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 중단"으로 검색하여,
19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KFC 불닭볶음면 더블다운 메뉴의 이미지[출처=KFC 말레이시아 켄터키타운]2025년 3월18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KFC 싱가포르는 2025년 4월2일부터 한국 삼양 불닭볶음면과 콜라보한 기간 한정 메뉴를 소개할 방침이다.필리핀 아이오닉스에 따르면 재무 실적을 개선하고자 자회사의 사출성형 플라스틱 제품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KFC 싱가포르(KFC Singapore), 한국 삼양 불닭볶음면과 기간 한정 메뉴를 선보일 예정KFC 싱가포르(KFC Singapore)가 한국 삼양 불닭볶음면과 기간 한정 메뉴를 선보인다. 2025년 4월2일부터 5월13일까지 판매한다.기존 징거 더블다운 샌드위치에서 핫크리스피 징거 필렛 사이에 불닭볶음면을 끼워넣었다. 치즈와 크림 마요네즈 소스가 매운맛을 중화시킨다.삼양 불닭 치킨밀 세트는 치킨 두 조각, 매쉬드포테이토, 김치, 스조라(Sjora) 음료로 구성된다. 치킨을 찍어 먹을 수 있는 불닭 소스가 포함된다. KFC에 따르면 코울슬로 메뉴를 변형한 것은 창립 이래 처음이다.◇ 필리핀 아이오닉스(Ionics, Inc.), 자회사 아이옴니 프레시지션(Iomni Precision, Inc.)의 생산 중단 결정필리핀 전자기기 제조업체 아이오닉스(Ionics, Inc.)에 따르면 재무 실적을 개선하고자 2025년 5월15일부터 자회사 아이옴니 프레시지션(Iomni Precision, Inc.)의 생산을 중단한다.아이옴니는 정밀 사출성형 플라스틱 제품 생산 및 조립 사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외 아이오닉스는 통신, 자동차, 컴퓨터, 플라스틱, 의료 부문에 임하고 있다.2024년 1월~9월 아이오닉스의 순손실은 US$ 40만 달러로 전년 순이익 10만 달러와 정반대다. 매출액은 151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6% 감소했다.
-
2025-03-07▲ 남아프리카공화국 가금류 생산 기업인 레인보우 치킨(Rainbow Chicken)의 여성 연구원의 모습. [출처=레인보우 치킨 홈페이지]2025년 3월7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축산업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가금류 생산 기업인 레인보우 치킨(Rainbow Chicken)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 운영 매출은 R 79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8.9% 증가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스트랑 프랜차이즈 기업인 스퍼 코퍼레이션(Spur Corporation)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15개국 전체 지점 개수는 726곳으로 집계됐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인보우 치킨(Rainbow Chicken), 2024년 하반기 운영 매출 R 79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8.9% 증가남아프리카공화국 가금류 생산 기업인 레인보우 치킨(Rainbow Chicken)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 운영 매출은 R 79억 랜드로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했다.2024년 하반기 세수전수익(EBITDA)은 5억8110만랜드로 전년 동기 대비 119.0% 급증했다. 주당순이익(EPS)은 35.58센트로 1407.6% 확대됐다.지속적인 운영 향상과 운영 효율성 및 비용 절감 조치에 집중하며 상품 가격을 낮출 수 있던 것으로 조사됐다. 전력 중단과 조류 독감과 관련된 비용을 절감한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전력 중단과 조류 독감에 의한 비용 리스크가 완화했음에도 여전히 가금류 시장의 주요 리스크이기 때문에 정부의 향후 조치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남아프리카공화국 레스트랑 프랜차이즈 기업인 스퍼 코퍼레이션(Spur Corporation)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15개국에 운영 중인 전체 지점 개수는 726곳으로 집계됐다.2024년 701곳과 2023년 687곳과 대비해 증가했다. 2024년 하반기 남아공 국내에서 개점한 지점 수는 21곳, 폐점 수는 5곳으로 총 619곳으로 조사됐다.2024년 하반기 남아공을 제외한 아프리카에서 개점한 지점 수는 12곳이며 해외에 운영 중인 총 107곳으로 집계됐다. 가나, 나이지리아, 잠비아 등에서는 랜드화 평가절하로 어려움을 겪었다.
-
▲ 영국 베이커리 카페인 그렉스(Greggs) 점포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5년 3월5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독일,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의 베이커리 카페가 닭고기, 감자 등의 음식을 추가하며 매출액이 늘어나고 있다.독일에서는 미국 테슬라 전기자동차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의 정치 행보에 대한 부작용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아일랜드 저가항공사는 2025년 11월부터 종이 탑승객을 100% 없앨 방침이다. 승객들은 자신의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종이 쓰레기를 절감할 수 있다.◇ 영국 그렉스(Greggs), 2024년 세전순이익은 £2억400만 파운드로 전년 대비 8.3% 증가영국 베이커리 카페인 그렉스(Greggs)에 따르면 2024년 세전순이익은 £2억400만 파운드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특히 피자, 닭고기, 감자 등의 판매가 급증했다.피자 가게로 알려졌지만 다양한 메뉴를 확대하면서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시내 중심가와 전철, 버스 정류장 인근에 점포를 개설하면서 저녁 매출도 늘어났다.정부가 국민보험에 대한 납부금을 올리고 높은 연료가격, 상승한 모기지 비용 및 임대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소비 침체가 길어지고 있다.◇ 독일 연방자동차청(KBA)은 2025년 2월 미국 테슬라 판매량이 1429대로 전년 동월 대비 76% 감소독일 연방자동차청(KBA)은 2025년 2월 미국 전기자동차(EV)업체인 테슬라 판매량이 1429대로 전년 동월 대비 76% 감소했다고 밝혔다. 1월 감소폭인 60%와 비교해서 확대됐다.테슬라의 2월 판매량은 스칸디나비아, 프랑스 등에서 급감했다. 2월 독일 국내에서 판매된 EV는 3만5949대로 전년 동월 대비 30.8% 증가했다.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는 독일 극우정당인 AfD(독일을 위한 대안정당)을 지지한다고 밝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러한 정치적 행보가 차량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아일랜드 라이언에어(Ryanair), 2025년 11월부터 디지털 탑승권을 도입해 종이 탑승권의 사용 중단아일랜드 저가항공사인 라이언에어(Ryanair)은 2025년 11월부터 디지털 탑승권을 도입해 종이 탑승권의 사용을 중단한다고 밝혔다.현재 디지털 탑승권의 사용 비율은 80%에 달한다. 승객들은 탑승권을 다운로드받아 종이에 인쇄하는 대신에 마이라이언에어(myRyanair) 앱을 활용해 체크인이 가능하다.승객들은 불필요한 종이 사용을 억제해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다. 연간 종이 쓰레기 300톤(t)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체크인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된다.
-
▲ 룩셈부르크 다국적 철강생산업체인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의 직원들 모습. [출처=아르셀로미탈 홈페이지]2025년 2월28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광업을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플래티늄 그룹 금속(PGM) 기업인 노덤 플래티늄(Northam Platinum)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 판매 매출은 R 145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3.1% 감소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철강생산업체인 아르셀로미탈 남아공(AMSA)에 따르면 2025년 2월 남아공 국내 장강제품 운영을 중단하기로 발표했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노덤 플래티늄, 2024년 하반기 판매 매출 R 145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3.1% 감소 남아프리카공화국 플래티늄 그룹 금속(PGM) 기업인 노덤 플래티늄(Northam Platinum)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 판매 매출은 R 145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3.1% 감소했다.2024년 하반기 운영 수익은 10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55.2% 급락했다. 주당 헤드라인 수익은 1주당 61.1센트로 49.7% 하락했다.글로벌 경제 둔화와 전기자동차(EV) 전환에 의한 PGM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로 PGM 가격이 압박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남아프리카공화국 철강생산업체인 아르셀로미탈 남아공(AMSA)에 따르면 2025년 2월 남아공 국내 장강제품 운영을 중단하기로 발표했다.2024년 막심한 손실로 철강 사업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표명했으며 주주들과 논의하며 최정적인 결정은 지연되고 있다.2025년 3월 첫째주부터 제철소 용광로의 가동을 중단할 예정이다. 2025년 3월 말부터 4월 초에 생산을 중단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2분기 운영 유지 보수가 시행될 예정이다.장강제품 운영 중단으로 인해 직접 및 간접 일자리 3500개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수 철강과 연계된 타산업 분야의 일자리는 8만개에서 10만개가 영향을 받는다.해결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부와 논의를 계속할 방침이다. 현 정책에 의한 부정적 영향에도 정부와 수출세 및 가격 안정화 시스템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
조선 말기 평양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대동강물을 팔았다는 '봉이 김선달'은 희대의 사기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우물이 없는 가난한 백성들이 강물을 퍼다가 식수로 삼는 상황을 활용해 일확천금(一攫千金)을 꿈꾸는 상인들을 농락했다. 몰락한 양반과 탐욕스러운 상인을 웃음거리로 전락시킨 소설의 줄거리다.한국수자원공사는 강에 댐과 저수지를 건설해 하늘이 공짜로 내려준 빗물을 팔아 돈을 번다는 측면에서 현대판 '봉이 김선달'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국가가 수자원공사에 막강한 권한을 위임했다.수자원을 잘 관리해 국민에게 깨끗한 수돗물을 저렴하게 공급해야 하는 임무는 소홀하면서 부가적인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해 경영이 파탄 지경에 이르렀다.수자원공사는 1967년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관리해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립한 환경부 산하 공기업이다.국토교통부에서 관리하다가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2018년부터 환경부가 관리·감독하지만 방만·부실 경영은 피하지 못했다. 수자원공사의 경영 문제점과 혁신 방안을 살펴보자.▲ 한국수자원공사의 경영혁신 관련 핵심 이슈 [출처=iNIS] ◇ 경영진·직원 전문성 축적·발휘에 무관심... 낙하산 인사 및 문어발식 사업 확장이 부실 주범1997년 세계 각국은 지구 온난화를 예방해 기상이변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를 합의했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어들지 않았다.우리나라도 여름철에 강우량이 집중되지만 수자원이 풍부한 국가로 분류됐었다. 하지만 이제는 전국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심화돼 국민이 고통을 받고 있다.우리 속담에 ‘물 쓰듯 하다’는 말이 있는데 ‘돈이나 물건을 마구 헤프게 사용한다’는 의미다. 과거에 물은 공짜나 다름없다고 생각했을 정도로 귀하지 않았다.저렴하고 깨끗한 수돗물의 이미지를 훼손한다고 생수나 정수기의 판매를 허용하지 않았던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수자원공사의 경영이 실패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우선 경영이 파탄이 난 한국전력공사·한국석유공사·한국석탄공사·한국가스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 등과 마찬가지로 역대 경영진의 대부분은 전문성이 부족한 낙하산 인사가 임명됐다.1대부터 16대까지 사장은 장창국·안경모·이희근·이상희·이태교·이윤식·이태형·임정규·최중근·고석구·곽결호·김건호·최계운·이학수·박재현·윤석대다.1대 사장인 장창국은 군 출신으로 사장직을 마친 후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2대 사장인 안경모는 공무원 출신으로 교통부장관을 지낸 후 산하 기관의 사장으로 취임했다.4대 사장인 이상희는 도지사·내무부장관으로 승진한 공무원으로 수자원공사·한국토지공사 사장과 건설부 장관까지 두루 섭렵했다.역대 수자원공사 사장 16명 중 13명이 외부인사이며 3명만 내부에서 승진했다. 외부인사 중 관료 출신은 5명이고 나머지는 정치인,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다.2023년 임명된 16대 윤석대 사장도 정치인 출신이다. 내부인, 퇴직 공무원, 정치인, 교수 등과 5명이 경합했지만 정치인이 임명됐다. 윤석열정부도 역대 정부와 마찬가지로 공기업 경영진은 권력투쟁의 결과물이라 여긴 것이다. 다음으로 상수도 사업과 같은 주력사업 이외에 내륙주운(內陸舟運) 및 운하시설, 신재생에너지, 공유수면의 매립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면서 부실을 심화시켰다.내륙주운 및 운하시설은 이명박정부에서 4대강과 경인아라뱃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추가했다. 수자원공사는 4대강 사업에 8조 원 이상을 투자했지만 대부분 회수하지 못했다.에너지 회사도 아닌 수자원공사가 추가한 신재생에너지는 수상태양광·수력·조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인데 특히 수상태양광 발전소는 본업과는 거리가 멀다.문재인정부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서 수상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투자를 늘렸지만 오히려 환경 파괴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수자원공사는 관리 중인 모든 댐에 수상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하지만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는 댐의 부영양화, 수생생태계 파괴, 중금속 오염 등의 이유를 제시하며 반대한다.2020년 영주댐 환경영향 평가를 앞두고 수질 악화를 감추기 위해 녹조 제거제인 루미라이트를 투입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루미라이트는 녹조를 침전시키는 용도인데 침전물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상황이다.우리 속담에 '눈 가리고 아웅한다'는 것고 동일한 상황이다. 침전된 슬러지에 대한 처리대책도 없으며 일부 전문가는 폭우 등으로 침전물이 떠오를 것이라고 주장한다.마지막으로 경영진뿐만 아니라 직원의 전문성 부족도 정상적인 경영을 위협하고 있다. 2020년 8월 수자원공사는 합천댐·용담댐·섬진강댐 등 댐의 홍수 조절·예비 방류·방류 시기 조절 등 총체적 실패로 댐 하류 지역 주민에게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전임 정부에서 무리하게 시작한 태국판 4대강 사업과 필리핀 상수도 사업 등 해외사업의 부실이 심각함에도 현재 다양한 해외사업을 무리하게 추진 중이다.수자원공사는 2020년 태국판 4대강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설립한 현지 법인을 청산했다. 태국 정부의 귀책사유로 사업이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했지만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아 혈세를 낭비했다.2023년 4월 조지아 정부와 합작해 설립한 현지 법인 ‘JSC넨스크라하이드로’에서 대규모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내부통제시스템이 적발하기 어려운 소액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1개월 동안 8억5000만 원을 빼돌렸다.내부통제시스템은 금융기관조차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24년 국정감사에서도 금융기관 뿐 아니라 공기업의 내부통제시스템을 정비하라는 요구가 빗발쳤다.◇ 진정한 전문경영인 확보해 물관리 일원화정책 성공시켜야... 환골탈태하지 못하면 조직 괴멸 피하기 어려워외견상 수자원공사의 사업은 공짜로 얻은 빗물을 판매하는 이른바 ‘땅 짚고 헤엄치기’식의 사업이므로 부실은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권력을 잡은 정권 수뇌부가 퇴직 관료나 폴레페서(polifessor·정치 지향 교수) 등을 경영진으로 과감하게 임명할 수 있었던 이유다. 하지만 이제는 과거의 행태를 벗어난 과감한 경영혁신이 필요하다.첫째, 비전문가 낙하산 인사를 중단하고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물관리 전문가로 경영진을 구성해야 한다.과거 댐을 건설하던 시기에는 토목이나 단순 물관리 업무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전문가는 거의 필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는 사정이 달라졌다.수자원공사가 처한 내·외부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막대한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상수도 요금을 올려야 하지만 국민은 잘못된 경영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다.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대유행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글로벌 경제위기는 국민경제에 치명상을 가해 대폭적인 공공요금 인상도 쉽지 않다.국내 사업에 익숙한 공기업이 기대 성과는 적고 위험부담이 큰 해외사업을 추진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지난 10여 년 동안 성공한 사업 사례를 찾기 어려운 수자원공사도 해외사업을 중단하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전문가들은 사업성보다는 조직을 키우거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해외사업이 대부분이라고 일침을 가한다. 현 경영진이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둘째, 낙하산 사장이라고 해도 경영진은 정치적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내부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 2020년부터 시행된 수자원공사의 물관리 일원화정책이 성공해야만 국민으로부터 기업의 존재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아직도 성과를 내지 못한 물관리 일원화정책을 실패하면 수자원공사의 경영진으로 근무했다는 이력이 훈장보다는 부끄러운 낙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현재 수자원공사의 누적된 부실은 경영진이 자리를 지키기 위해 정치적 외압에 굴복했기 때문이다. 이명박정부의 4대강 사업과 문재인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대표적이다.정치 바람을 차단한 후에는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심정으로 내부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 월급쟁이라 어쩔 수 없었다고 변명하더라고 부실 사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했던 직원을 징계해야 한다.노동조합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직원의 역량을 재평가해 배치해야 한다. 파벌 중심의 ‘나눠먹기식’ 인사는 공멸만 부르기 때문이다. 높은 급여를 무기로 우수한 직원을 채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셋째,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직원의 역량을 측정해 비용 효율적인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수자원공사에서 퇴직했거나 재직 중인 직원들의 의견과 전문가의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의 업무는 단순 관리에 속하기 때문에 고스펙의 직원이 필요하지 않다.그럼에도 2023년 기준 정규직의 평균 급여는 8550만 원으로 높은 편이다.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무기계약직의 평균 급여가 4960만 원인 점을 감안하면 조정할 여지가 크다.단순 관리직은 스펙과 급여를 무기계약직과 같은 수준으로 낮추는 반면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종합적인 물관리 정책을 수립할 전문직은 더 많은 연봉을 지급해야 한다.우리나라에 자칭 전문가로 불리는 사람이 넘쳐나는 것은 전문가에 대한 개념 정의가 잘못돼 있기 때문이다. 몇 년 동안 공무원으로 관련 업무를 수행했거나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면 전문가라고 인식한다.그동안 이러한 유형의 전문가가 수자원공사의 경영을 망친 주범들이다. 진정한 전문가는 자기 분야에서 학위와 단순 경험을 넘어선 전문지식을 보유해야 한다. 외국에서는 스스로 전문가라고 칭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종합적으로 수자원공사의 경영은 설립 목적인 국민생활의 향상과 공공복리 증진에 기여하지 못해 환골탈태(換骨奪胎)의 혁신이 불가피하다.내부적으로 뼈를 갂는 고통을 감내하지 않으면 조직이 괴멸될 정도의 더 큰 외부 충격을 견뎌야 한다. 현재의 부실 규모나 국민 감정을 고려하면 낭비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판단된다.윤석열정부도 낙하산 경영진에 대한 유혹을 버리고 진정한 전문가를 영입해 성공적인 물관리정책을 펼쳐야 국민으로부터 지지를 얻을 수 있다.현재 윤석열 대통령이나 정부가 추진하는 국정 전반에 걸쳐 지지도가 낮은 이유도 비슷한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정권를 쟁취했다는 승리감에 도취돼 국정은 농단하면 국민의 엄중한 심판을 피하기 어렵다.- 계속 -
-
▲ 미국 방송사인 CNN이 운영 중인 아틀란타 방송센터 [출처=위키피디아]2025년 1월23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의 다수 방송사와 신문이 경영난을 이유로 직원을 대규모 해고할 방침이다.글로벌 자동차 회사인 스텔란티스(Stellantis)는 미국 트럼프 정부와 협력하기 위해 가동을 중단했던 미국 제조시설을 살릴 방침이다.프랑스 자동차업체인 르노(Renault)는 브라질에서 해치백 생산을 중단하지만 유럽에서는 3세대 모델로 진화해 출시할 계획이다.◇ 미국 CNN, 경영난을 해소하기 우해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할 예정미국 방송사인 CNN에 따르면 경영난을 해소하기 우해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할 예정이다. 현재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재조정하고 글로벌 디지털 시청자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현재 뉴욕이나 워싱턴에서 생산하고 있는 쇼는 제작비가 저렴한 애틀란타로 옮긴다. 현재 CNN은 워너 브로스 디스커버리가 소유하고 있다.컴캐스트가 운영 중인 NBC 뉴스도 조만간 50여 명의 직원을 줄인다. 아마존의 창업자인 제프 베조스가 소유하고 있는 워싱턴 포스트도 전체 직원의 4%인 100여명을 떠나 보낸다.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스텔란티스(Stellantis)는 디트로이트에 있는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일리노이주 벨비데르에 있는 조립 공장에서 신형 중형 사이트 픽업 트럭을 생산한다. 또한 디트로이트에서 차세대 도지 두란고 SUV를 제조한다.500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벨비데르 조립공장은 2023년 초부터 가동을 중단했다. 가장 최근에 집 체로키를 생산했지만 경영난을 이유로 문을 닫았다.◇ 미국 아마존(Amazon), 캐나다 퀘벡에서 창고 운영 중단 미국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Amazon)은 캐나다 퀘벡에서 창고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약 1700명의 풀타임 근로자가 해고될 것으로 전망된다.퀘벡에서 직접 사업을 영위하는 대신에 제3자에게 배송을 맡길 방침이다. 2024년 5월 아마존 창고 근로자들은 캐나다 노동조합에 가입했다.근로자들은 아마존에서 지급하는 급여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부적절한 건강 및 안전 조치가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동조합은 아마존의 조치가 퀘벡 근로기준법을 위반한다고 경고했다.◇ 프랑스 르노(Renault), 브라질에서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 모델의 생산 중단프랑스 자동차 제조업체인 르노(Renault)는 브라질에서 스텝웨이 모델의 생산을 중단하고 밝혔다. 르노는 2007년부터 루마니아 협력업체인 다치아(Dacia)와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를 제조했다.브라질에서 저렴하고 공간이 넓은 자동차 생산을 희망했다. 실제 르노 산데로 스텝웨이는 단순한 인테리어와 단출한 기능을 가졋지만 5명이 탑승해도 안락한 공간을 제공했다.하지만 유럽에서 다치아는 3세대 해치백을 생산할 계획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유럽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차량에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
▲ 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 홈페이지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공개시장 국채 매입 업무를 중단하기로 했다. 최근 국채시장 수급 부족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중국정부(中国政府)에 따르면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을 일론 머스크에게 매각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일본자동차공업회(日本自動車工業会)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이륜차출하대수는 31만9700대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2년만에 줄어들었으며 경이륜차 등 취미성 높은 차량을 중심으로 침체했다.일본 온라인 업체인 이온(イオン)에 따르면 2025년 2월기 제3분기 결산 결과 영업수익이 7조4705억7500만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일본 재무성(財務省)에 따르면 2025년 1월14일 국제수지 상황 속보를 발표했으며 11월 경상수지는 3조3525억 엔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3개월 만에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제1차소득수지 흑자폭이 확대됐다.홍콩무역발전국(香港贸易发展局)에 따르면 2025년 1월13일(월요일, 현지시간) 홍콩컨벤션센터에서 제18회 아시아금융포럼이 개최됐다.◇ 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 2025년 1월부터 공개시장 국채 매입 업무 중단 결정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공개시장 국채 매입 업무를 중단하기로 했다. 최근 국채시장 수급 부족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중앙은행이 채권 매입, 국채 매입을 중단할 경우 이론적으로는 채권시장에 중립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중국정부(中国政府)에 따르면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을 일론 머스크에게 매각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2024년 4월 미국 의회는 2025년 1월19일 까지 틱톡 미국 사업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앱 다운로드나 업데이트를 할 수 없게 된다.◇ 일본자동차공업회(日本自動車工業会), 2024년 국내 이륜차출하대수 31만9700대로 전년 대비 15% 감소일본자동차공업회(日本自動車工業会)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이륜차출하대수는 31만9700대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2년만에 감소했으며 경이륜차 등 취미성 높은 차량을 중심으로 침체했다.배기량별로는 50CC~125CC 이하가 25% 줄어든 11만2653대를 판매했다. 125CC~250CC 이하는 35% 감소한 4만3488대, 250CC초과는 21% 줄어든 5만3433대를 각각 소비자에게 인도했다.일본 이온(イオン)에 따르면 2025년 2월기 제3분기 결산 결과 영업수익이 7조4705억7500만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영업이익은 1175억6900만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7% 감소했다. 경상이익은 1020억6300만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3% 줄어들었다. 모회사에 귀속되는 당기손실은 156억6700만 엔이다.일본 재무성(財務省)에 따르면 2025년 1월14일 국제수지 상황 속보를 발표했으며 11월 경상수지는 3조3525억 엔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3개월 만에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제1차소득수지 흑자폭이 확대됐다.무역, 서비스 수지는 3366억 엔 흑자, 이중 무역수지는 979억 엔으로 5개월 만에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등 제조장치 및 비철금소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 홍콩무역발전국(香港贸易发展局), 2025년 1월13일(월요일) 제18회 아시아금융포럼 개최홍콩무역발전국(香港贸易发展局)에 따르면 2025년 1월13일(월요일, 현지시간) 홍콩컨벤션센터에서 제18회 아시아금융포럼이 개최됐다.아시아금융포럼은 '새로운 성장동력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개최됐으며 50개 이상 국가와 지역 금융 전문가, 사업가 참약 3600여 명 참석했다.
-
▲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도인 케이프타운(Cape Town) 시청 빌딩 [출처=위키피디아]2025년 1월13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통계와 교통을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운전 교습 기업인 마스터드라이브(MasterDrive)에 따르면 전력 중단 의혹으로 인한 비전문 교통 관리자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인릭스(INRIX), 글로벌 트래픽 스코어가드(Global Traffic Scorecard) 2024 순위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도인 케이프타운(Cape Town) 상위 7위 기록미국 교통 정보 분석 회사인 인릭스(INRIX)에 따르면 글로벌 트래픽 스코어가드(Global Traffic Scorecard) 2024 순위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도인 케이프타운(Cape Town)은 상위 7위를 기록했다.케이프타운은 국내에서도 교통 혼잡이 가장 높은 도시로 조사됐다. 글로벌 트래픽 스코어가드는 전세계 946개의 주요 도시별 교통혼잡도를 조사한 순위이다.2024년 케이프타운 운전자들은 교통 체증으로 도로에서 94시간을 허비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교통 혼잡도 2위인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는 55시간을 기록했다.참고로 글로벌 트래픽 스코어가드 1위는 튀르키예 이스탄불(Istanbul)로 교통 체증으로 인한 시간 낭비는 105시간으로 2023년과 비교해 15% 증가했다.남아프리카공화국 운전 교습 기업인 마스터드라이브(MasterDrive)에 따르면 전력 중단 의혹으로 비전문 교통 관리자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최근 전력 중단으로 인해 낮 시간 동안 신호등 가동이 중지되고 밤에만 가동이 재개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나 대응은 아직까지 없지만 교통관리위원회의 조속한 방지책 마련을 촉구했다.신호 체계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 훈련을 받지 않은 신호수가 교통 정리를 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일이라고 지적했다.또한 금전적 이익으로 인한 폭력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운전자 개인이 불법 신호수를 조심하고 안전 교통에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
▲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부칼라팍(Bukalapak) 메인화면[출처=부칼라팍 홈페이지]2025년 1월9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스트림 엠파이어 홀딩스는 한국 뚜레쥬르의 마스터프랜차이즈로서 2025년 안에 국내 매장 5곳을 조성한다고 밝혔다.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부칼라팍은 2025년 2월9일 마지막 주문을 받은 후 가상 제품만을 취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말레이시아 스트림 엠파이어 홀딩스(Stream Empire Holdings Sdn Bhd), 2025년 한국 뚜레쥬르 국내 매장 5곳 신설말레이시아 스트림 엠파이어 홀딩스(Stream Empire Holdings Sdn Bhd)에 따르면 2025년 동안 쿠알라룸푸르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 플래그십 브랜드 뚜레쥬르(Tous les Jours)의 매장 5곳을 신설한다.스트림 엠파이어 홀딩스는 뚜레쥬르의 마스터프랜차이즈로 설문조사를 통해 전통적인 베이커리 카페 형식이 젊은이와 밀레니얼 세대 사이의 트렌드라고 분석했다.첫번째 매장은 선웨이 피라미드 몰에서 2025년 2분기 개장을 목표하고 있다. 두번째 매장은 선웨이 벨로시티 몰에 위치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부칼라팍(Bukalapak), 2025년 2월9일 이후 실물 상품 판매 중단 조치인도네시아 전자상가래 부칼라팍(Bukalapak)이 실물 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2월9일 마지막 주문을 받으며 이후 모바일 폰 크레딧 및 스트리밍 바우처 같은 가상 제품만을 취급할 예정이다.참고로 2021년 상장한 부칼라팍은 기업공개를 통해 22조 루피아(US$ 15억 달러)를 확보한 바 있다. 2024년 1월~9월 동안 손실액 5932억3000만 루피아(3662만 달러)를 기록했다.부칼라팍은 틱톡(TikTok)이 인수한 토코피디아(Tokopedia)와 싱가포르 씨(Sea Limited) 산하의 쇼피(Shopee)와 경쟁하고 있다.
-
▲ 방글라데시 유에스방글라 에어라인(US-Bangla Airlines) 항공기 이미지[출처=유에스방글라 에어라인 홈페이지]2025년 1월8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방글라데시를 포함한다. 킹피셔 맥주로 유명한 인도 UBL이 TGBCL에 대한 맥주 공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방글라데시 유에스방글라 에어라인은 더 방글라데시 모니터를 타이틀 스폰서로 해 국제관광박람회 '2025 다카트래블마트'에 참여한다.◇ 인도 UBL(United Breweries Ltd), TGBCL(Telangana Beverages Corporation Ltd)에 대한 맥주 공급 중단 조치인도 주류업체 UBL(United Breweries Ltd)은 텔랑가나 주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TGBCL(Telangana Beverages Corporation Ltd)에 대한 맥주 공급을 중단한다.TGBCL이 2019-2020년 이후 맥주의 기본 가격을 인상하지 않음으로써 막대한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텔랑가나 주는 UBL의 운영 매출에서 15%~20%를 차지하고 매출 기여도는 그보다 낮다. UBL의 텔랑가나 주 시장 점유율은 70%다.참고로 UBL은 킹피셔(Kingfisher) 맥주 브랜드로 유명하다. 2024년 인도 양조자협회(BAI)는 텔랑가나 주정부로 하여금 인플레이션에 대한 보상으로 주류 금액 인상을 요구한 바 있다.◇ 방글라데시 유에스방글라 에어라인(US-Bangla Airlines), '2025 다카트래블마트' 더 방글라데시 모니터(The Bangladesh Monitor)와 협력방글라데시 유에스방글라 에어라인(US-Bangla Airlines)은 관광여행신문 더 방글라데시 모니터(The Bangladesh Monitor)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더 방글라데시 모니터를 타이틀 스폰서로 해 제20회 국제관광박람회 '2025 다카트래블마트(Dhaka Travel Mart 2025)'에 참여한다.더 방글라데시 모니터의 트래블마트 기획 및 국내외 홍보를 지원하며 박람회의 방문자를 위한 패키지 및 항공편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2025 다카트래블마트는 2025년 2월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개최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