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자동차생산"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동남·서남아시아 주요 국가 [출처=iNIS]2024년 6월 동남·서남아시아 제조업 주요 동향은 다국적 기업 코카콜라(Coca-Cola)가 인도 남부 텔랑가나주에 70억 루피 규모의 그린필드 시설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내에서의 세번째 공장으로, 2022년 4월 시드디펫 지역에 2번째 공장 설립을 발표한 바 있다.태국 육상운송연맹(LTFT)에 따르면 2024년 5월 자동차 국내 생산량은 12만6161대로 전년 동월 대비 16.9% 감소했다. 경기침체와 픽업트럭·승용차의 생산량이 감소했다는 점이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와 비교해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EV) 생산량은 1만5354대로 50.71% 증가했다.[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ST Engineering), 4월부터 6월까지 유럽과 US$ 1억 달러 이상의 탄약 거래 성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표준에 따른 155mm와 40mm 탄약 주문으로 방어·공공 보안 부문에서 회계연도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매출액 약 17억 달러 기록[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한 디지털 양수계 '브라이트시티(BrightCity)' 출시... 제공업체와 사용자 모두 물 소비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지속가능성 향상[말레이시아] 자동차 제조업체 DRB-하이콤, 2024년 프로톤 약 16만 대·혼다 약 8만 대 판매할 것으로 예상... 중국 저장지리그룹의 지원받아 2030년까지 전기자동차(EV) 허브 구축 목표[말레이시아] 전자제조업체인 VS 인더스트리(VS Industry Bhd), 2024년 4월 30일 마감 3분기 순이익 5442만 링릿으로 전년 동기 RM 2677만 링깃 대비 103% 증가... 동기간 매출액은 9억9678링깃에서 10억1000만 링깃으로 소폭 상승[말레이시아] 프로톤(Proton), 1983년 사업 시작 이후 차량 500만 대 제조 기록 달성... 국내 최고 베스트 카인 사가의 판매가 200만 대 이상이며 X-시리즈
-
[싱가포르] 영국 다국적 은행 스탠다드차티드(Strandard Chartered), 국내 최초 가변자본기업(VCC) 설립... 글로벌 펀드 관리기업으로서 고액 순자산 고객들에게 맞춤형 서비스 제공할 예정[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 하반기부터 2028년까지 전기대형수송차(e-HGV)의 배터리 교체와 모바일 충전 시스템 관련 시험 진행할 계획... 기존 플러그인 방식의 긴 충전시간 극복위해 모바일 전기자동차 충전회사 파워업테크(Power-Up Tech)와 전기자동차 충전 애플리케이션 비차지(Beecharge)에게서 충전장비 제공받아[말레이시아] 일본 종합상사 마루베니(丸紅), 사라왁주에서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AF) 프로젝트의 설립 검토... 목재 폐기물과 같은 바이오매스 공급원료 사용한 녹색 수소 생산 중심지로서 타당성 확인[필리핀] 자동차생산자협회(CAMPI), 5월 자동차 판매대수 4만271대로 전월 대비 7.3% 증가... 올해 말 필리핀 국제모터쇼(PIMS) 개최로 2024년 전체 판매량 기존 예상치 46만8000대에서 50만 대까지 상회할 가능성 높아[필리핀] 통신업체 PLDT, 7월 데이터 센터의 49% 매각 목적으로 일본전신전화(NTT)와 협상 진행 중... 부채 상환을 위한 수익금 확보하며 과반수 소유지배권 계속 유지하는 방향[필리핀] 농업부(DA), 마닐라 마리키나시에 첫 번째 식품 허브 유치 예정... 농민과 협동조합이 농산물 직접 배송해 도심 거주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위한 공급망 구축 목표[인도] 중앙은행(RBI), 회계연도 2025년 성장률 전망치 7%에서 7.2%로 상향 조정... 강한 남서 계절풍으로 카리프(kharif) 생산량 증대로 농업생산력 회복 예상돼[인도] 전기 이륜차(EV) 제조업체 올라 일렉트릭(Ola Electric), 총 725억 루피 규모의 기업공개(IPO) 위해 증권거래위원회(SEBI)의 승인받아... 확보한 투자금으로 부채 상환, 연구개발에 활용[인도] 자동차협회(SIAM), 5월 국내 승용차 판매량 10만6
-
2023-10-26▲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미츠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 SUV 아웃랜더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미츠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에 따르면 2023년 10월24일 중국에서 자동차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당일 개최된 이사회에서 관련 안건이 통과됐다.2022년 12월 신형 자동차를 투입하며 판매 확대를 노렸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하지 못했다. 2023년 3월부터 현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이미 생산된 자동차 재고를 소진하기 위한 목적이다.최근 몇 년 동안 미츠비시자동차는 중국에서 전기자동차(EV)의 변화 흐름에 적응하지 못했다. 휘발유 엔진 자동차의 판매에 주력한 것이 실패의 원인으로 분석된다.미츠비시자동차가 주력하고 있는 중형 SUV인 '아웃랜더'도 생산이 중단된다. 아웃랜더의 중국에서 생산은 미츠비시자동차와 비츠비시상사, 중국광저우기차집단(GAC)의 합작회사인 광치미츠비시기차(GMMC)가 담당했다.이번 결정으로 GMMC는 GCC의 전기자동차인 'Aion'을 생산할 방침이다. 미츠비시자동차와 미츠비시상사가 보유하고 있던 GMCC의 주식은 GAC에 양도한다.판매된 미츠비시자동차의 애프터서비스(A/S)는 미츠비시자동차, 미츠비시상사, GAC가 공동으로 책임진다. 중국으로부터 철수하며 예상되는 손실액 243억 엔은 특별손실로 계상했다.
-
2019-09-23영국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재규어랜드로바(Jaguar Land Rover)에 따르면 연간 자동차생산량을 7000대 줄일 계획이다. 판매가 부진하고 있기 때문이다.이번 회계연도의 글로벌 판매량은 전년 대비 8% 줄어들었다. 판매부진을 커버하기 위해 비용을 £25억파운드 줄일 방침이다.비용절감에는 4500명의 직원을 해고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으로 중국에서 판매가 부진한 것도 주요인이다.유럽시장도 브렉시트로 인한 불확실성이 판매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참고로 재규어랜드로바는 인도의 자동차제조업체인 타타가 소유하고 있다.▲재규어랜드로바(Jaguar Land Rover) 로고
-
2018-08-28인도 정부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전기자동차생산 및 보급촉진에 550억루피를 투자할 방침이다. 2018년 9월 7일부터 '전기자동차생산보급촉진(FAME) 인디아' 사업의 제 2기가 시작된다.전기자동차생산보급촉진(FAME)은 2015년 친환경자동차를 구입하는데 보조금을 지급하기 위해 도입했다. 오토바이, 삼륜차, 대중교통용 차량 등이 포함된다.보조금은 차량의 구입뿐만 아니라 충전시설 설치 등 인프라 정비에도 지급된다. 하지만 1기와는 달리 2기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V)는 제외된다.자동차시장 전문가는 순수 전기자동차만 대상이 되면서 자동차업계의 판도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도심의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특히 서부 마하라슈트라주의 주도인 뭄바이(Mumbai) 의 경우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염된 도시라는 악명을 얻었다. 정부는 1995년 11월 과거 명칭인 봄베이(Bombay)를 뭄바이(Mumbai)로 개칭했다.▲'전기자동차생산보급촉진(FAME) 인디아' 홍보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2016-12-24태국 산업연맹(FTI)에 따르면 2017년 자동차생산량은 200만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과 내수물량을 모두 포함한 숫자다.2017년 자동차 수출대수는 12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주요 수출지역은 중동의 경제가 어려운 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중동으로 수출비중은 26%에 달한다.2016년 1~11월 자동차생산량은 180만대로 전년 동기 176만대 대비 2.74% 증가했다. 2016년 연말까지 총 195만대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산업연맹(FTI) 로고
-
일본 미쓰비시자동차 필리핀법인(MMPC)은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포괄적자동차생산전략(CARS)'에 따라 생산되는 차량의 부품을 필리핀 부품기업 25개사로부터 총 300가지를 공급받을 계획이다.조립 생산되는 차량은 '미라지'와 '미라지 G4'이며 필리핀 회사들로부터 손잡이, 유리제품, 타이어 등을 조달한다. CARS는 6년간 연 20만대 이상을 생산할 경우 세금 혜택을 부여한다.
-
베트남 자동차생산조합(VAMA)에 따르면 면세로 수입된 러시아 자동차의 판매가 부진한 것은 소비자 설득에 실패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러시아산 자동차는 산악지역이나 시골의 비포장 도로에도 운행이 적합할 정도로 가격에 비해 품질도 우수하지만 소비자들은 쉽게 구입을 선택하지 못하고 있다.현재 베트남 시장에서는 러시아산 SUV, 10석 이상 규모의 밴, 대형 트럭, 버스 등이 수입되고 있다. 정부는 러시아와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관련 차량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있다.
-
태국 산업연맹(FTI)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8월 자동차생산량은 15만6337대로 전년 동월 대비 1.7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개월 연속 감소했다.8월 수출량은 9만9910대로 전년 동월 대비 5.78% 줄어들었다. 2016년 1~8월 수출량은 79만1273대를 기록했으며 동기간 국내 판매량은 51만2394대로 집계됐다.
-
일본 자동차회사 이스즈(ISUZU)는 필리핀 정부에서 진행중인 '포괄적자동차생산전략(CARS)' 참여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현재 일본 자동차회사 중 도요타자동차와 미쓰비시자동차가 참여 중이다.이스즈는 참여조건인 연간 20만대 생산이 너무 높다고 판단했고 이 조건이 5~10만대 수준으로 인하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