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NPL"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6-26▲ 새마을금고자회사 MG신용정보, 경공매 NPL투자설명회 [출처=새마을금고]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에 따르면 2025년 6월26일(목) MG신용정보(대표이사 박준철)가 서울 강남구 새마을금고중앙회 MG홀에서 ‘2025 경·공매 NPL 투자설명회’를 성황리에 마쳤다.이날 행사에는 개인 및 기관 투자자 250여 명이 몰려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설명회 1부는 ‘NPL(Non-Performing Loan)의 기초 이해’ 세션으로 꾸려졌다.『월급쟁이 경매전략』 저자 김태경 교수가 부실채권의 정의와 투자 메커니즘을 알기 쉽게 풀어낸 뒤 최근 부동산 시장 및 경매 동향을 짚고 NPL 투자 시 직면할 수 있는 주요 리스크와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특히 신탁공매 분양, 다가구 전세사기 경매, 투자 물건의 도로판단 등 실무 팁이 풍성해 참석자들의 호응을 이끌었다.2부에서는 MG신용정보가 직접 관리 중인 수도권 경·공매 물건을 소개했다. 물건별 감정가, 현장 실사 사진, 특징·장점, 투자 포인트를 상세히 안내하였다. 또한 행사 전·휴식 시간에 임장 동영상을 상영해 현장감도 높였다.MG신용정보는 이번 설명회 물건 리스트를 공식 유튜브 홈페이지에 공개했으며 후속 투자 상담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무료 1:1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박준철 MG신용정보 대표이사는 “오늘 설명회를 통해 경·공매와 NPL 투자 전반에 대한 확실한 방향성과 실전 인사이트를 얻으셨으리라 생각한다”며 “향후 지방 투자자들을 위해 서울 외 지역에서도 순회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
2025-06-12▲ 새마을금고자회사, MG신용정보 “NPL 투자설명회” 개최 [출처=새마을금고중앙회]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에 따르면 2025년 6월26일(목) MG신용정보(대표이사 박준철)가 서울 강남구 새마을금고중앙회 본부 MG홀에서 기관 및 개인투자자 150명을 대상으로 “2025 경·공매 NPL 투자설명회”를 개최한다.이번 설명회는 부동산 투자자들에게 고수익 투자 대안으로 주목받는 경·공매 및 부실채권(Non Performing Loan, NPL)를 활용한 투자전략 및 수익 창출 노하우를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또한 MG신용정보가 실제 관리하고 있는 다수 경·공매 물건을 세부적으로 공개해 참석한 투자자들에게 실전적인 투자 기회도 동시에 제공할 계획이다.특히 이번 투자설명회에서는 ‘월급쟁이 경매전략’ 저자 김태경 교수를 초빙해 경·공매와 NPL 투자 방법을 일반 투자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특강 시간도 마련했다.조봉묵 AMC사업본부 본부장은 “이번 설명회를 통해 투자자들이 경·공매 및 NPL을 활용해 최적의 투자기회를 잡는 유익한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이번 투자설명회 참석 신청은 MG신용정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
2024-12-11▲ 우리금융그룹 로고[출처=우리금융그룹]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에 따르면 계열사인 우리금융에프앤아이(대표이사 최동수)가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장기신용등급을 A-에서 A0로 한단계 상향됐다.나이스신용평가는 △자체 이익누적 등을 바탕으로 한 우수한 자본적정성 유지 △NPL 시장 내 사업기반 확대 전망 △투자자산 담보가치 고려 시 낮은 부실화 가능성 등으로 신용등급을 상향했다.특히 2022년 설립 첫 해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A-(s) 등급을 부여받았으며 2024년 A-(p) 등급을 획득했다. 2024년에는 실적 및 자본과 유동성의 강점을 인정받아 A0(s)로 등급 상향에 성공했다.설립 3년 만에 신용평가 등급이 상향된 회사는 부실채권(NPL) 전업사 중 우리금융에프앤아이가 유일하다.우리금융에프앤아이의 총자산은 연결기준 2022년말 3361억 원, 2023년말 8777억 원, 2024년 9월 말 1조3802억 원으로 지속 성장세에 있다.영업이익 또한 연결기준 2022년말 11억 원, 2023년말 39억 원, 2024년 9월말 104억 원으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우리금융에프앤아이 최동수 대표는 “국내 1호 민간 배드뱅크로 설립된 우리에프앤아이의 명성을 이어나가겠다. 이번 신용등급 상향은 향후 안정적인 자금 조달과 NPL 투자 명가 재건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4-07-31▲ 방글라데시 파투아칼리구에서 1320MW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진행 모습[출처=RPCL-노린코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31일 서남아시아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경제를 포함한다.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인도석유공사(IOC)의 순이익은 ₹372억3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75% 급감했다.미국 신용평가기간인 S&P 글로벌은 파키스탄의 신용등급을 CCC+으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부채가 많지만 외부 기관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충분히 이끌어냈기 때문이다.방글라데시 루럴 파워(Rural Power Company Ltd)와 중국 국영 방위산업체 북방공업(NORINCO)의 합작사 RPCL-노린코(RNPL)가 파투아칼리구에 석탄화력발전소를 건설했다. 일부분은 2024년 10월부터 상업적으로 활용된다.◇ 인도 GAIL(India)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순이익 RS 318억335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77.5% 증가인도 통신 인프라 기업인 인더스 타워(Indus Towers)는 2025 회계연도 1분기 순이익은 Rs 192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85억3000만 루피 대비 증가했다고 밝혔다. 1분기 매출액은 738억3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2.6% 확대됐다.1분기 영업이익은 454억5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늘어났다. EBITDA 마진율은 61.6%로 전분기 57%에 비해 상승했다. 이사회는 264억 루피 상당의 자사주를 매입해 주가를 부양하기로 결정했다.인도 천연가스 기업인 GAIL(India)에 따르면 2025 회계연도 1분기 순이익은 Rs 318억335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79억2990만 루피 대비 77.5% 증가했다. 가스 배송 규모의 증가, 국내 천연가스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상승, 천연가스 마케팅 마진의 인상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1분기 매출액은 3482억189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284억8780만 루피 대비 소폭 상승했다. 1분기 자본적지출(capex)는 165억9000만 루피로 파이프라
-
영국 금융감독청(FCA)에 따르면 '지금 구매하고 나중 결제' 라는 BNPL(Buy now, pay later) 업체들에 대한 개입 이후 '불공정하고 불분명한 약관' 을 바꾸기로 합의했다. 금융감독청(FCA)은 이러한 변화를 시행하기 위해 소비자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규제 당국은 다른 소비자 신용회사와 동일한 기준으로 해당 업종을 규제할 수 있는 여건이 아직은 다소 부족하다는 점을 인정했다.해당 업체들에게 취소 및 지속적 지불 권한에 대한 계약 조건을 '더욱 충실하고 이해하기 쉽게' 바꾸도록 요구했다. 해당 사항에 합의한 주요 BNPL업체들은 다음과 같다. ▶클리어페이(Clearpay), ▶클라나(Klarna), ▶레이바이(Laybuy), ▶오픈페이(Openpay) 등이다. ▲금융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 로고
-
2022-01-13나이지리아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인 땡큐캐쉬(ThankUCash)에 따르면 2022년 1월 둘째주 시드 라운드에서 US$ 530만달러를 확보했다. 투자금은 캐쉬백, 거래, 무이자 신용카드인 BNPL 서비스 등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집행된다. 땡큐캐쉬의 시드 라운드는 벤처 캐피탈(VC) 기업인 500 Global, Unicorn Growth Capital 등이 공동으로 주도했다.그 외에 투자에 동참한 업체들은 다음과 같다. Expert Dojo, Predictive VC, SaaS Growth Ventures, Betatron Venture Group, Accelerex Holdings 등이다.확보한 자금은 국내의 라고스, 포트 하코트, 아부자 등에서 영업 비용으로 사용하고 국외로는 가나, 케냐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는데 투입할 계획이다. 제품 및 서비스를 개선하고 직원도 추가하길 원한다. 2022년 1월 현재 탱큐캐쉬는 6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기록했다. 1000개 이상의 매장을 플랫폼에 탑재했으며 8000만달러 이상의 거래량을 처리한 것으로 집계됐다. ▲땡큐캐쉬(ThankUCash) 홈페이지
-
영국 소비자단체인 Which?에 따르면 BNPL(Buy Now, Pay Later)에 대해 금융감독원(FCA)이 더욱 강력한 안전장치를 마련해 주길 촉구했다. 쇼핑객 및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BNPL은 '지금 구매하고 나중에 지불' 이라는 일종의 '무이자 신용카드' 이다. 이러한 구조인 BNPL은 많은 사람들이 갚을 능력이 불투명한 상황에서도 빚을 지며 물건을 구매하고 있다는 현실을 간과하기 쉽다.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특히 30대 이하 및 자금 사정이 어려운 사람들 사이에서 BNPL 사용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우려된다. 주요 3대 BNPL 회사로는 클라나(Klarna), 클리어페이(Clearpay), 레이바이(Laybuy) 등이 있다. ▲Which?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