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정유 공장"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루이싱커피 말레이시아(Luckin Coffee Malaysia) 홍보 이미지[출처=루이싱커피 말레이시아 페이스북]2025년 1월17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스리랑카를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헥스타르 인더스트리는 2025년 1월 말 중국 루이싱커피 매장 5곳을 신설한다.스리랑카 정부와 중국석유화학공사(Sinopec)가 이룬 최첨단 정유 공장를 설립 계약은 외국인 직접 투자 중 가장 대규모다.◇ 말레이시아 테나가 네셔날(Tenaga Nasional Bhd), 영국에 총용량 102메가와트(MW) 태양광 발전소 설립말레이시아 전력업체 테나가 네셔날(Tenaga Nasional Bhd, TNB)은 영국 하버리(Harbury)의 이스트필드(Eastfield)·로더윅(Rotherwick)의 벙커스 힐(Bunkers Hill)에 총용량 102메가와트(MW) 상당의 태양광 발전소를 설립한다. 2025년 초 상업운전일(COD)로 정했다.TNB의 재생 에너지 포트폴리오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1.3기가와트(GW),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3.2GW로 구성된다. 태양광, 해상풍력, 배터리 프로젝트에 임하고 있다.헥스타르 인더스트리(Hextar Industries Bhd)는 2025년 1월 말 중국 프랜차이즈 루이싱커피(Luckin Coffee) 매장 5곳을 개설한다.2025년 1월23일 선웨이 피라미드(Sunway Pyramid)와 메나라 에코월드(Menara EcoWorld)에 2개의 매장을 처음으로 선보인다.2024년 11월 헥스타르 인더스트리의 자회사 글로벌 아로마(Global Aroma Sdn Bhd)는 루이싱커피 홀딩 싱가포르(Lunckin Coffee Holding Singapore Pte Ltd)와의 합의를 통해 루이싱커피 브랜드에 대한 독점권을 얻었다.◇ 스리랑카 정부, 중국석유화학공사(Sinopec)가 국내 최첨단 정유 공장 설립에 US$ 37억 달러 투자스리랑카 정부에 따르면 중국석유화학공사(Sinopec)가 함반토타(Hambantota) 지역에 최첨단 정유 공장을 설립하고자 US$ 37억 달러를 투자한다.용량은 20만 배럴로 스리랑카에서 이룬 외국인 직접 투자 중 가장 크다. 정유소의 생산량 중 상당 부분은 스시랑카의 수출 부문에 기여하며 저소득층 주민의 생계를 개선할 것이라고 분석된다.
-
▲ 퀸스타항공(Queenstown Airport) 공항 모습[출처=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와그너(Wagner Sustainable Fuels, WSF)는 미국 항공 대기업 보잉(Boeing)으로 부터 브리즈번(Brisbane) SAF 정유공장에 투자를 받기로 했다.미국 전기자동차 제조기업 테슬라(Tesla)는 2024년 말까지 뉴질랜드에 전기차 충전시설 6곳을 구축하기로 했다. 구축 지역은 오클랜드(Auckland) 2곳, 보타니(Botany), 엡섬(Epsom), 와이파파(Waipapa), 타우랑가(Tauranga) 등이다.◇ 미국 보잉(Boeing), 오스트레일리아 와그너(WSF)의 브리즈번(Brisbane) SAF 정유공장에 투자미국 항공 대기업 보잉(Boeing)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와그너(Wagner Sustainable Fuels, WSF)의 브리즈번(Brisbane) SAF 정유공장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2024년 4월 '국내 SAF 산업 개발에 있어 오스트레일리아를 최우선 위치'에 두기로 한 2023년 보잉/CSIRO SAF 로드맵에 따라 양사는 양해각서를 작성했다.브리즈번 시설은 폐기물 기반 원료에서 에탄올을 SAF로 전환해 기존 제트 연료에 비해 배출량을 "최대 84%"까지 줄여준다.프로젝트에 대한 보잉의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퀸즐랜드 정부로부터 타당성 연구를 위해 AU$ 76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받는다. 2026년 건설을 시작할 계획이다.이 시설은 연간 1억 200만 리터의 SAF(Sustainable Aviation Fuels,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와 1200만 리터의 재생 가능 디젤(renewable diesel, RD)을 생산하게 된다.오스트레일리아 국적 항공사인 퀸스타항공(Queenstown Airport)은 역대 최대 승객수를 기록해 주주들에게 기록적인 A$ 1960만 달러의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했다.2월 중단 배당에서 주주들에게 530만 달러가 지급됐으며 나머지는 8월 말 배당될 예정이다. 콴타스는 매출액은 6470만 달러, 여객수는 248만7610명, 2320만 달러, 세전·이자지급전이익(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sation, EBITDA) 4620만 달러를 달성했다.◇ 미국 테슬라(Tesla) 2024년말까지 뉴질랜드에 전기차 충전시설 6곳 구축미국 전기자동차 제조기업 테슬라(Tesla)는 2024년 말까지 뉴질랜드에 전기차 충전시설 6곳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오클랜드(Auckland) 2곳, 보타니(Botany), 엡섬(Epsom), 와이파파(Waipapa), 타우랑가(Tauranga) 등이다.또한 사우스 아일랜드( South Island) 넬슨(Nelson)과 더니든(Dunedin)에 충전시설을 구축할 계획을 갖고 있다. 테슬라는 뉴질랜드 전역에 현재 25개 충전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2022-03-20나이지리아 통계청(NBS)에 따르면 2022년 2월 한 달간 소비자물가지수(CPI) 측정 기준 물가상승률이 15.70%까지 상승했다.2022년 2월 기준 미달의 연료를 수입한 이후 연료 부족에 직면하면서 물가가 상승했다. 주유소에는 몇주 동안 극심한 연료 부족으로 긴 대기 행렬이 발생해왔다.연료 부족 사태는 운송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상품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세계적인 에너지 부족사태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물가 역시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 원유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운용되는 기능적인 정유공장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거의 대부분 수입 연료에 의존하고 있다.2016년 이후 나이지리아 국내 물가상승률은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중앙은행(CBN)은 물가상승률 목표 범위가 6%에서 9% 사이라고 밝혔다. 2020년 경기침체에 따른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수개월 동안 11.5%의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통계청(NBS) 홈페이지
-
2021-05-11나이지리아 대기업인 BUA그룹(BUA Group)에 따르면 러머스 테크날러지(Lummus Technology)와 폴리프로필렌공장을 건설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자회사이자 정유사인 BUA 리파이너리(BUA Refinery)의 사업 일부로 연간 28만5000톤의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기 위한 목적이다.양사의 이번 공장 건설 계약에는 기술 면허는 물론 기본 설계 공학, 기술 교육, 서비스, 촉매제 공급 등도 포함된다. BUA그룹은 정유 및 석유화학 프로젝트를 위한 이번 계약으로 고성능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수요 증가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나이지리아 국내뿐만 아니라 기니만 지역,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 등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요는 더욱 확대돼고 있다.▲BUA그룹(BUA Group)과 러머스 테크날러지(Lummus Technology)의 계약 체결(출처 : BUA그룹 홈페이지)
-
2021-04-12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US$ 15억달러에 마이레 테크니몬트(Maire Tecnimont)와 포트 하코트(Port Harcourt) 정유회사의 수리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 체결로 정유 역량이 1일 21만배럴인 포트 하코트 정유공장을 복구할 계획이다. 마이레 테크니몬트는 이탈리아의 에너지 플랜트 기술기업이다.2021년 4월 기준 정부는 4개의 정유회사를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국내 소비에 필요한 정제된 석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트 하코트 정유회사의 이번 수리 계약은 과거 정부가 수십억달러를 정유회사의 유지보수비로 성과없이 지출한 것과 대조적이다.국내 에너지 전문가들은 정부가 정유회사들을 민영화하고 기업과 같은 민간 투자자들이 정유회사들을 관리하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마이레 테크니몬트(Maire Tecnimont) 홈페이지
-
2021-02-22인도 국영석유공사(Oil India)에 따르면 누말리가정유공장(Numaligarh Refinery)의 지분을 바랏페트롤늄(Bharat Petroleum Corporation)으로부터 인수할 계획이다.엔지니어스 인디아(Engineers India)와 협력할 방침이다. 인수할 수 있는 지분은 아삼주정부의 의지에 따라 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2020년 아삼주정부는 누말리가정유공장의 지분을 추가로 13.65% 인수했다. 결과적으로 주정부의 지분은 26%로 상승했다.현재 바랏페트롤늄의 지분은 61.65%이며 국영석유공사가 26%를 보유하고 있다. 국영석유공사는 정부투자자산국과 협력해 48%까지 지분을 높이려고 계획 중이다.▲국영석유공사(Oil India) 로고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1년 1분기에 포트-하코트 정유공장(Port-Harcourt Refinery)의 2단계 재건작업을 시작할 계획이다.포트-하코트 정유공장 2단계 재건작업의 걸림돌이 됐던 자금난이 해결됐기 때문이다. 국영석유공사는 1일 생산 300만배럴 달성을 목표로 석유 탐사와 생산을 활성화하기 위해 많은 자본을 투자했다.국내에서 소비되는 정유제품의 90%가 수입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내 정유공장 최적화는 정유제품의 엄청난 수입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국영석유공사는 2023년까지 정유공장 4곳이 가동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2023년까지 추진하기로 약속한 정유 재건사업과 함께 송유관 개편 및 개선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국영석유공사(NNPC) 홈페이지
-
프랑스 다국적 석유화학기업인 토탈SE(Total SE)에 따르면 Grandpuits 정유공장을 바이오 연료 및 바이오 플라스틱을 위한 제로 원유 플랫폼(zero-crude platform)으로 전환할 계획이다.이를 위해 €5억 유로 이상이 투자될 예정이다. Grandpuits 정유 공장에서의 원유 정제는 2021년 1분기에 중단될 계획이다. 석유 제품 저장은 2023년 말에 중단될 것이라고 예정이다.플랫폼은 재생 가능한 디젤, 바이오 플라스틱, 플라스틱 재활용 및 태양광발전소 운영에 다시 중점을 둘 방침이다.파리를 포함한 인근 지역(Grand Paris)의 주유소와 공항은 다른 토탈 정제소에서 공급할 것이므로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재생에너지 사용의 증가에 따라 재생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정유 플랫폼의 전환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France-TotalSE-energy▲ 토탈SE(Total SE)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9-04나이지리아 시멘트 및 광산업기업인 BUA그룹(BUA Group)에 따르면 프랑스 국내 최대 탄화수소기업인 액센스(Axens)가 국내 정유 및 석유화학공장 건설 입찰에서 승리했다.액센스는 BUA그룹에게 주요 정유기술을 라이선싱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액센스는 석유와 바이오매스를 청정연료로 전환하는 시스템을 건설한다. 액센스는 유럽연합(EU) 표준 연료인 유로-5(Euro-V) 연료와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기 위한 그린필드 프로젝트 기술을 국내외 시장을 대상으로 제공한다. 폴리프로필렌은 장난감 및 의자 등을 만드는 소재인 단단한 플라스틱이다. 1일 20만배럴의 생산능력을 갖춘 새로운 정유 및 석유화학공장은 2024년 가동될 예정이다.▲BUA그룹(BUA Group) 홈페이지
-
2020-08-04나이지리아 정유기업인 에도모듈러(Edo Modular and Refinery Company Ltd.)에 따르면 2020년 8월 초 현재 5500bpd급 에도모듈러 정유공장 건설을 70% 완성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내 에너지장비 및 솔루션기업인 AIPCC에너지(AIPCC Energy)와 더불어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 컨소시엄은 중국 페이양화학장비회사(PCC), 시노펙국제석유서비스공사(SIPS), 아프리카인프라파트너스(AIP) 등으로 구성됐다Ikpoba-Okha지방정부 구역의 Ologbo에서 건설되는 에도모듈러 정유공장은 원료에서 디젤 50%, 나프타 25%, 연료 오일 20%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에도모듈러 정유공장은 향후 에도(Edo)지방정부에서 추진하는 산업혁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이지만 정유시설이 부족해 석유제품은 대부분 수입하고 있다.▲AIPCC에너지(AIPCC Energy)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