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안착"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인천항만공사 CI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에 따르며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이 행정안전부의 ‘2025년 제1차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했다.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란 지방재정법에 따라 지방재정 사업 시행 전 그 사업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중앙정부가 심사하는 제도를 말한다.‘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은 인천항만공사, 인천광역시, 인천도시공사가 공동으로 인천항 내항 1・8부두 일원 42만 제곱미터(㎡)에 문화・여가・주거・해양관광이 어우러진 복합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59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이번 중앙투자심사 통과는 중앙정부로부터 ‘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의 타당성 및 실행 가능성을 인정받아 실질적 사업추진이 가능함을 의미한다.공사에 따르면, 1974년 동양 최대규모의 갑문 준공과 함께 산업화의 중심에서 국가 경제성장 관문의 소임을 위해 국민에게는 ‘닫힌 항’이었던 내항이 50여 년의 긴 기다림을 넘어 국민에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서는 ‘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이 본궤도에 오른다.공사는 중앙투자심사 ‘통과’에 발맞춰 실시설계 및 환경영향평가 등 관련 사업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2025년 3분기 중으로 관련 절차를 완료하고 실시계획 승인 신청을 진행할 계획이다.또한 지역 주민, 이해관계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공동사업자인 인천광역시, 인천도시공사와 함께 추진협의회를 구성했다. 단지개발계획, 콘텐츠유치, 지역개발 등 3개 분야의 소위원회를 운영 중이다.공사는 발 빠른 추진과 원활한 소통으로 올해 하반기 사업계획 고시, 실시계획 승인 등 행정절차가 막힘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인천항만공사 이경규 사장은 “이번 중앙투자심사 통과는 2007년 국회 청원 이후 공공과 국민의 오랜 협력 끝에 이뤄진 18년 만의 결실로, 내항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상징적인 순간이다”며 “앞으로도 국민과 함께 호흡하며 연내 착공을 통해 사람 중심의 내항으로 재탄생시키겠다”고 강조했다.
-
중국 민간 로켓 회사인 갤럭틱에너지(星河动力)에 따르면 주취안 위성발사센터(酒泉卫星发射中心)에서 로켓을 발사해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켰다.발사는 2018년과 2019년 초에 두 번의 발사 실패에 이어 2019년 7월 이후 중국 민간 로켓 회사가 두 번째로 성공한 발사였다. 중국의 민간 상업 우주 부문이 기술적으로 성숙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자체 개발한 수송 로켓인 Ceres-1을 이용해 500km의 태양 동기 궤도(SSO)에 Apocalypse-11 위성을 안착시켰다. Ceres-1 로켓은 회사 최초의 고체 추진체 발사체로서 협대역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Apocalypse-11 위성은 상업적 데이터 수집 및 전송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8대의 위성 배치는 2021년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다.이번 발사 성공은 민간 로켓 분야의 엄청난 잠재력과 비즈니스 가치를 투자자들에게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를 통해 갤럭틱에너지는 Ұ2억 위안에 달하는 투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확보된 투자금은 2021년까지 Ceres-1 로켓의 대량 생산 능력을 구축하고 2022년 액체 추진 로켓인 Pallas-1 로켓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계획에 사용할 방침이다.▲ China-GalaticEnergy-energy▲ 갤럭틱에너지(星河动力)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