년부터 구글 스마트폰 Nexus One의 제조하고 있으며 2016년 Pixel을 제조했다. 또한 구글이 개발한 VR 플로폼 Daydream의 독립형 헤드셋을 개발하고 있다.▲ Taiwan_HTC_Logo▲대만 스마트폰 대기업 HTC(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로고
-
중국 액정패널 대기업 징동방커지그룹(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BOE)에 따르면 일본 이데미츠코산과 유기EL사업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BOE는 중국 내 여러 공장에서 유기 EL패널 양산을 위한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이데미츠코산과의 제휴를 통해 양산기술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데미츠코산은 유기EL패널에 사용되는 청색발광재의 독자적인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어 양사 제휴를 통해 중국시장 확대를 노리고 있다.▲ China_BOE_Homepage 03▲징동방커지그룹(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BOE) 홈페이지
-
[일본] 혼다, 수소 1회 충전으로 750km가 주행가능한 연료전지자동차(FCV) 출시... 관련 특허를 4000건 보유 중이며 특허무상공여 추진
-
[일본] 혼다, 수소 1회 충전으로 750km가 주행가능한 연료전지자동차(FCV) 출시... 관련 특허를 4000건 보유 중이며 특허무상공여 추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