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송태섭"으로 검색하여,
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25▲ LG화학,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핵심 기술 개발(기존 공정(액상법)으로 만든 전해질은 입자크기 불균형으로 빈틈이 발생해 리튬 이온의 이동을 저해하고, LG화학의 신규 공정(스프레이 재결정화)은 전해질 입자크기가 균등해 리튬 이온의 이동이 원활함) [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11월25일(화)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고체 전해질의 입자 크기를 균일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해당 연구 결과가 세계적인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Advanced Energy Materials)’에 게재됐다. LG화학 차세대소재연구소와 한양대 송태섭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했다. LG화학이 전고체 배터리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 배터리에서 사용하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한다.안전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고체로 되어 있어 입자 크기가 균일하지 않으면 전지 내에 빈 틈이 생겨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LG화학과 한양대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해질 입자의 생산공정에 스프레이 재결정화(Spray-Recrystallization)기술을 적용했다.스프레이 재결정화 기술은 전해질 용액을 미세한 방울로 분사한 뒤 용매가 증발하면서 균일한 구형의 입자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기존 방식으로 만들어진 전해질 입자의 크기가 불균일한 단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균일한 전해질은 양극 활물질과 더욱 촘촘하게 밀착되고 이를 통해 리튬 이온이 더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기존 방식 전해질을 사용한 전지 대비 기본 용량은 약 15퍼센트(%), 고속방전용량은 약 50% 증가했다.배터리의 고속방전용량은 고출력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핵심 성능이다. 이번 기술을 기반으로 고체 전해질 개발 속도를 높이고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LG화학 신학철 부회장은 “이번 연구는 전고체 배터리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