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해운 산업"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8▲ 제9차 한국조선해양산업 CEO 포럼 행사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출처=서울대학교 공과대학]서울대(총장 유홍림)에 따르면 2025넌 4월26일(토)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캠퍼스에서 서울대 로이드선급기금 연구센터와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주관한 ‘제9차 한국조선해양산업 CEO 포럼’이 개최됐다.이번 포럼은 현재 초미의 관심사인 미국의 조선·해운 정책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추진하는 한미 조선협력이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그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2021년 발족해 올해 5년 차를 맞은 한국조선해양산업 CEO 포럼은 국내 조선해양산업계 기업 및 기관들의 상호 협력 및 소통을 강화하고자 산업체의 전·현직 대표이사들이 참석해 업계 주요 현안과 향후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포럼이다.현재 가삼현 HD한국조선해양 전임 부회장이 의장을, 김용환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가 간사를 맡고 있다.이날 포럼에는 이상균 HD현대중공업 사장(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장), 김희철 한화오션 사장, 닉 브라운(Nick Brown) 영국 로이드선급 총괄 CEO 등 25명의 전·현직 산업체 대표이사와 이승렬 산업부 정책실장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 김영오 서울대 공대 학장 및 관련 전문가 등 약 40명이 참석했다.시시각각 변화를 거듭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 정책에 대응해 한국이 국내 산업의 대표로 제시한 협상 카드가 조선업이다.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해운정책 기조 전환이 전 세계 해운시장에 큰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번 포럼에서는 업계의 현 상황과 국내 산업체의 대응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기조 토론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이번에 발표된 미국 무역대표부의 해운정책이 실질적으로 중국의 조선업을 크게 위축시킬 정도가 아니라는 점을 지적했다. 지나친 기대나 우려보다는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했다.또한 이번 포럼에서는 조선·해운 기업 간의
-
2014-05-05SM그룹(이하 SM)은 창업주 우오현 회장이 1988년 설립한 삼라건설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지속적인 M&A를 통해 제조, 유통, 물류, 투자, 증권, IT, 광산업, 전기업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했다.덩치를 키우는 데는 성공했지만 명확한 주력사업이 보이지 않고, 중복사업이 너무 많아 시너지가 나지 않고 있다. 지난해부터 M&A를 자제하고 무차입 경영을 하겠다고 선언했으나, 글로벌 경기침체의 여파로 건설업 및 레미콘 사업, 해운업, 증권, 투자업 등이 침체되면서 동반 부실에 빠질 위험이 높아 지고 있다. ◇ SM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SM은 국내34개, 해외1개, 총35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지주/투자, 제조/유통/물류, 건설/건설자재, IT/전기/기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SM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지주/투자부문 계열사는 에스엠홀딩스, 삼라홀딩스, 케이엘홀딩스, 케이엘홀딩스이호 등이다. 에스엠홀딩스는 2002년 서통의 전지사업부분을 분할해 벡셀을 설립하고 기존 법인의 상호를 변경한 회사다. 주요사업은 투자 및 경영컨설팅이다. 삼라홀딩스, 케이엘홀딩스 등은 지주회사이지만 특별한 사업이 없다.제조/유통/물류 계열은 남선알미늄, 티케이케미칼, 경남모직, 조양, 벡셀, 케이티세라믹, 서림하이팩, 대한해운, 경남티앤디, 삼라네트웍스, 산본역사 등이다. 남선알미늄은 1947년 설립한 남선경금속공업사를 모태로 하고 있으며, 1973년 남선경금속공업을 거쳐 1990년 현재의 상호가 됐다.2007년 삼라가 최대주주가 되면서SM계열사가 됐다. 주요사업은 알루미늄 새시 등 알루미늄제품,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다.티케이케미칼은 2007년 설립했으며, 화학섬유 및 칩 등을 제조/판매한다. 대한해운은 1968년 설립한 코리아라인에서 출발했으며, 1981년 현재 상호가 됐다. 주요사업은 포스코,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의 전용선, 벌크선 등 해상화물 운송업으로 2
-
2014-02-17세방그룹(이하 세방)은 창업주 이의순 회장이 1965년 설립한 세방기업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세방㈜의 항만하역의 물류사업과 세방전지의 축전지 사업을 중심으로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세방전지는 로케트 배터리로 대중에 알려져 있으며, 매출액 기준 세계 5위의 업체로 향후 3~4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창업 2세인 이상웅 회장은 2000년 사장, 2008년 부회장을 거쳐 지난해 회장으로 승진하면서 2세 승계를 마무리 지었다. 세방은 종합물류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최근 발생한 군납비리 혐의 조사, 외화 밀반출 및 탈세의혹, 내부거래를 통한 일감 몰아주기 혐의 등으로 논란을 초래하고 있다. ◇ 세방그룹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세방은 국내에 20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제조, 물류/서비스, 인프라/운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세방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제조 계열부문 계열사에는 세방전지, 세방산업 등이 있다. 세방전지는 1952년에 설립한 재단법인 해군기술연구소를 모태로 하고 있으며, 1961년 진해전지공업소로 개칭했다. 이후 1966년 진해전지로 법인전환하고, 1975년 일본 YUASA전지(현GS Yuasa International Ltd.)와 기술 및 자본 제휴해 1976년 외국인 투자기업으로 등록했다.1978년 세방에 인수되면서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1988년 독일 HAGEN사, 1992년 프랑스 SAFT사와 기술을 제휴했다. 주요사업은 차량용, 산업용, 이륜용 축전지 제조∙판매업으로 축전지 제조 전문회사이다.세방산업은 1969년 설립한 상진산업사로 출발했으며, 1971년 상진산업㈜로 법인 전환했다. 1978년 세방에 인수되었으며, 1994년 현재의 상호가 됐다. 주요사업은 산업 및 차량용 축전지의 부속품, 사출성형품 등을 제조∙판매하는 축전지 제조업체로 1992년 독일의 HAGAN Battery AG와 기술을 제휴했다. 기업의 매출규모·이익 등을 고려해 세방전지,
-
2013-08-05여수광양항만공사(이하 항만공사)의 모체는 1990년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법에 의거해 설립된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이다.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은 1997년 해운산업공단을 인수했고, 2005년 광양으로 본사를 옮겼다. 초기에는 전국 10여 개 항만을 관할했지만, 2004년 부산항, 2006년 인천항, 2007년 울산항 등이 별도의 법인으로 독립했다.2011년 여수항과 광양항을 관할하는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설립되어 과거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의 남은 임무를 이전 받았다. 항만공사의 윤리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언론보도, 그린경제 DB, 국가정보전략연구소 DB, 국정감사, 감사원 자료 등을 참조했다. 항만공사의 윤리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8-Flag Model’을 적용해 보자. ◇ 막대한 부채를 해결할 수 있는 경영진 선임 요구돼◆ Leadership(리더십, 오너/임직원의 의지)항만공사의 미션(mission)은 항만개발∙관리∙운영의 전문성 및 효율성 제고, 경쟁력 있는 해운물류중심기지로 여수광양항육성, 국민경제발전에 이바지 등이다. 한국컨테이너공단의 미션까지 포함하고 있다. 비전은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종합항만’이고, 핵심가치는 고객지향(Customer), 도전의식(Challenge), 변화선도(Change), 상생협력(Cooperation) 등이다.2020 경영목표는 총화물 물동량 3억 3천만 RT, 항만운영수입 1,700억 원, 고객만족도 최우수기관, 부채비율 30%달성이다.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4대 전략목표와 12대 전략과제도 선정했다. 4대 전략목표는 글로벌항만 경쟁력 강화, 항만운영 고도화, 상생협력강화, 지속가능경영체계확립이다.글로벌 항만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배후단지 활성화, 국내외 마케팅강화, 미래사업 기반 구축을 전략과제로 삼았다. 항만운영 고도화의 전략과제는 친환경 GreenPort구현, 항만운영효율성 제고, 항만안전성 제고 등이다.상
-
한진이 종합물류기업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지속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문화를 잘 정돈하고 관리해야 한다. 한진은 간판기업인 대한항공이 선전을 하고 있지만 막대한 부채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진해운의 계열분리움직임으로 종합물류기업의 한 축을 잃어버릴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한진의 기업문화를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기업문화 측정과 혁신도구인‘SWEAT Model’에 적용해 5-DNA 10-Element의 성취도, 기업문화 위험관리, 혁신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해 보자. ◇ 5-DNA 10-Element의 성취도 분석▲ [그림 12-1. 5-DNA 10-Element 분석]한진의 기업문화를 SWEAT Model의 5-DNA 10-Element를 점수로 평가해 보면 [그림 12-1]과 같다. 한진이 기업문화를 혁신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비전(vision)의 정립이다.‘세계 최상의 물류기업’의 목표(goal)는 무난하지만 달성가능한지 여부도 고민해야 한다. 글로벌 물류시장은 막강한 빅(Big) 4가 장악하고&n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항공, 해상운송 수요가 크게 줄어 들면서 한진의 실적이 악화되고 있다. 운송수요는 줄어들었지만 신규 항공기도입 등 대규모 투자는 계획대로 추진하면서 차입이 증가했다.유가가 급등하면서 비용은 급격하게 늘어났지만 운송단가가 현실화되지 못하면서 영업손실도 급증했다.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한진은 사업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진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3번째 DNA인 성과(Performance)을 이익(profit)과 위험(risk)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사업이 레드오션에 처해 있어 성과내기 어려워물류사업 자체가 블루 오션(blue ocean)이지만, 한진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국내는 경쟁이 치열하고 이익이 열악한 레드 오션(red ocean)이라고 평가 받는다. 사업성과를 전반적으로 평가하면 매출이나 이익 신장률은 낮아지고 위험지수는 높아지고 있다.물류산업이 서비스사업이기는 하지만 최소한의 경쟁력을 
-
STX의 강덕수 회장은 ‘꿈과 미래가 있는 기업’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대외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그룹은 ‘꿈을 찾아서 세계로’ World Best STX를 실현하고 있다는 슬로건을 내 걸고 있다. 신생 그룹답게 꿈과 미래를 모토로 내 세우고 있는 것이다.신생기업이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강덕수 회장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희망적인 단어를 표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STX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1번째 DNA인 비전(Vision)을 목표(goal)와 책임(responsibility)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첫 번째 목표인 조선/해양 수직계열화는 완료선박용 디젤엔진을 생산하던 쌍용중공업을 인수한 강덕수 회장은 지명도가 낮고, 특별한 노하우를 갖고 있지 못해 판로개척을 고민하게 되었다.선박용 디젤엔진은 현대중공업, 두산엔진, 삼성중공업 등이 제조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자사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