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요거트"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17▲ GS리테일 로고[출처=GS리테일]GS리테일(대표이사 허연수)에 따르면 2025년 2월20일(목) 운영 중인 편의점 GS25가 ‘파스타모양초콜릿’을 기획해 차별화 디저트 상품으로 단독 론칭한다.‘파스타모양초콜릿’은 파스타 면 종류인 ‘딸리아뗄레’를 모티브로 기획된 상품이다. 초콜릿과 마시멜로를 배합하는 특수 공정을 통해 초콜릿 면을 구현해 내는 방식으로 ‘딸리아뗄레’의 모양과 쫄깃한 식감 등을 잘 살려낸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GS25는 전용 용기 위에 초콜릿 면을 높이 쌓아 올리는 등의 파스타 플레이팅 방식까지 그대로 적용해 ‘파스타모양초콜릿’을 최종 상품화했다. 고객은 동봉된 포크를 사용해 초콜릿 면을 둘둘 말아 즐길 수 있다.상품 자체의 재미 요소 외에도 과일, 요거트, 생크림 등을 토핑해 함께 즐기거나 실제 파스타 메뉴 개발의 이색 재료로도 적용해 볼 수 있다.‘나만의 레시피’ 등 ‘파스타모양초콜릿’을 소재로 한 SNS 콘텐츠 또한 다양하게 생성될 것으로 GS25는 기대하고 있다.GS25는 ‘파스타모양초콜릿’을 시작으로 최신의 소비 트렌드, 화제성 등을 두루 갖춘 차별화 상품 전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인기를 끌면 수요가 급증하는 최근의 히트 공식을 적극 반영한 차별화 상품 기획을 중점 추진해 간다는 전략이다.SNS 화제성에 힘입어 히트 상품으로 발돋움한 주요 상품들이 카테고리 전체 매출을 크게 성장시키는 영향력을 발휘한 점 등이 MD 전략 추진의 배경이 됐다실제로 GS25가 스웨디시 젤리 스타일로 선보인 ‘스윗믹스젤리’는 SNS 화제성 등에 힘입어 신라면, 불닭볶음면 등을 넘어서는 매출을 기록하며 최근 2개월간(2024년 12월~2025년 1월) 젤리 분류 매출을 전년 동기 대비 무려 62.5% 끌어올렸다.앞서 출시돼 자발적 바이럴을 양산하며 신드롬급 인기를 누린 ‘김혜자 도시락’, ‘점보라면 시리즈’의 경우 출시 직후 도시락, 용기면(대컵) 매출을 각각 50% 이상 폭증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다.이진우 GS리테일 가공식품팀 MD는 “신박함, 화제성 등 최근 히트 공식을 모두 갖춘 파스타모양초콜릿을 기획해 편의점 단독으로 선보이게 됐다”며 “라인업을 확대하며 더욱 폭발적인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스윗믹스젤리와 함께 GS25를 대표하는 디저트 상품으로 육성해 갈 방침이다”고 강조했다.
-
▲ 2024년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로즌 요거트 전문 프랜차이즈인 와카베리(Wakaberry)의 국내 마지막 지점이 폐점했다. [출처=와카베리 엑스(X) 계정]2024년 9월 3주차 남아프리카공화국경제는 기업 경영과 ICT 등을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통신사인 MTN(MTN South Africa)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 새로운 기지국을 145개 건설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스토랑 프랜차이즈점인 페이머스 브랜드(Famous Brands)에 따르면 2024년 9월 프로즌 요거트 전문 프랜차이즈인 와카베리(Wakaberry)의 국내 마지막 지점도 폐점했다.와카베리는 2010년대 초 유행한 브랜드로 소비자들이 직접 요거트 위의 토핑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기를 끌었다.2014년 3월 페이머스 브랜드는 와카베리의 지분 70%를 R 4800만랜드에 인수했다. 인수 이후 요거트 시장의 인기가 누그러지며 브랜드 재정비와 투자를 진행했음에도 성장이 저조했다.2017년 국내 프로즌 요거트 시장의 선두주자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운영은 국내 시장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지점 수를 점차 줄였다.대다수의 와카베리 지점은 폐점됐으며 일부 지점은 페이머스 브랜드가 운영하는 디저트 프랜차이즈인 밀키 레인(Milky Lane)의 지점으로 바뀌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통신사인 MTN(MTN South Africa)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 새로운 기지국을 145개 건설했다.기존 기지국 400곳은 시설을 개선했다. 기지국 수를 늘리며 통신망의 5G 전파 범위를 44%까지 늘렸다. 2023년 8월과 비교해 25% 포인트 증가했다. 2024년 동안 LTE 시스템은 1060곳에 배치해 국내 소비자 수요를 맞추고 서비스 품질을 높였다.네트워크 개선을 통해 극심한 기상 악화로 예기치 못한 정전 사태가 일어난 지역에도 일정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에 도움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온라인 소매업체인 스내처(Snatcher)에 따르면 2024년 8월 말부터 임의청산에 들어갔다. 스내처는 주로 중국의 저가 전자제품을 온라인 판매했다.국내 운영 기간은 8년으로 연간 매출은 약 R 2500만랜드였다. 일부 직원들이 바우처 시스템을 악용하는 등 사기 행위에 가담해 그룹의 운영과 재정 어려움을 악화시킨 것으로 조사됐다.셰인(Shein)과 테무(Temu) 등 가격대가 더욱 값싼 온라인 소매업체들의 진출과 구글(Google)을 통한 신규 소비자 유치 비용이 100% 이상 증가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
▲ 2024년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로즌 요거트 전문 프랜차이즈인 와카베리(Wakaberry)의 국내 마지막 지점이 폐점했다. [출처=와카베리 엑스(X) 계정]2024년 9월19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보츠와나의 ICT와 광업 등을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통신사인 MTN(MTN South Africa)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 새로운 기지국을 145개 건설했다.캐나다 다이아몬드 탐사 및 광산회사인 루카라 다이아몬드(Lucara Diamond Corp)에 따르면 2024년 9월 보츠와나 카로웨(Karowe) 광산에서 1094캐럿의 다이아몬드 원석을 채굴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MTN,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내 새로운 기지국 145개 건설남아프리카공화국 레스토랑 프랜차이즈점인 페이머스 브랜드(Famous Brands)에 따르면 2024년 9월 프로즌 요거트 전문 프랜차이즈인 와카베리(Wakaberry)의 국내 마지막 지점도 폐점했다.와카베리는 2010년대 초 유행한 브랜드로 소비자들이 직접 요거트 위의 토핑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기를 끌었다.2014년 3월 페이머스 브랜드는 와카베리의 지분 70%를 R 4800만랜드에 인수했다. 인수 이후 요거트 시장의 인기가 누그러지며 브랜드 재정비와 투자를 진행했음에도 성장이 저조했다.2017년 국내 프로즌 요거트 시장의 선두주자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운영은 국내 시장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지점 수를 점차 줄였다.대다수의 와카베리 지점은 폐점됐으며 일부 지점은 페이머스 브랜드가 운영하는 디저트 프랜차이즈인 밀키 레인(Milky Lane)의 지점으로 바뀌었다.남아프리카공화국 통신사인 MTN(MTN South Africa)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 새로운 기지국을 145개 건설했다.기존 기지국 400곳은 시설을 개선했다. 기지국 수를 늘리며 통신망의 5G 전파 범위를 44%까지 늘렸다. 2023년 8월과 비교해 25% 포인트 증가했다. 2024년 동안 LTE 시스템은 1060곳에 배치해 국내 소비자 수요를 맞추고 서비스 품질을 높였다.네트워크 개선을 통해 극심한 기상 악화로 예기치 못한 정전 사태가 일어난 지역에도 일정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에 도움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루카라 다이아몬드, 2024년 9월 보츠와나 카로웨(Karowe) 광산에서 1094캐럿의 다이아몬드 원석 채굴캐나다 다이아몬드 탐사 및 광산회사인 루카라 다이아몬드(Lucara Diamond Corp)에 따르면 2024년 9월 보츠와나 카로웨(Karowe) 광산에서 1094캐럿의 다이아몬드 원석을 채굴했다.2024년 8월 2492캐럿 원석에 이어 카로웨 광산에서 2번째로 발견된 1000캐럿 이상의 원석이다. 루카라 다이아몬드에서 채굴한 6번째 1000캐럿 이상의 원석이기도 하다.고품질 원석이 지속적으로 발견되며 카로웨 광산의 잠재성과 지하 확장 프로젝트의 투자 결과가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이번 1094캐럿 원석은 제조를 위해 파트너사인 벨기에 다이아몬드 커팅 및 기술기업인 HB 앤트워프(HB Antwerp)에 판매할 계획이다.2028년 상반기에 완료될 예정인 카로웨 광산의 지하 확장 프로젝트 지출 비용은 US$ 6억8300만 달러로 전망된다. 광산 수명을 최소 2040년까지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 동원F&B 덴마크 그릭 오리지널,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4 위너 수상[출처=동원F&B]동원그룹 산하 종합식품회사인 동원F&B(대표이사 김성용)는 2024년 8월2일 그릭 요거트 제품 ‘덴마크 그릭 오리지널’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4(Red Dot Design Award 2024)’에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부문 본상(Winner)을 수상했다고 밝혔다.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4'는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다. ‘덴마크 그릭 오리지널’은 동원F&B가 추구하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기조를 제품 디자인에 잘 표현하고 있다. 산뜻한 맛과 꾸덕한 질감 등 덴마크 그릭만의 특징을 경쾌한 서체로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기존의 하늘색 덴마크 로고와 역동적인 붉은색의 제품명이 조화를 이루는 점이 특징이다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만든 독창적인 이미지를 제품 디자인에 적용한 점도 혁신성과 차별성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동원F&B는 오픈AI의 ‘챗GPT’와 이미지 생성형 AI 플랫폼 ‘미드저니’를 활용해 덴마크 그릭 위에 블루베리와 견과류 등을 얹은 이미지를 제작해 제품 속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냈다.동원F&B가 2024년 4월 출시한 ‘덴마크 그릭 오리지널’은 유청을 두 번 분리하는 ‘이중 유청분리 공법’을 적용해 꾸덕한 질감을 극대화했다.부드러운 크림을 넣어 시지 않고 고소한 그릭 요거트 제품이다. 100g당 단백질 함량이 13g에 달하며 소비기한은 3주 가량으로 넉넉해 식단 관리 시 활용하기 좋다.동원F&B는 ‘덴마크 그릭 오리지널’에 대해 고소한 맛과 영양성분이 풍부한 동시에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2030 여성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제품이다. 앞으로도 트렌디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동원F&B의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이 더욱 사랑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