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할인점"으로 검색하여,
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12▲ 쿠팡, 제주도에 신선식품 새벽배송 시작[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박대준)에 따르면 국내 주요 유통 기업 중 최초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신선식품 새벽배송(로켓프레시) 서비스를 시작했다.제주의 쿠팡 와우회원은 만두나 김치 같은 냉장·냉동 상품을 주문 다음 날 오전 7시까지 무료 배송을 받을 수 있게 됐다.쿠팡이 2020년 로켓배송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제주 지역 와우회원은 공산품 등 생활필수품을 주문 다음날 받아왔다.앞으로는 이들도 내륙 지역 회원들과 동일하게 신선식품에 대해서도 새벽배송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제주 지역의 높은 추가 택배 배송비 부담과 긴 배송기간, 거주지 인근 대형 할인점 부족 등 어려움을 겪어온 제주도민들이 무료 새벽배송으로 생활 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삶의 질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김치·계란·만두부터 각종 생활필수품 등 1만여종…제주 주요지역 새벽배송 개시쿠팡은 제주 지역에 신선식품 새벽배송 서비스 운영을 시작했다. 제주도의 와우회원은 자정까지 1만5000원 이상 신선식품을 구매하면 다음날 오전 7시까지 무료 새벽배송을 받을 수 있게 됐다.쿠팡은 제주시·서귀포시를 비롯한 주요 인구밀집지역을 시작으로 도내 전반으로 신선식품 새벽배송을 확대하면서 향후 당일배송 서비스도 오픈할 계획이다제주 와우회원들은 400여 종의 주요 인기 신선식품을 무료 새벽배송으로 주문할 수 있다. 계란·두부·정육부터 김치·깍두기·젓갈, 만두·즉석국 같은 다양한 냉장냉동 간편식 등이 포함된다.쿠팡은 여러 신선식품 카테고리에 거쳐 주문 가능품목을 1700여종 이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신선식품 외에도 인기 상온식품(라면·스낵·즉석밥·양념류 등)과 생활주방용품(세제·샴푸·치약 등), 가전·뷰티·문구류 같은
-
2020년 2월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은 비대면사회를 앞당겼으며 오프라인 유통점의 변화를 요구했다. 길거리 상점이 온라인 점포와 경쟁에서 뒤쳐졌는데 대형 할인점도 비슷한 처지로 내몰렸다.1993년 미국의 대형 슈퍼마켓을 벤치마킹해 설립된 이마트는 철저한 현지화로 성장가도를 달렸다. 어두운 창고와 같은 매장을 백화점처럼 밝게 꾸미고 사람의 눈높이에 맞게 상품을 진열해 구매 욕구를 높였다.이마트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이마트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이마트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의지 표명하며 전략 목표 수립... 2023년 부채 9조6655억 원으로 부채율 90% 기록이마트의 지속가능경영 비전은 ‘emart tomorrow’로 ESG 슬로건은 ‘지구의 내일을 우리가 함께’로 정했다. ESG 중점 분야는 △환경 경영 △지속가능상품 △동반 성장 △사회 책임으로 밝혔다. 홈페이지에 ESG 경영 헌장은 부재했다.ESG 중점 분야 각각의 전략 목표는 △2050 Net Zero (2030 32.8% 감축) △2030 플라스틱 50% 감축 △건강상품 인증상품 보장 (2030 매출 비중 5%) △밸류체인 전반의 ESG 경영 △대내/외 사회적 책임경영 체계 고도화로 정했다.2024년 이마트는 기존의 친환경 브랜드인 ‘이마트 투머로우(emart tomorrow)’에 3가지 주요 가치인 △Curate △Humanize △Innovate를 추가해 ESG 브랜드로 론칭했다.ESG 경
-
▲ 영국 정부 산하 에너지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2024년 10월1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은 정부가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규제 철폐,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습한 기후로 농작물 수확량의 김소 등이 전망된다.프랑스는 국내 정치적 불안에도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주요 제약회사의 해외 매각 소식 등으로 정부의 우려가 커진다는 소식이 전해졌다.아일랜드는 영국 거대 유통업체와 국내에서 제품 소싱을 확대하면서 혜택을 받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다. 유통업체의 상생노력 일환이라고 보여진다.◇ 영국 오프젬(Ofgem), 신재생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각종 규제를 철폐할 계획영국 정부 산하 에너지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에 따르면 신재생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각종 규제를 철폐할 계획이다. 에너지산업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일자리를 늘리기 위함이다.지난 40여 년 동안 새로운 저장용량을 세우는 것을 금지했다. 대규모 에너지 저장장치를 개발하면 저장장치에 필요한 비용을 줄여주고 전기요금을 낮출수 있다.대규모 저장장치에 재생에너지를 저정해 전력망에 연결해 전기가 필요가 가정에 보내면 된다. 운영 비용은 낮지만 초기에 필요한 높은 투자비를 해결해야 한다.2025년부터 2050년까지 20기가와트(GW)의 저장장치를 건설하면 £24억 파운을 절감할 수 있다. 정부는 2050년까지 총 11.5GW에서 15.3GW의 저장장치를 확보할 방침이다.스페인 에너지업체인 이베르드롤라(Iberdrola)는 2028년까지 영국에 £240억 파운드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레브드롤라가 지난 15년 동안 연간 투자한 금액의 3배에 해당된다.이베르드롤라는 스코티시 전력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번 투자로 영국에서 수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제로탄소 전력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덴마크 오스테드(Ørsted)는 그
-
2018-07-23영국 유통대기업 테스코(Tesco)에 따르면 2018년 9월 새로운 개념의 할인점을 오픈할 계획이다. 새로 오픈할 슈퍼마켓은 최대 60개에 달한다.현재 오픈을 시작할 지역은 Immingham, Lincolnshire, and Chatteris, Cambridgeshire 등으로 나타났다. 중간 사이즈의 슈퍼마켓으로 경쟁업체인 알디(Aldi ), 니들(Lidl) 등과 경쟁하기 위한 목적이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식품가격이 상승하자 소비자들이 대형 할인점보다 주변의 소형 수퍼카켓을 찾기 시작하면서 알디(Aldi ), 니들(Lidl)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현재 알디(Aldi ), 니들(Lidl)은 전체 식품시장의 13%를 차지하고 있다. 다른 슈퍼마켓 체인점은 B&M, Wilko, Poundland 등도 소비자를 되찾기 위해 식품의 판매량을 늘리면서 경쟁에 뛰어들었다.▲유통대기업 테스코(Tesco)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할인점 울워스(Woolworths)에 따르면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WA)주에서 음료수가격을 60% 인상이 필요하고 주장했다.WA주정부의 알루미늄 캔 재활용 정책으로 다 마신 음료수 캔을 가져가면 현금으로 돌려주는 캐쉬포캔(cash-for-cans)정책이 추진될 경우이다.이는 뉴사우스웨일즈(NSW)주의 캔 보증금 제도인 리턴투언(Return and Earn)과 유사한 정책이다. 음료수 1캔당 평균 12센트를 환불한다.환경보호를 위한 정책이지만 WA주는 NSW주 보다 경제규모가 훨씬 적기 때문에 유사한 정책을 시행할 경우 울워스는 손해가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울워스(Woolworths)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시장조사기관 로이모건(Roy Morgan)에 따르면 국내 주류시장 A$ 155억달러 중 할인점들에서 일어나는 구매율은 75%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특히 울워스의 주간 평균 주류 판매금액은 전체 대비 50.1%를 차지했다. 2018년 3월말 마감 기준 12개월동안 울워스는 주류소매시장에서의 자사주류 시장점유율을 1.5% 증가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울워스의 최대 수익품목이 주류 매출이라는 점은 우려스러운 것으로 분석된다. 울워스는 자체 소유하고 있는 소매점인 울워스(Woolworths), 댄 머피스(Dan Murphy’s), BWS에서 주류를 판매하고 있다.▲로이모건(Roy Morgan)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할인점 울워스(Woolworths)에 따르면 고객이 육류 및 생선, 해산물 등을 자신이 가져온 용기에 담아 구매하자는 제안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세계적으로 1회용 비닐봉지를 줄이자는 취지에서 이러한 제안이 도입되길 바라는 소비자들이 많다. 하지만 울워스는 책임이 과중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식품 위생안전 및 운영상의 애로 사항이 크며 만약 고객이 아프게 되면 책임소재 파악도 어렵기 때문이다. 친환경그룹(Green groups)은 이러한 방법이 국내에 소개되고 논의된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고 지적한다.영국 및 아일랜드 등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비닐봉지를 최대 85%까지 줄이고 있다. 영국 슈퍼마켓 모리슨(Morrison Supermarkets)은 이를 허용해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소매점이다.▲울워스(Woolworths)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복합대기업 웨스파머스(Wesfarmers)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자회사 타겟(Target)의 할인점 사업을 20% 감축할 계획이다. 매장 크기나 숫자를 줄이는 방법을 동원한다. 타겟의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비용축소로 이를 극복해나갈 예정이다. 멜버른 근교의 하이포인트(Highpoint) 타겟 매장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다른 매장도 줄여 나갈 계획이다. 매장이 폐쇄되는 타겟 직원은 웨스파머스의 다른 자회사인 케이마트(Kmart), 오피스워크스(Officeworks) 등으로 이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타겟(Target)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할인점 케이마트(Kmart)에 따르면 저가 제품에 대한 품질문제로 고심 중이다. 저가상품은 부서지기도 쉬워 쓰레기로 버려지는 사례가 많아 환경문제로까지 부각되고 있다.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 지역에서만 버려지는 커피 테이블이 연간 340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불법 투기나 직접 부신 후 버리를 양은 포함되지 않았다.이러한 현상은 다른 할인점인 월워스, 타겟 등도 마찬가지로 저가 저품질 제품이 난립하고 있어 정부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할인점 케이마트(Kmart) 로고
-
뉴질랜드 할인점 뉴월드(New World)에 따르면 2017년 9월 14일~10월 8일까지 고객의 1회용 비닐봉지 사용에 대해 투표를 실시할 계획이다. 유료로 판매할지 무료로 그냥 제공할지를 결정하는 투표이다.유료일 경우 각 봉지당 5센트~10센트의 수수료를 고객에게 부과한다. 유료로 결정되면 그 수익금은 전국 수로 주변의 쓰레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계획이다.1회용 비닐봉지 사용을 줄여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인데 10월 10일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뉴월드는 전국에 걸쳐 14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뉴월드(New World)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