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비행기"으로 검색하여,
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12-30영국 방위 및 운송 대기업 BAE 시스템(BAE Systems)에 따르면 UAM(urban air mobility) 및 승객용 전기 비행기를 위해 수백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미국 NY에 위치한 전기 추진 연구소가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버스와 해양 차량 중심에서 도심항공교통(UAM) 및 기타 전기 항공기로 초점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심항공교통(UAM) 항공기 및 서비스의 도입으로 공중 활동 붐이 일어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함이다.따라서 뉴욕의 기존 엔지니어링 개발, 제조 및 실험실 공간을 업그레이드한다. 또한 사업 분야 역시 버스, 선박의 에너지 저장, 제어, 전력 변환 시스템 위주에서 전기 항공기 분야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지난 25년 동안 수행해온 수상 선박 및 여객 버스용 전기 추진 시스템 설계, 개발, 테스트 사업에서 에어택시, 드론 배송, 전기 동력 여객기 운영 등으로 범위를 넓힌다.▲ BAE 시스템(BAE Systems) 홈페이지
-
2021-07-13미국연방교통안전위원회(이하 NTSB)에 따르면 최근 하와이 상공에서 바다 속으로 추락한 수송기 잔해를 수중 드론을 투입시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지난 7월 2일, 호놀룰루 국제공항에서 출발한 보잉 737-100 수송기가 오전 1시 33분에 이륙했다. 그러나 이륙한 지 9분 만에 엔진 이상을 감지한 조종사 2명이 관제소에 이를 보고했다.결국 킬라엘로아 공항에 비상 착륙을 시도하려 했지만 엔진 불능으로 인해 바다 속으로 추락했다. 다행히 해안경비대에 의해 2명의 조종사를 무사히 구조됐고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비행기 사고가 발생하면 NTSB는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기 위해 블랙박스를 수거한다. 그러나 추락한 수송기가 해수면 아래 약 130미터에 잠겨져 있어 조사에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다.우선 수중 음파 측정기인 사이드 스캔 소나(Side-Scan Sonar)로 잔해물 위치를 탐지했다. 이후 NTSB의 지원 요청을 받은 시 엔지니어링(Sea Engineering)은 드론개발업체 시모어 마린(SEAMOR Marine)에서 개발한 수중 드론을 투입했다.시모어 마린의 탐지용 수중 드론 ‘Seamoor Chinook Inspection ROV’를 사용해 잔해물의 영상 및 이미지를 획득했다. 동체가 부서져 비행기 앞부분이 떨어져 나갔고, 꼬리 부분도 부러진 것으로 확인됐다.기존 방식처럼 잠수팀이 투입되거나 수색정에 수중 카메라를 매달아 잔해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시간, 비용, 정확도의 측면에서 드론보다 뒤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NTSB 관계자는 “수중 드론으로 사고 비행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조사에 충분한 참고자료가 됐다”면서 “이후 비행 기록 장치를 분석해 더욱 정밀하게 알아볼 것이다”라고 밝혔다.참고로 시 엔지니어링은 하와이주립대학교에서 설립한 복합 엔지니어링업체이다. 한편, 시모어 마린은 수중 드론만을 개발하고 제작하는 업체로 2006년 설립됐다.▲수중 드론으로 촬영한 사고
-
2019-04-27일본 소프트뱅크(ソフトバンク)에 따르면 20킬로미터 상공 성층권에 드론(Drone) 중계기 설치를 위해 미국 IT 대기업 구글그룹과 제휴했다. 휴대폰 전화기지국을 만들기 위한 목적이다.지상에 설치한 기지국 전파가 닿지 않는 산간지역, 외딴섬 지역, 개발도상국 등에 기지국의 기능을 가진 무인 항공기를 비행해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려는 것이다.소프트뱅크는 무인항공기 운항관리 자회사 HAPS 모바일을 통해 운항관리 시스템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풍선형 무인기를 통한 통신 서비를 개발한 구글의 벤처기업 룬과 제휴했다. 실용화 목표는 2023년경이다.▲ softbank▲ 소프트뱅크(ソフトバンク) 홈페이지
-
뉴질랜드 항공사인 에어뉴질랜드(Air New Zealand)에 따르면 세계 최초로 비행기 좌석 부품 교체를 위해 3D프린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자사 비행기가 로스엔젤레스공항(LAX)을 이륙하기 전에 신속한 좌석수리를 위해 3D프린터로 제작된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필요한 디지털 항공기부품 파일을 주문하면 즉시 로스엔젤레스의 Moog가 운영하는 승인된 프린터로 보내진 후 다운로드되고 3D프린터됐다. 이후 신속한 좌석수리가 가능해졌다.부품 구입부터 설치까지 전체 거래는 Microsoft Azure Cloud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Moog의 VeriPart 디지털 공급망 시스템으로 처리된다. 블록체인 기술도 적용된다.항공사가 3D프린터를 이용하고, 3D프린터로 제조한 항공기 부품이 품질을 인증받는다면 상업용 항공사들에게도 상당한 이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에어뉴질랜드(Air New Zealand) 홈페이지
-
2018-08-26미국 MIT대학에 따르면 잠수함에서 비행기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로선 비행기가 수중에서 보내는 소나(sonar) 신호를 잡을 수 없다.잠수함에서 보내는 신호는 물의 표면에 반사되면서 표면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때문에 MIT대학의 과학자들은 물속의 작은 파장도 탐지할 수 있는 초고주파 레이더를 개발했다.현재 잠수함은 소나 파장을 통해 다른 잠수함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수중에서는 통신이 자유롭지만 공중에 있는 항공기와는 통신이 어려운 실정이다.또한 잠수함은 메시지를 외부로 보내기 위해서 표면으로 부상해야 하는데 위치를 노출시킬 수 있어 위험하다. 따라서 잠수함은 통상적으로 부표를 이용해 소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무선신호로 전환하도록 한다.MIT대학의 과학자들은 수영장에서 이러한 아이디어를 테스트한 결과 물속에서 보낸 메시지를 공중에서 수신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까지는 기술적 난제가 아직 남아 있다.또한 표면의 파도가 16센티미터(6인치) 이상이면 신호를 감지할 수 없다. 파도가 없거나 표면이 잔잔한 시기에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파도를 제외하면 다른 날씨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다른 기술적 제약점은 잠수함은 비행기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성립하지 않는다. 즉 비행기는 잠수함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과학자들은 바다의 파도가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중이다. 미래에는 비행기나 드론(drone)이 바다에 추락한 항공기의 블랙박스(black box)를 찾는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IT대학 전경(출처 : 홈페이지)
-
중국 선전시 UAV 산업협회(深圳市无人机行业协会)에 따르면 선전시에 무인항공기(드론, Drone) 관련 기업수가 약 2000개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선전시는 글로벌 드론 애호가들이 '무인항공기 도시'라 부를 정도로 UAV산업이 발달해 있다. 선전시의 연간 드론(무인항공기) 생산 유발 가치는 300억위안으로 글로벌 드론 시장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또한 선전시에는 드론 관련 기업외 항공장비산업 기업이 약 500개 있다. 주로 항공 관련 시스템 설비 제조 및 수리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China_Shenzhen UAV Industry Association Logo▲선전시 UAV 산업협회(深圳市无人机行业协会)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항공컨설팅 전문업체인 CAPA(Centre for Asia Pacific Aviation)에 따르면 인도 항공업체가 항공기 1000대 이상 주문해 미국과 중국 다음으로 세계 3번째 비행기 수입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국내에 약 480대의 비행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저가항공사인 IndiGo, SpiceJet 등을 중심으로 총 880대의 항공기를 주문했다.1080대 주문 중 700대 이상이 10년 후, 400대는 향후 5년 내에 도착될 것으로 예상된다. 항공산업 성장과 함께 열악한 인프라 시설 성장율, 안전문제 등이 우려되고 있다.▲Centre for Asia Pacific Aviation(CAPA) 로고
-
2017-02-16▲ 일본 항공업체인 전일본공수(ANA) 항공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항공업체인 전일본공수(ANA)에 따르면 2017년 2월 드론을 활용한 여객기의 점검작업을 실험했다. 운항 후 여객기의 손상을 확인하는 외관작업을 드론으로 대체하기 위한 목적이다.ANA는 국제선을 중심으로 노선의 신설과 증편을 진행하고 있다. 검사의 시간 단축 등 운항정비를 효율화할 수 있는 장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실험을 진행한 드론은 전체 길이 57미터의 중형 여객기인 'B787'의 등을 카메라로 촬영하면서 초속 1미터로 자동 비행했다. 모든 부분을 촬영하고 착륙한 것은 약 10분 정도였다. ANA는 이번 촬영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방법을 확립할 계획이다.현재는 고소 작업차에서 점검하지만 1기당 수십분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지연과 취소가 발생해 작업의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여객기는 천둥에 의해 상처나 굴곡이 생긴다. 업체는 손상의 정도와 부위를 확인해 운항의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
나이지리아 공군(NAF)에 따르면 1월 19일 미국의 항공기 제조사 Comp Air Aviation와 경비행기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공군에 의하면 북부의 보코하람과의 분쟁, 남부의 니제르 유전델타 지역의 안전을 이유로 국내의 공군력을 더 발전시켜 대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경비행기는 운송, 구조 작업 등에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경비행기와 헬기가 유사한 목적에 활용되지만 경비행기가 안전성이 높은 편이다.▲Comp Air Aviation 로고
-
▲ 캐나다 항공기제조업체인 봄바디어(Bombardier)의 Q400 항공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필리핀 국영항공사인 필리핀항공(PAL)에 따르면 캐나다 항공기·열차회사 봄바디어(Bombardier)로부터 86인승 DHC8-400(Q400) 5기 등 총 12기의 항공기를 주문했다.총 구매금액은 $US 4억달러 이상이며 PAL측은 중단거리 비행에 유리한 작은 기종을 대량으로 구입해 국내선에 투입할 계획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