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비건"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06▲ ㈜아성다이소 ‘프릴루드 딘토(Prelude Dinto) 출시[출처=아성다이소]균일가 생활용품점 ㈜아성다이소(회장 박정부)에 따르면 ‘프릴루드 딘토(Prelude Dinto)를 출시했다. ‘프릴루드 딘토’는 비건 뷰티 브랜드 딘토의 신규 메이크업 라인으로 ‘프릴루드’는 서곡, 전주곡, 시작, 전조, 서막 등을 의미한다.이번 뷰티용품은 아이메이크업용품과 베이스메이크업용품 등 6종을 선보인다. 먼저 매력적인 눈매를 만들어주는 아이메이크업용품을 준비했다.‘노스탈지아 아이팔레트’는 부드러운 사용감과 우수한 밀착력을 지녔다. 덧발라도 맑은 음영과 색감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알맞게 다듬을 수 있는 ‘단테 샤프너블 브로우 펜슬’은 덧발라도 진해지거나 뭉치지 않는 고른 발색력으로 한 올 한 올 자연스러운 눈썹을 그릴 수 있다.‘단테 트리플 프루프 슬림 아이라이너’는 얇은 2밀리미터(mm) 타입으로 섬세한 눈 화장이 가능하다. 촉촉하고 부드러운 발림성으로 눈가에 자극없이 손쉽게 그릴 수 있으며 빠르고 강력한 고정력으로 오랜 시간 유지되는 지속력까지 갖췄다.고른 피부 표현을 위한 베이스메이크업용품도 준비했다. 피부톤을 보정해주는 ‘페어리 더스트 루스 파우더’는 뭉침 없이 부드럽게 밀착돼 불필요한 유분은 걷어내고 수분감을 남겨 건조함과 답답함 없이 메이크업을 유지해 준다.‘운초 블러매트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고운 입자가 피부에 빠르고 가볍게 고정되어 겉은 보송하고 속은 촉촉하게 만들어주며, 모공과 피붓결을 깨끗하고 결점 없는 피부로 연출해 준다.이 외에도 입술에 생동감을 주는 립메이크업용품도 마련했다. 맑은 색감의 ‘라벨르 로즈 플럼핑 립틴트’는 플럼핑 성분이 함유되어 입술을 더 도톰하게 표현할 수 있다.한편 비건 뷰티 브랜드 딘토는 국내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인기를 끌며,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아성다이소 관계자는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앞으로도 다이소는 다양한 뷰티용품을 계속 선보일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
2022-01-08미국 글로벌 패스트푸드 체인 운영기업인 맥도날드(McDonald's)에 따르면 비건 버거인 '맥플랜트(McPlant) 버거' 를 영국 모든 지점의 고정 메뉴로 결정했다. 2021년 가을부터 250개 지점에서 맥플랜트 버거가 성공적인 테스트 결과를 보였기 때문이다. 채식주의협회(Vegetarian Society)의 비건 승인도 받았다.맥플랜트 버거는 식물성으로 만든 대체 육류인 비욘드 미트(Beyond Meat) 패티, 비건 치즈, 토마토, 양상추 등으로 만든다. 맥플랜트 버거 가격은 £3.49파운드다. 감자 칩과 음료가 포함된 맥플랜트 버거 세트 가격은 £4.89파운드다. 영구적으로 맥플랜트 버거를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게 되면서 메뉴에 큰 변화를 시도했다. 2050년까지 맥도날드는 순제로(0) 배출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많은 비건 제품을 시험 판매하고 있다.▲맥플랜트(McPlant) 버거 (출처 : 맥도날드 UK(McDonald's UK) 홈페이지)
-
2022-01-04미국 글로벌 패스트푸드 체인운영기업인 버거 킹 UK(Burger King UK)에 따르면 2022년 1월 5일부터 영국 패스트푸드 체인점 최초로 '비건 너겟' 을 전국에 출시한다.국내 제과제빵 체인운영기업인 그레그스(Greggs)의 '비건 소시지 롤' 제품이 큰 성공을 거둔 이후 버거 킹 UK는 비건 제품에 더욱 집중하기 시작했다. 2021년에는 동물성 제품과 별도로 제조한 비건 로얄(Vegan Royale) 버거를 출시한 바 있다. 버거 킹 UK는 2030년까지 메뉴의 50%를 육류없이 만들어 온실가스 배출량 41% 감축을 달성할 계획이다.▲비건 너겟 제품 홍보 (출처 : 버거 킹 UK(Burger King UK) 홈페이지)
-
2020-02-25영국 초콜릿 및 캔디 제조기업인 캐드버리(Cadbury)에 따르면 채식주의자를 위한 우유를 함유하지 않은 비건 밀크초코바를 출시할 계획이다.캐드버리의 인기있는 밀크초코바 브랜드인 데어리밀크(Dairy Milk)바 시리즈 중 비건 데어리밀크 바를 개발 중이다. 채식주의자들이 증가하면서 비건 바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함이다.견과류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소비자들에게도 적합한 우유를 제외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대체 식재료를 찾고 있다. 개발긴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돼 비건 바 신제품 출시를 연기했다.지난 2년 동안 개발해왔으며 적절한 레시피도 탐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참고로 데어리밀크바는 115년 전통의 밀크초코바이다. ▲캐드버리(Cadbury)의 데어리밀크(Dairy Milk) 밀크초콜릿바 제품(출처 : 홈페이지)
-
2019-05-15오스트레일리아 햄버거 체인운영업체인 밀키레인(Milky Lane)에 따르면 완전한 채식 햄버거인 비건 햄버거 제품들이 인기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완전 채식 패티, 채식 베이컨, 비건용 치즈, 육즙같은 소스 역시 완전 채소 및 과일로 만든 소스 등이 사용된다. 가장 인기있는 비건햄버거인 빅포파(Big Poppa)버거는 $A 24달러이다.고기를 먹는 사람들조차도 빅포파버거를 맛보기 위해 구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밀키레인의 소셜 네트워크에 2019년 6월1일까지 제공되는 한정판 서비스를 공유하는 중이다.채식이 최근에 유행하기 시작한 트랜드는 아니지만 채식이 건강과 미용에 좋다는 인식, 새로운 음식을 추구하는 경향 등이 맞물려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밀키레인(Milky Lane)의 채식 햄버거 제품(출처 : 홈페이지)
-
글로벌 시장조사회사 닐슨(Nielson)에 따르며 2018년 미국의 비건밀크(Vegan Milk) 판매량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전체 시장 규모는 $US 16억 달러로 전체 미국 우유시장 점유율은 13%에 달한다. 반면에 일반 우유의 판매는 동기간 6% 줄어들었다.2012년부터 2017년 사이 미국 일반 우유 판매액은 15% 줄어들어 161.2억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전문가들은 2020년까지 일반 우유의 판매량은 11% 축소될 것으로 전망한다.2012년부터 2017년 사이 비건밀크의 판매량은 61% 확대됐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식물에 기반한 우유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미국 소비자의 19%는 건강상의 이유로 식물성 우유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식물성 고기 등을 포함한 식품의 인기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닐슨(Nielson)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제조사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2020년부터 프로젝트그린(Project Green)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프로젝트그린은 폰테라 1000곳의 협동조합 낙농농장들이 우유생산과 더불어 식물성우유 생산을 위한 콩작물재배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우선적으로 강, 개울 등 물가 주변의 낙농 목초지를 콩재배를 위한 토지로 전환시킬 계획이다. 물가 주변의 낙농목초지는 수질오염 문제로 늘 논란의 대상이었으며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젖소 사육비율은 하향조정돼 우유생산량은 줄어들지만 콩우유 제품 판매로 수익성을 유지시킬 방침이다. 기회 비용에 따른 손실은 콩작물의 수익과 협동조합의 소득 평준화 등으로 충당하려는 것이다.제품 다양화 전략은 폰테라가 글로벌 우유시장을 계속해서 이끌면서 경쟁사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만들 것으로 판단된다.▲폰테라(Fonterra)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