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순손실액"으로 검색하여,
1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9-14▲ 브라질 통계청 빌딩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 2주차 브라질 경제동향은 2023년 전자상거래액이 급증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판매는 대도시 지역에 몰리고 있다.물류업체와 경쟁에서 밀리며 우체국의 손실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앙은행은 즉시 송금 시스템을 도입해 거래액이 급증하는 중이다. 국채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브라질 개발산업통상서비스부(MDIC)에 따르면 2023년 전자상거래액은 R$ 1961억 헤알로 전년 1878억9000만 헤알 대비 4% 증가했다. 2026년 이후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스마트폰 거래가 103억 헤알로 전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책과 브로셔 등 책자가 64억 헤알, 텔레비젼은 53억 헤알, 냉장고는 50억 헤알, 태블릿은 44억 헤알, 식품은 37억 헤알 순으로 나타났다.2023년 기준 스마트폰이 1위를 차지했지만 2021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43% 줄어들었다. 스마트폰 판매액은 2016년 181억 헤알, 2022년 169억 헤알을 각각 기록했다.사웅파울로와 같은 주요 도시의 전자상거래가 전체의 60%를 점유한다. 지역별로 보면 미라스 제라이스는 신발, 이스피리투 산토는 에어컨, 산타 카타리나는 냉장고 등이 많이 판매됐다.○ 브라질전기동차협회(ABVE)는 2024년 8월 사웅파울로 지역에서 판대된 전기자동차가 339대로 집계됐다. 2번째로 많이 판매된 카리아시카는 189대로 사웅파울로가 79.3% 많았다.다른 대도시를 보면 리베리앙 프레토가 112대, 상주제두히으프레토가 106대, 바루에리가 103대를 각각 기록했다. 브라질 전역에서 전기자동차의 판매가 늘어나고 있지만 대부분은 수도권에 치중돼 있다.8월 전체 판매량 1만4667대 중 76%인 1만1125대는 70개 지역에서 판매가 이뤄졌고 수도권은 7725대로 79%, 수요 도시는 3400대로 30%를 각각 점유했다. 사웅파울로는 110만 명의 주민이 살고 있어 전기자동차가 가장 많이 판매된 지역으로 등극했다.○ 브라질 우체국(Correios)는 2024년 상반기 순손실액이 R$ 13억5000만 헤알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다고 밝혔다. 7억3500만 헤알이 줄어든 수치다. 전임 정부에서 민영화하자는 의견이 제시됐으나 거절당했다.브라질 우체국은 우편물의 독점공급자이지만 니치 마켓인 소포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자가 끊임 없이 나오면서 경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포는 전자상거래에서 나오는 쇼핑 물건을 포함한다.2024년 상반기 우편물 매출액은 23억 헤알로 전년 동기 대비 8% 축소됐다. 반면에 소포 매출액은 45억 헤알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정부가 국제 상품의 구입에 대해 세금을 올리면서 국제 소포의 배달도 줄어들었다.○ 브라질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4년 9월6일 금요일 즉시 송금 시스템인 픽스(Pix)의 1일 거래건수가 2억2740만 회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이전 최고 기록은 7월5일 2억2420만 회였다.지불결제 시장에서 재정 통합, 혁신, 경쟁을 촉진하기 위한 공공 딜지털 인프라의 중요성을 알렸다. 9월3일 R$1184억1800만 헤알의 거래가 이뤄졌다.픽스는 2020년 11월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2024년 8월 말까지 1억6815만 사용자를 모집했다. 1억5311만 명의 개인 사용자이고 1404만 사용자는 법인이다. 2024년 7월 누적 사용금액은 2415조 헤알로 집계됐다.○ 브라질 재무부에 따르면 2024년 7월 국채(Tesouro Direto) 판매액이 R$ 64억 헤알로 역사상 두번째 많은 금액으로 드러났다. 2023년 68억4000만 달러가 가장 많은 금액이었다.2024년 6월과 비교하면 13.2% 늘어났다. 7월 판매액을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80.4% 확대됐다. 재무부가 기존 국채를 정책금리(Selic rate)로 조정해서 재구매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또한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국체를 판매한 것오 주효했다.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국채의 점유율은 42.5%였다. 정책금리와 연결된 채권은 38.9%를 차지했다. 고정금리 채권은 14.1%로 가장 낮았다.
-
오스트레일리아 도매유통 및 마케팅기업 메트캐쉬(Metcash)에 따르면 2018년 4월 30일 마감 기준 연간 순손실액은 A$ 1억4950만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연간이익은 1억7190만달러를 기록했다.2018년 5월 메트캐쉬는 회계연도 2017/18년 3억5200만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SA)주에서의 주요 계약 손해 및 경쟁심화 등으로 인한 손실로 분석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1억2500만달러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한 후 주가는 상승했다. 실적부진에도 불구하고 유보 현금액이 충분하기 때문이다.▲메트캐쉬(Metcash)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식료품제조기업 매기 비어(Maggie Beer)에 따르면 2017년 순손실액이 $A 26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손실액은 50~60만 달러이지만 감손회계가 180~200만 달러에 달하기 때문이다.Maggie Beer는 인지도 높은 브랜드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오스트레일리아 최고의 식품기업이다. 최근에 경영전략에 변화가 오면서 손실이 발생했지만 성장잠재력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Primary Opinion은 2016년 Maggie Beer의 지분 48%를 1500만 달러에 인수했다. Maggie Beer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 위치해 있으며 2014년 잘못된 라벨표지로 경쟁소비자위원회(ACCC)로부터 경고를 받았다.▲Maggie Beer 홈페이지
-
싱가포르 조선업체 트리야즈(Triyards)에 따르면 2016/17년 3분기 순손실액은 S$ 8650만달러로 집계됐다. 직전분기 순손실액 8500만달러에서 더욱 늘어난 것이다.지난 1년이 넘도록 특수선박 건조, 해양 석유·가스 설비 등 관련사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적자경영을 면치 못했기 때문이다. 기업의 손실구조는 지난 2분기부터 시작됐다.현재 당사의 갑판승강식 작업대선, 알루미늄 선박 등 주력사업의 매출은 감소하고 있으며 자산매각도 한계에 부딪친 상황이다. 실적이 하락될 수밖에 없는 경영구조인 셈이다.시장전문가들은 글로벌 조선산업의 침체가 향후 2018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진단한다. 일시적인 수주확보보다는 자체 구조조정 및 기술개발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싱가포르 선박제조업체 Vard에 따르면 2017년 1분기 순손실액은 S$ 410만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600만달러 순이익에서 '적자'로 전환됐다.지난 2016년 3분기 브라질에 소재하고 있는 'Vard Niteroi' 조선소 운영이 중단되면서 이익이 급감됐기 때문이다. 노르웨이 조선소도 생산량이 축소됐다.결국 동기간 매출액은 2억9000만달러로 2016년 1분기에 비해 12% 감소됐다. 인도, 두바이 등 해외 선박설비 수주계약이 추진되고 있지만 건조사업 손실을 상쇄하긴 어려웠다.현재 당사는 1분기에만 98만달러 상당 비용절감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향후 유럽, 브라질 등 해외사업 내 임시직 근로자 감원을 통해 인건비를 줄일 계획이다.
-
2017-03-31아랍에미리트 소매업체 Marka에 따르면 2016년 순손실액은 1억5000만디르함에 달했다. Marka는 국내 최초의 소매업 상장회사이며 걸프지역에서 레알마드리드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2016년 총 매출액은 2억9400만디르함을 기록했는데 이는 2015년 대비 37% 가량 증가한 것이다. Marka의 순손실은 주로 고정자산의 감가상각과 부채상환 및 인수합병으로 발생한 손실로 인한 것이다.2016년까지 비용통제를 엄격하게 진행했으며 2017년에도 비용절감 노력은 계속될 예정이다. 2017년 중동 전역에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Marka 로고
-
말레이시아 조선업체 남청(Nam Cheong)에 따르면 2016년 4분기 순손실액은 560만링깃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이익구조에서 '적자'로 전환됐다.동기간 예정돼 있던 바지선 수주건이 취소되면서 건조부문 이익이 52.0% 급감됐기 때문이다. 결국 매출액도 1억2030만링깃으로 50.2% 대폭 축소됐다.지난 3분기에도 건조부문의 실적이 91.0%나 떨어지면서 조선사업이 침체 양상을 보였다. 당시 환차익과 비용절감으로 순이익 구조를 유지했던 것이다.현재 글로벌 조선산업 전반이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쟁력 없이는 살아남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나마 유지됐던 용선사업도 점점 침체되고 있다.참고로 당사의 2016년 연간 매출액은 1억4640만링깃으로 전년도에 비해 84% 급감됐다. 해당연도 수주된 선박은 총 2건으로 지난해 11건에 비해 대폭 감소됐다.
-
말레이시아 해양유전서비스업체 Bumi Armada에 따르면 2016년 3분기 순손실액은 9671만링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순이익 7000만링깃에서 '적자'로 전환된 것이다.올해 초부터 부유식원유생산저장설비(FPSO) 및 부유식가스솔루션(FGS) 부문의 실적이 지속적으로 하락됐기 때문이다. 참고로 2016년 1~3분기 누적순손실액은 6억링깃에 달한다.
-
싱가포르 해양건설업체 Swissco에 따르면 2016년 3분기 순손실액은 S$ 4.18억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순이익 1550만달러에 비해 '적자'로 전환된 것이다.적자경영의 가장 큰 요인은 굴착 및 선박 부문의 비용 지출이 크게 확대된 것이다. 동기간 굴착 비용은 2.55억달러, 선박은 3874만달러로 각각 전년도에 비해 크게 늘었다.▲Swissco 홈페이지
-
싱가포르 해양건설업체 Emas Offshore에 따르면 2015/16년 4분기 순손실액은 S$ 1.37억달러로 지난해 동기인 순이익 5050만달러에 비해 적자로 운영되고 있다.해양건설 산업의 공급과잉과 석유가스의 저가격 지속세가 주요인이며 올초부터 적자구조가 유지된 배경이다. 참고로 연간 순손실액은 3.69억달러이며 현재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상환을 추진 중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