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2025년 1분기"으로 검색하여,
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KB금융그룹 전경[출처=KB금융그룹]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에 따르면 2025년 4월24일(목)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2025년 1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KB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6973억 원, ROE는 13.04%를 기록했다.이자수익 감소에도 2024년 1분기 은행의 ELS 손실 보상 관련 충당부채 전입의 기저효과가 소멸되고 그룹의 강점인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비은행 계열사의 이익이 전반적으로 확대되며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KB금융 재무담당 나상록 상무는2025년 1분기 경영 실적에 대해 “시장금리 하락 영향으로 이자수익이 감소했지만 핵심예금 유입이 확대되면서 이자이익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며 “비우호적인 영업 환경에서도 은행과 비은행 계열사간 상호보완적인 실적을 시현하면서 그룹 이익에서 비은행 부문 비중이 42%까지 증가했다”고 말했다.한편 실적 발표에 앞서 개최된 이사회에서는 주당 912원의 현금배당과 3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했다. 2024년 10월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공시에 대한 이행 현황도 전자공시를 통해 공개했다.이행 현황 내용에는 주주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밸류업 이행 노력으로 주당 가치, 시가총액 등이 꾸준히 상승 중이다.자본 비율과 수익성 관리, 지속적인 지배구조 개선 및 ESG·IR 활동 등을 통해 ‘시장 모범 기업’으로서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비전도 포함돼 있다.또한 이날 발표된 주요 경영지표 가운데 비용효율성 지표인 그룹 CIR(Cost-to-Income Ratio)은 견조한 핵심 이익 성장과 그룹 차원의 지속적인 비용 합리화 노력으로 역대 최저 수준인 35.3%를 기록하며 뚜렷한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였다.1분기 말 기준 그룹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BIS자기자본비율은 효율적인 자본 할당 및 안정적인 위험가중자산 관리에 힘입어 각각 13.67%, 16.57%를 기록하며 자본 적정성 또한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1분기 그룹 ROA, ROE는 각각 0.90%, 13.04%로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 자본효율성 등이 완연히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KB금융은 "사회적 가치 밸류업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따뜻한 금융을 실천하고 있다. KB금융은 금융·비금융 부문에서 ESG 경영활동이 환경과 사회 등에 미치는 영향을 화폐가치로 산출해 고객, 주주 및 투자자, 지역사회 등과 소통하고 있는데 이번 1분기에는 ‘돌봄’과 ‘상생’을 핵심 축으로 총 7848억 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
▲ 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과 인천항 카페리 선사 관계자들이 간담회를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4월23일(수) 공사 사옥(인천광역시 연수구 센트럴로 263)에서 카페리 선사 8개사와 공동으로 인천항 카페리 물동량 증대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인천항만공사는 2025년 1분기 내수경기 침체 및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현실화한 인천항의 물동량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현장 중심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2025년 1분기 인청항 물동량은 80만2722TEU로 2024년 87만56TEU 대비 7.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간담회는 4월14일 개최된 인천항만공사-컨테이너터미널 대표자 간담회에 이은 두 번째 현장 간담회이자 공사가 올해 초 구성한 ‘인천항 수출입 물류 활성화 티에프(TF)’ 활동의 일환이다.간담회에는 인천항만공사와 인천항 카페리 선사 관계자 등 15여 명이 참석했다. 2025년 1분기 선사별 물동량 처리 현황과 물류현장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카페리 화물 기반 물동량 회복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인천항만공사, 카페리 선사와 손잡고 인천항 물동량 창출 간담회(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과 인천항 카페리 선사 관계자들)[출처=인천항만공사]특히 공사는 △임원 주도 인천항 비상대응체계 구축 △선사・화주・화물 운송 주선인 대상 일대일(1:1) 마케팅 △중고차, 전자상거래, 씨앤에어(Sea&Air) 및 씨앤레일(Sea&Rail) 등 특화화물 집중 유치 △인천~단둥(丹东, Dandong) 재개항로 조기 활성화 등 카페리 물동량 증대를 위한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씨앤에어(Sea&Air) 및 씨앤레일(Sea&Rail)은 해상운송과 항공 또는 철도운송을 결합해 해상의 경제성, 항공의 신속성, 철도의 정시성 등 각 운송수단의 장점을 살린 복합운송방식을 말한다.간담회 이후 참석자들은 로지스밸리 물류센터 등 인천항 전자상거래 특화구역을 방문해, 카페리 노선과 배후단지 시설 간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 전자상거래 물동량 확대를 위한 협력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은 “오늘 회의에서 논의된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물류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물동량 증대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카페리 선사를 포함한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물동량 창출에 적극 나설 것이다”고 강조했다.
-
▲ 현대자동차그룹 양재 사옥 전경[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4월24일(목)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을 실시하고,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2025년 1분기 △도매 판매 100만1120대, IFRS 연결 기준 △매출액 44조4078억 원(자동차 34조7181억 원, 금융 및 기타 9조6897억 원) △영업이익 3조6336억 원 △경상이익 4조4646억 원 △당기순이익 3조3822억 원(비지배지분 포함)을 기록했다.현대차의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판매 대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서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을 통해 8.2%를 기록했다.현대차는 매크로(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신흥 시장 판매 감소에도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비중 확대 추세로 질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100만1120대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현대차는 2025년 1분기(1~3월) 글로벌 시장에서 100만112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6% 감소한 수치다. 도매 판매를 기준으로 했다.국내 시장에서는 2024년 신차 양산 대응을 위한 아산공장 셧다운 기저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16만6360대가 판매됐다.해외에서는 미국 판매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한 24만2729대를 기록했다. 전체 해외 판매는 대외 환경 악화로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83만4760대로 집계됐다.2025년 1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대수(상용 포함)는 전기자동차(EV) 판매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8.4% 증가한 21만2426대를 기록했다. 이 중 EV는 6만4091대, 하이브리드는 13만7075대로 집계됐다.2025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9.2% 증가한 44조4078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1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이다.현대차는 북미 시장의 판매 호조와 함께 우호적인 환율 등에 힘입어 매출 상승세를 이어 나갔다. 2025년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9.4% 오른 1453원을 나타냈다.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 상승한 79.8%를 기록했다. 판매 관리비는 마케팅 관련 비용 및 연구비 증가 등으로 늘었으나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 동기와 동등한 12.0%를 나타냈다.이 결과 2025년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2.1% 증가한 3조6336억 원, 영업이익률은 8.2%로 집계됐다. 우호적인 환율 환경과 하이브리드 판매 확대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했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조4646억원, 3조3822억원을 기록했다.◇ 향후 전망 및 계획...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 등이 리스크 요인현대차는 관세 등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 등이 경영 활동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국가 간 무역 갈등 심화 등 여러 대외 변수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현대차는 이러한 경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디 올 뉴 팰리세이드’,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 6’ 등 신차 판매를 적극 추진하는 동시에 각 시장별 현지화 전략 고도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책을 적극 실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특히 현대차는 최근 복합적인 대내외 경영 리스크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근본적인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감한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마지막으로 현대차는 2024년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기초해 2025년 1분기 보통주 배당금을 전년 동기(2000원) 대비 25% 증가한 주당 2500원으로 책정했다.아울러 현대차는 2023년 발표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의거해 ‘발행주식 1퍼센트(%) 소각’과 2024년 실시한 주주가치 제고 목적 매입 ‘자기주식 소각’을 동시에 실시하는 주주환원 방안을 발표했다.현대차는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기존에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의 충실한 이행을 지속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 프랑스의 명품 업체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매장 전경 [출처=홈페이지]2025년 4월15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정부는 클린 에너지 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지만 다양한 규제로 투자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한다.프랑스의 명품업체의 매출액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다. 미국발 관세 전쟁과 더불어 명품 소비가 붕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명품이 불황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명제도 무너지고 있다.아일랜드의 제약산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부는 안심하기에 이르다고 판단한다. 미국으로 수출이 급증했지만 관세 전쟁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영국 오프젬(Ofgem), 국가에너지시스템 운영자의 전력망 연결을 개혁하기 위한 조치를 발표할 예정영국 전기·가스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에 따르면 국가에너지시스템 운영자의 전력망 연결을 개혁하기 위한 조치를 발표할 예정이다.현재 데이터센터와 같은 클린 에너지와 관련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 투자액만 £437억 파운드에 달하지만 전력망 연결이 어려운 상태다.일부 기업은 투자를 단행하기 위해 15년 이상을 기다리고 있으며 지난 5년 동안 전력망 연결 대기 시간이 10배나 늘어났다. 규제가 완하되면 관련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2025년 1분기 미국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프랑스의 명품 업체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2025년 1분기 미국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했다고 밝혔다.명품 관련 소비 패턴이 붕괴되고 있을 뿐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으로 전체 소비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케어링의 회장 겸 CEO인 프랑소아 앙리 피노(François-Henri Pinault)는 2025년 4월11일 법원으로부터 2017년과 2018년 자신에게 부과된 세금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에서 패소했다.그는 영국 런던에서 거주하며 세금은 영국에서 냈기 때문에 프랑스에서 다시 부과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원은 케어링의 본사가 프랑스에 있다는 이유로 거부했다. 관련 세금은 € 1156만 유로에 달한다. ◇ 아일랜드 중앙통계청(CSO), 2025년 2월 제약 산업의 수출 전년 동월 대비 146% 급증아일랜드 중앙통계청(CSO)에 따르면 2025년 2월 제약 산업의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46% 급증했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3.2%에 달했다.2월 미국으로 의약품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10.5% 확대됐다. 2월 수출액은 € 129억 유로로 전년 동월 42억 유로에 비해 대폭 상승했다. 2월 전체 수출액은 255억 유로로 전월 대비 7억90만 유로, 2.8% 늘어났다.반면에 2월 계절조정 수입액은 126억 유로로 전월 대비 16억2000만 유로, 14.8% 확대됐다. 제약산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지만 미국발 관세 전쟁의 여파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
▲ 대한항공 로고[출처=대한항공]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2025년 4월11일(금) 발표한 2025년 1분기 잠적 매출은 3조955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상승했다. 불확실한 사업환경에도 불구하고 여객 및 화물 부문의 적극적인 수요 유치 노력 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1분기 영업이익은 신규 항공기 도입에 따른 감가상각비 및 정비비 증가, 환율 상승에 따른 조업단가 인상 등에 따라 영업비용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다.특히 영업비용 증가는 팬데믹 기간 지연됐던 신규 항공기의 도입의 영향으로 중·장기적 공급 확대 및 서비스 고급화를 위한 투자 비용의 일환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서비스를 개선해 수익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2025년 1분기 여객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2조4355억 원을 기록했다. 전반적인 항공시장 공급 증가에 따른 경쟁심화 및 대내외적 불확실성에도 연초 설 명절 및 3월 연휴 효과 등 견조한 여행 수요 지속으로 매출 및 수송 전년 대비 증가했다.1분기 화물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1조540억 원을 기록했다. 미 정부의 관세 정책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출하 증가 및 한국발 신선화물 등 수요가 견조하게 지속됐다. 아울러 유연한 공급 조정 및 고정 수요 확보 등 노력을 통해 수익을 제고했다.2분기 여객사업은 5월초 연휴를 필두로 여객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한국발 동남아, 중국, 일본 노선의 수요를 바탕으로 실적 확대가 기대된다.이를 위해 신규 취항지 발굴 및 부정기 운영 등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화물 사업은 미국 관세 부과 정책에 따른 항공화물 변동성 추이를 면밀히 분석해 모니터링 및 적시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
2025-04-08▲ 삼성전자 본사 전경[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잠정 실적으로 연결기준 매출 79조 원, 영업이익 6.6조 원의 발표했다.1분기 실적의 경우 전기 대비 매출은 4.24%, 영업이익은 1.69% 증가했고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84% 증가, 영업이익은 0.15% 감소했다.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삼성전자는 2009년 7월부터 국내 기업 최초로 분기 실적 예상치를 제공하고 2010년 IFRS를 先적용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에 입각한 정보 제공을 통해 투자자들이 보다 정확한 실적 예측과 기업가치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주가치를 제고해왔다.한편 삼성전자는 투자자들과 소통 강화 및 이해 제고 차원에서 경영 현황 등에 대한 문의사항을 사전에 접수해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주주들의 관심도가 높은 사안에 대해 답변을 진행할 예정이다.
-
▲ 아르헨티나 중소기업협회(CAME) 빌딩 [출처=홈페이지]2025년 4월7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를 포함한다. 미국에서 비트코인 투자에 올인했던 스트래티지(Strategy)의 2025년 1분기 실적이 매우 저조한 수준을 기록했다.캐나다는 2024년 기록적인 기상이변으로 보험회사의 손실이 커졌기 때문에 2025년 주택보험료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아르헨티나는 여름 시즌이 끝나가면서 2025년 3월 소매판매액이 전년 동월 대비 대폭 증가했다. 하지만 2024년 3월 감소폭이 너무 컸기 때문에 손실을 상쇄하지는 못했다.◇ 미국 스트래티지(Strategy), 2025년 1분기 순이익 US$ 59억1000만 달러의 손실 기록미국 소프트웨어 기업인 스트래티지(Strategy)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순이익은 US$ 59억10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디지털 자산에서 큰 손해를 봤기 때문이다.2025년 3월31일 기준 스트래트지는 82억2000만 달러의 부채를 안고 있다. 연간 이자비용만 3510만 달러에 달할 정도로 부담이 큰 편이다.2025년 4월6일 기준 스트래티지는 52만8185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전체 구입가격은 356억3000만 달러에 달한다. 4월6일 마감 주일에는 비트코인을 추가로 구입하지 않았다. ◇ 캐나다 마이 초이스 파이낸셜(My Choice Financial), 2025년 주택 보험요금 5.2% 상승캐나다 보험사이트인 마이 초이스 파이낸셜(My Choice Financial)은 2025년 주택 보험요금은 5.28퍼센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플레이션보다 더 높은 수치다.2024년 주택 보험요금 인상율은 7.66%를 기록했다. 2024년 여름 분기에만 보험 사의 손실은 70억 달러에 달해 요금 인상이 불가피했다.캐나다 보험위원회에 따르면 2024년 보험회사의 손실액은 85억 달러에 달했다. 2023년에 비해 3배나 많은 금액이며 2001년부터 2010년까지와 비교하면 12배나 증가했다.◇ 아르헨티나 중소기업협회(CAME), 2025년 3월 중소기업의 소매판매액 전년 동월 대비 10.5% 상승아르헨티나 중소기업협회(CAME)는 2025년 3월 중소기업의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10.5% 상승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2024년 3월 소매 판매액이 급락한 것을 상쇄하지는 못했다.3월 소매판매액은 2월에 비해서도 0.1% 증가했다. 2025년 1분기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4% 확대됐다. 여름 시즌의 끝이라서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소매업체들은 프로모션, 무이자 판매, 할인 등의 수단을 동원해 매출액을 끌어올렸다. 가장 많이 증가한 품목은 화장품(+23.6%), 의약품(+16.8%), 식음료(+13.7%) 등의 순이었다.
-
2025-03-20▲ 캐나다 라쿠텐 코보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 전자책 구독 서비스를 지원한다[출처=라쿠텐 코보 홈페이지]2025년 3월20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캐나다 라쿠텐 코보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 전자책 구독 서비스를 지원한다.말레이시아 에코 월드 인터네셔날은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동안 순손실 375만 링깃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캐나다 라쿠텐 코보(Rakuten Kobo), 전자책 구독 서비스 코보 플러스(Kobo Plus)를 싱가포르에 론칭캐나다 전자책 및 전자책 리더기 제조업체 라쿠텐 코보(Rakuten Kobo)에 따르면 전자책 구독 서비스 코보 플러스(Kobo Plus)를 싱가포르에 론칭했다.14일 체험기간과 함께 200만 권 상당의 전자책과 30만 권 이상의 오디오북을 1개월 S$ 9.99달러에 즐길 수 있다.실물책 시장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글로벌 전자책 수요는 2030까지 US$ 227억60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보의 대중성을 뒷받침한 것은 오버드라이브(OverDrive)와 리비(Libby) 기기 지원으로 분석된다.라쿠텐 코보는 링지 미디어(Lingzi Media), 포커스 퍼블리싱(Focus Publishing) 등의 국내 출판사와 협력해 현지 문학을 제공할 방침이다.◇ 말레이시아 에코 월드 인터네셔날(EWI),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부동산 판매 부문서 5800만 링깃 달성말레이시아 에코 월드 인터네셔날(Eco World International Bhd, EWI)은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동안 부동산 판매 부문에서 5800만 링깃을 달성했다고 밝혔다.해외 수입은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매출액 0원이다.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순손실은 375만 링깃으로 순이익 18만2000링깃을 기록한 전년 실적과 차이가 있다.매출 부진, 환차익 감소, 파운드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발리모어(Ballymore)와의 합작사업 수익 감소를 근거로 한다. 참고로 EWI은 주로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부동산을 개발한다.
-
▲ 싱가포르 홈큐브(Homeqube Pte. Ltd.)의 홍보 이미지[출처=홈큐브 X(구 트위터)]2025년 1월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스타트업 홈큐브는 2025년 중반에 DIY 주택 건설 키트를 출시한다.중국 배터리 제조업체 JJ(J(Jujiang Power Technology))는 말레이시아 동종업계 FESB의 지분 40%를 4800만 링깃에 인수했다.◇ 싱가포르 홈큐브(HomeQube Pte. Ltd.), 2025년 1분기 필리핀 인공지능(AI) 및 블록체인 기술 접목시킨 주택 1000채 설립 싱가포르 스타트업 홈큐브(HomeQube Pte. Ltd.)는 2025년 1분기 필리핀에 인공지능(AI) 및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킨 주택 1000채를 설립할 계획이다.2025년 중반에는 개인이 직접 자신의 집을 지을 수 있는 키트 "DIY QUBE"를 출시할 예정이다. 홈큐브의 시설은 GFRP(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와 같은 가벼운 소재를 활용한다.이동이 용이한데다가 최대 시속 310킬로미터(km)가 되는 강풍을 견딤으로써 필리핀의 혹독한 날씨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중국 JJ(Jujiang Power Technology Co., Ltd.), 말레이시아 FESB((Fuya Energy Sdn Bhd) 지분 40% 4800만 링깃에 인수중국 배터리 제조업체 JJ(Jujiang Power Technology Co., Ltd.)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FESB(Fuya Energy Sdn Bhd)의 지분 40%를 4800만 링깃에 인수했다. 이로써 JJ는 모회사 AFujiya(ABM Fujiya Bhd)와 합작 투자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JJ는 자동차에 필요한 납축전지를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리튬 배터리 생산을 확대한 바 있다. AFujiya 또한 자동차용·저장용 배터리를 제조한다.2019년 10월 JJ와 AFujiya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2023년 9월 5억 링깃 상당의 국내 배터리 제조시설을 열었다. AFujiya의 2024년 1월~9월 매출액은 1억3170만 링깃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
2024-10-29▲ 파키스탄 사즈갈 엔지니어링(Sazgar Engineering Works Limited) 로고[출처=사즈갈 엔지니어링 홈페이지]2024년 10월29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중앙예탁기관에서 회계연도 2024-25년 2분기 동안 Demat 계좌 1180만 개가 신설됐다.회계연도 2025년 1분기 파키스탄 사즈갈 엔지니어링의 매출은 Rs 263억3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227.3% 증가했다.◇ 인도 중앙예탁기관(CDSL),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순이익 ₹16억2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48.8% 증가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인도 중앙예탁기관(CDSL)의 순이익은 ₹16억2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0억8000만 루피 대비 48.8% 증가했다. 운영수익은 ₹32억2300만 루피로 ₹20억7300만 루피보다 55.5% 증가했다.회계연도 2024-25년 2분기 동안 CDSL에서 1180만 개의 신규 Demat 계좌가 개설됐다. Demat는 전자 계좌로 하여금 투자자가 증권 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한다.◇ 파키스탄 사즈갈 엔지니어링(Sazgar Engineering Works Limited),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순이익 Rs 42억2000만 루피로 전년 대비 540.4% 증가파키스탄 자동차 제조업체 사즈갈 엔지니어링(Sazgar Engineering Works Limited)에 따르면 2024년 9월30일 끝난 분기의 순이익은 Rs 42억2000만 루피를 기록해 전년 동기 6억5854만 루피 대비 540.4% 증가했다.회계연도 2025년 1분기 매출은 Rs 263억3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8억400만 루피에서 227.3% 성장한 실적을 보였다. 총이익은 76억2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404.5% 증가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