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향신료"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24▲ ㈜오뚜기, ‘향신료, 인류사를 수놓은 맛과 향의 프리즘’ 출간 [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회장 함영준, 대표이사 사장 황성만)에 따르면 ‘향신료, 인류사를 수놓은 맛과 향의 프리즘’ 을 출간했다. 이번 도서는 식품과학자이자 오뚜기 식문화원의 김현위 원장이 집필한 책이다.인류의 입맛을 자극하고 문명을 뒤흔든 향신료의 세계를 과학, 역사, 인문학의 시선으로 폭넓게 탐구한다. 오뚜기가 더 풍요롭고 건강한 식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기획한 ‘오아카이브’ 시리즈의 첫 도서다.일상의 식재료와 음식, 그리고 그 속에 담긴 다양한 문화와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는 의지를 담았다. 책은 단순한 요리 안내서가 아니라 향신료의 기원, 기능적 특성, 문화적 의미를 입체적으로 다루는 식문화 인문서다.37종의 단일 향신료와 30종의 혼합 향신료(마살라, 오향분, 하리사 등)를 소개하며 각국의 음식문화와 결합되어 향신료가 빚어내는 다채로운 조화와 미각의 확장을 탐구한다.특히 오뚜기 역사 출발점인 카레의 기초가 되는 향신료 하나하나에 담긴 풍미와 이야기는 물론 그 정의와 역사, 한국 향신료 이야기, 음식과의 궁합, 조리과학, 건강 효능, 생산과 소비의 흐름까지 촘촘하게 살펴본다.이를 통해 향신료들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지침서가 되어주며 우리 식탁과 일상에 스며든 향신료의 깊이 있는 매력과 역할을 새롭게 발견하는 인문학적 통찰을 전한다.더 나아가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한 시대의 문화와 생활상을 비추는 거울이자, 인류 문명을 이해하는 열쇠임을 깨닫게 한다.오뚜기 관계자는 "앞으로도 오아카이브 시리즈를 통해 다양한 음식의 세계와 식문화를 다룬 책을 출간함으로써 음식을 연구하는 분들, 음식 문화에 관심 있는 분들, 그리고 음식을 즐기는 모든 분들이 참고할 수 있는 식문화 아카이브를 구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 ㈜오뚜기, 찍어먹는 후추 ‘페퍼팝 3종’ 출시[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 시장 점유율 1위(드림리테일 기준) 제품인 ‘순후추’ 의 풍부한 알싸함에 3가지 맛을 더해 찍어먹을 수 있는 '페퍼팝 3종' 을 선보인다.해당 제품은 ‘페퍼팝 오리지널’, ‘페퍼팝 카레맛’, ‘페퍼팝 마라맛’ 등 총 3종으로 구성됐다. 제품명인 ‘페퍼팝’ 은 알싸한 후추(Pepper)의 매운맛에 더해진 다양한 플레이버가 입속에서 터지는 새롭고 이색적인 즐거움을 표현했다.페퍼팝 오리지널은 톡 쏘는 순후추에 풍성한 감칠맛을 더해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류요리와 크림요리 등과 어울린다.페퍼팝 카레맛은 순후추에 부드럽고 향긋한 카레가 조화를 이뤄 양고기, 해산물 등 특유의 잡내가 있는 재료를 요리할 때 탁월하다.페퍼팝 마라맛은 마라 특유의 알싸한 매콤함이 더해진 제품으로 떡볶이, 중화풍요리 등 매운맛 요리에 활용하기 좋다.오뚜기는 이번 제품을 위해 액상 입자 코팅 기술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후추 입자에 적정량의 향신료와 조미액을 균일하게 코팅해 후추 개별 입자들의 맛과 향을 극대화했다.▲ ㈜오뚜기, 찍어먹는 후추 페퍼팝 3종[출처=오뚜기]기존 복합 향신료와는 다르게 각각의 향신료 특유의 맛과 향을 보다 프레시하게 맛볼 수 있다. 후추의 알싸함과 어우러지는 서로 다른 3 가지 맛의 페퍼팝을 뿌려 먹고, 찍어 먹는 것으로 요리를 더욱 특별하게 즐길 수 있다.한편 오뚜기는 자사 제품 ‘순후추’ 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여왔다. 순후추 떡볶이, 얼큰순후추돼지국밥, 순후추 교자를 비롯해 순후추팝콘등을 출시한 바 있다.오뚜기 관계자는 “다양한 식문화가 선호되며 다채로운 맛과 풍미를 더해주는 향신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아졌다” 며 “오뚜기만의 노하우로 완성된 페퍼팝 3종을 통해 색다른 미각을 경험해
-
인도 소비재기업인 힌두스탄 유니레버(HUL)에 따르면 향신료 생산 및 판매기업인 MDH(Mahashian Di Hatti)의 주식을 다량 구매하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전국적인 입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힌두스탄 유니레버가 향신료 사업에 진출할 경우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국내 향신료 시장 규모는 2025년 5000억루피로 현재의 2배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마다 다른 요리법과 소비자 선호로 인해 지방 기업들이 유리한 편이다. 힌두스탄 유니레버의 2021 회계연도 순 판매는 119억1000만루피로 영업이익은 50억7000만루피로 조사됐다.MDH는 향신료 60가지 이상을 판매하며 1일 30톤을 생산한다. ▲MDH(Mahashian Di Hatti) 로고
-
2016-12-15일본 식료품업체 S&B식품(エスビー食品)에 따르면 2016년 12월 계약농가를 통해 향신료 ‘고수’의 생산을 확대할 방침이다.최근 고수를 활용한 태국음식점의 인지도가 확대됐으며 풍부한 영양소를 포함한 것 등을 통해 인기를 끌면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참고로 2016년 생산량은 100톤으로 전년 대비 2% 증가했다. 2017년에는 2배 확대한 200톤, 향후 2020년에는 300~400톤의 공급체제를 목표로 수립했다.▲고수 이미지(출처 : S&B식품)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