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정상회담"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26▲ 한국전력 본사 전경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11월24일(월) 튀르키예 대통령궁에서 튀르키예 원자력공사(TÜNAŞ, TÜRKİYE NÜKLEER ENERJİ ANONİM ŞİRKETİ)와 ‘원자력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양국 정상이 임석한 가운데 체결식이 진행됐다. 한전은 한-튀르키예 정상회담을 계기로 튀르키예 원전 사업 추진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사업 개발을 본격화할 방침이다.이번 MOU를 통해 튀르키예 신규 원전 사업 개발 추진을 공식화하고 사업부지 평가, 원자력 기술, 규제·인허가, 현지화 등 원자력 사업 전반에 대한 협력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향후 사업 예정 부지 평가를 위한 공동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상호 간 교류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2022년 한전에 시놉원전 사업 참여를 공식 요청한 바 있다.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현재는 운영하지 않는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2053년에 29퍼센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MOU 체결과 에너지부 장관 면담을 통해 양국 간의 확고한 파트너십을 확인했다.부지 평가 등 사업 개발 초기 단계를 신속하고 면밀하게 수행할 예정이다. 이후 사업 타당성 조사를 실시해 경제성을 검증한 뒤 정부와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시놉원전 사업권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한편 한전 김동철 사장은 11월25일(화)에는 알파르슬란 바이락타르(Alparslan Bayraktar) 에너지천연자원부(Ministry of Energy and Resource, 이하 에너지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시놉(Sinop)원전 사업 추진 일정과 사업 조건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가졌다.이날 면담에서 김동철 사장은 “시놉원전 사업은 장기간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튀르키예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며 "한전은 UAE 원전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경험으로 시놉원전 사업의
-
2025-10-27▲ 최태원 SK그룹 회장, 2024년 11월 SK AI Summit 2024에서 기조연설을 하는 모습 [출처=SK그룹]SK그룹(회장 최태원)에 따르면 2025년 10월26일(일)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한국 경제에 필요한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유튜브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압권 3개 채널 연합 인터뷰를 통해 APEC CEO 서밋의 중요성도 설명했다.최 회장은 APEC 정상회담에 관해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주석을 비롯한 APEC 회원국 정상이 모여 많은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며 “향후 몇 년간 미중 문제가 어떻게 풀릴지를 짐작할 가늠자가 될 자리다”고 소개했다. 그는 “APEC CEO 서밋은 1700여 명이 참여하는 행사로 보호무역주의 시대 해법을 찾는 자리가 될 것이다”며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비롯해 수많은 글로벌 기업인이 방문할 예정이다”고 했다.최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으로서 APEC CEO 서밋 의장을 맡고 있다. 마이너스 성장마저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된 한국 경제는 새로운 성장 공식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최 회장은 “옛날처럼 WTO 체제로 자유무역이 회복되기는 어렵다”며 “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출 중심 경제 성장 공식이 이제는 관세로 인해 통하지 않는다”고 짚었다. 최 회장은 한국 경제의 해법으로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 인공지능(AI) 투자, 해외 인재 유입과 메가샌드박스’를 제안했다. 한일 경제연대는 경제 블록화와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제안이다. 최 회장은 “일본과 협력하면 6조 달러 규모의 시장을 창출해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다”며 “세계 4위 규모의 경제 블록을 형성해 대외 여건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규
-
중국 선전시태양과학기술유한공사(深圳市旭日伟业科技有限公司)에 따르면 지난 2016년 10월 22일~24일까지 제 1회 인도 휴대전화 박람회 'India Mobile Diwali'를 개최했다.중국 주재 인도 대사관의 협찬으로 인도 수도 뉴델리 Pragati Maidan국제전시장에서 개최됐으며 중국과 인도의 130여개 휴대전화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가 참여했다.또한 100여명의 정부 대표 및 업계 대표가 참석해 중국-인도 휴대 전화 투자 포럼 및 업계 정상회담도 개최됐다. 아시아 지역 최초로 개최된 휴대폰 부품 전문 전시회다.인도는 모디정권의 'Make in India'의 정책에 따라 휴대전화의 인도 제품화에 많은 관심을 표명했다. 중국은 휴대전화시장만이 타켓이 아니라 'Make in India'의 파트너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India_IMD(Inida Mobile Diwali)_Homepage▲IMD(India Mobile Diwali) 홈페이지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