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줄기세포"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1-16▲ 사진 1. 태평서울병원(이상구 원장), ㈜엑셀바이오(대표이사 문상호), 인도 Rejua Energy Center 병원 그룹(대표 Dr. Santosh Pandey), Evergreen Ventures(대표 Gaurav Kumar)의 4자 MOU 채결(사진 제공 ㈜엑셀바이오)혈액세포 활성화 장치를 선도적으로 개발 및 보급해온 ㈜엑셀바이오(ACTCELLBIO, 대표이사 문상호)는 2024년 11월15일 태평서울병원, 인도 레주아에너지센터(Rejua Energy Center LLP., 대표 Dr. Santosh Pandey) 병원그룹, 인도 에버그린벤처스(Evergreen Ventures, 대표 Gaurav Kumar)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4자 MOU 체결로 한국의 혁신적인 의료기기 및 첨단 치료기술이 인도 시장으로 진출할 교두보가 마련됐다. 또한 수준 높은 임상경험과 의료기술을 융합한 모델의 수출 가능성도 높아졌다.엑셀바이오가 개발한 혈액 세포 활성화 장치는 기존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치료술(PRP)' 치료의 단점과 한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회장 김응석) 및 대한항노화학회(회장 장명준) 등 임상의사들 사이에서 뜨거운 주목을 받아왔다.<재생주사 교육센터>를 운영하는 태평서울병원은 레주아에너지센터 (www.rejua.in) 관계자를 대상으로 산소 치료기, 수소 치료, EMS(Electro Muscular Stimulation system) 등을 설명했다.양사는 학술교류를 통해 3000년 동안 이어져온 인도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와 융합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태평서울병원은 한국의 선진화된 의료기술에 대한 일괄 자문과 지도를 담당한다. .▲ 사진 2. 인도 Rejua Energy Center 병원 그룹(사진 제공, Dr. Santosh Pandey),레주아에너지센터는 인도 최대 항구도시인 뭄바이에서 40개 이상의 진료 시설을
-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크게 늘어나며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가 초래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이 사회 곳곳에 파장을 일으키며 외면할 수 없는 정책 아젠다(agenda)로 급부상했다.우선 대한노인회는 현재 65세인 노인 기준 연령을 높이고 <정년 연장>을 통해 계속 일을 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정하라고 요구했다. 취업자도 대부분 노인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특히 젊고(?) 건강한 베이비붐 세대들이 2년 전부터 노인 연령으로 진입하면서 매년 70만 명 이상, 평균 80만 명이 노인이 되는 것이 예정돼 있다.이미 2024년 연말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인 1000만 명을 돌파하고 향후 8년 동안 640만 명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인 당사자 뿐 아니라 앞으로 노인이 될 것이 예정돼 있는 현재 중·장년층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부모님을 부양해야 하는 의무 외에도 평균 수명이 95세가 되도록 오래 살아야 하는 세상은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경험해 보지 못했으므로 불안감과 더불어 걱정도 밀려온다.◇ SNS에 '항노화' 관련 자료가 넘쳐나지만 진위 파악 어려워... 의료인조차 효과적인 설명 방법 고민 중필자는 2004년 대통령 직속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에 근무하며 저출산과 고령화가 불러올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예측하는데 청춘을 바쳤다. 국정 운영 전반에 걸쳐 대응할 정책을 수립하며 수많은 고민에 밤잠을 설치기 일쑤였다.세계 최고의 노인 빈곤율로 노후 소득보장 정책이나 중증재가와상노인을 위한 돌봄 정책 등 하루아침에 해결할 수 없는 산적한 과제를 국가적으로 감당해야만 하기 때문이다.동시에 노인이나 앞으로 노인이 될 개인들 대부분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되지?’라고 하는 걱정과 ‘안 아프고 살아야 될 텐데’라는 걱정을 안고 살아간다.예전에는 부자나 고위층 등 특수 계층만 생각하던 <항노화>에 대한 관
-
미국 카네기멜론대(Carnegie Mellon University)에 따르면 보스턴대(Boston University)와 공동으로 줄기세포와 인공지능(AI)을 사용해 새로운 폐 모델을 구축했다. 연구 결과는 Cell Stem Cell 저널에 발표됐다.연구원들은 성인의 혈액을 유도된 다능성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s)로 재 프로그래밍한 다음, 성인 폐 세포와 매우 유사한 세포가 될 때까지 한달 동안 성장 인자로 처리했다.하지만 그 결과로 생성된 세포는 생성하고자 하는 세포의 수집이 아니며, 목표 세포의 특성을 장기간 유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기계학습을 사용했다.이를 통해 시스템에서 폐 세포가되는 세포의 선호 인자에 대한 역동적인 그림을 구축함으로써 1년 이상 접시에 세포 정체성을 유지하는 더 적절한 세포를 만들었다.개발된 기술은 특발성 폐 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신생아 호흡 곤란 또는 조기 발병 간질성 폐 질환과 같은 질병에 대한 실험실에서 폐 질환 및 치료법을 모델링하는 과학자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특히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폐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1년 이상 보관할 수 있으며 폐 질환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향후 폐 질환에 대한 더 나은 치료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SA-CarnegieMellonUniversity-AI-lung▲ 카네기멜론대(Carnegie Mellon University)의 연구원 Jun Ding(출처 : 홈페이지)
-
미국 캘리포니아대(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이하 UCSD)에 따르면 실험실에서 자란 줄기세프가 신생아의 뇌파외 비슷한 전파를 방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이러한 유형의 만능 줄기세포는 폐, 심장 또는 뇌안에 있을지라도 신체의 모든 유형의 세포 또는 조직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UCSD의 연구팀은 단일 만능 줄기세포의 성장을 추적하기로 결정했을 때 관련 현상을 발견했다.특히 뇌 세포가 10개월 동안 “피질 오가노이드(cortical organoids)”로 알려진 작은 덩어리로 발전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때 줄기세포는 크기가 부풀어 오르면서 뇌파와 유사한 신호를 방출했다.대뇌 피질의 오가 노이드가 성숙함에 따라 방출되는 전기 스파이크가 더 복잡해졌다. 오가노이드는 신생아가 생성하는 뇌 신호와 비슷한 것으로 분석된다.이와같은 연구결과를 이용하면 초기 뇌 발달에 존재하는 신경학적 또는 심리적 상태를 연구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자폐증과 간질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SA-UCsandiego-stemCell▲ 캘리포니아대(UCSD)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일본 다이닛폰스미토모제약(大日本住友製薬)에 따르면 2017년 암의 재발 및 전이의 원인이 되는 ‘암줄기세포’를 치료하는 신약을 출시할 예정이다.현재 일본과 미국에서 최종 임상시험을 추진해 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며 우선 위암용으로 제조판매를 승인받을 계획이다. 향후 암줄기세포를 공격하는 대형 신약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일본 제약업체인 다이니혼스미토모제약(大日本住友製薬)은 2017년 암줄기세포를 치료하는 신약을 발매한다고 발표했다. 암줄기세포는 암의 재발과 전이의 원인이 된다.일본과 미국에서 최종적인 임상실험으로 효과의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위암용으로 제조판매의 승인을 취득한다. 암의 근본인 암줄기세포를 공격하는 대형신약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제약기업 Mesoblast는 2016년 3월 말 마감 3개월동안 순손실 $US 1690만달러라고 밝혔다. 또한 전년 동기간 순손실은 $U 2220만달러였다.Mesoblast는 줄기세포 치료제를 연구하고 생산하는 기업으로 순손실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