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02
" S"으로 검색하여,
9,0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01▲ IBK기업은행,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출처=IBK 기업은행]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에 따르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과를 담은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이번 보고서는 △기후변화 대응 △중소기업 성장 지원 △리스크 관리 강화 등 이중 중대성 평가 결과 상위에 위치한 이슈의 성과를 메인 테마로 선정했다.이중 중대성 평가는 기업이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외부 요인이 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 ESG 핵심 이슈를 도출하는 방식이다.기업은행은 이번 보고서에서 ‘자연 관련 재무 정보 공개 태스크포스(TNFD) 방법론’을 적용한 기업과 자연 간 상호 영향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자연자본 관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아울러 녹색 여신 전략 수립, 기후 기술 펀드 조성, IBK 소상공인 가치 금융 상생 펀드 조성 등 주요 성과들도 공개했다.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기업은행 홈페이지(www.ibk.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기업은행은 "올해는 ESG 데이터 팩(Data Pack)을 추가 수록해 이해관계자에게 효율적으로 ESG 정보를 전달하고자 노력했다"며 "앞으로도 ESG 핵심 이슈에 대해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2025-07-01▲ 우리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출처=우리금융그룹]우리 금융그룹(회장 임종룡)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GR(Global Reporting Initiative, 지속가능경영 국제 보고 가이드라인 등 글로벌 공시기준에 따라 작성됐다.2025년에는 특히 ISSB(국제 지속 가능성 기준위원회)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에서 요구하는 △거버넌스 △전략 △위험관리 △지표 및 목표 등 4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공시 체계를 고도화했다.우리금융은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 리스크 관리체계 고도화 △ESG 금융 확대 △내부통제 혁신 △ESG 성과 가치의 정량적 측정 등 차별화된 ESG 이슈를 스페셜 리포트(pecial Report)로 구성해 심층적으로 다뤘다.특히 그룹 차원의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기반 탄소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로부터 인증을 획득한 탄소 감축 목표 달성 수치를 최초로 공시해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구체적 이행 성과를 제시했다.이와 함께 생물다양성 보전 관련 거버넌스 체계 및 리스크 정량화 항목도 새롭게 공시해 환경 부문의 공시 범위를 확대했다.인권 경영 분야는 개정된 인권 원칙과 중장기 목표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ESG 임팩트 측정 대상과 추진 방향도 구체화했다.내부통제 혁신 분야는 주요 개선 조치를 타임라인 형식으로 제시해 그룹의 투명성과 신뢰 제고 노력을 강조했다.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그룹 홈페이지(www.woorifg.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우리금융은 △MSCI ESG 평가 2년 연속 ‘AAA’ 최고 등급 획득 △S&P Global이 발표한 DJSI 평가에서 ‘World 지수’ 편입 △블룸버그 ESG 평가 최상위 등급 유지 등 국내외 주요 ESG
-
2025-07-01▲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 [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력회사 탄소발자국 산정 가이드라인 수립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 사업 참여 등 LG에너지솔루션의 다양한 ESG 경영 활동 성과가 담겼다.LG에너지솔루션은 리포트를 통해 탄소 네거티브 전략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협력회사 탄소발자국 산정 가이드라인 수립 등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LG에너지솔루션은 ‘2030년 전 사업장 재생에너지 100%(RE100) 달성’ 목표를 위해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 PPA(Power Purchasing Agreement) 제도를 도입했다.PPA는 기업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부터 전력을 구매하는 장기 계약 방식이다. 이를 통해 오창 에너지플랜트와 폴란드, 인도네시아 등 현재 운영 중인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확산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향후 신설되는 사업장에도 PPA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2024년 2월 ‘협력회사 탄소발자국 산정 가이드라인’을 수립해 배포했다. 가이드라인에는 협력회사들이 EU 배터리 규제에 부합하는 탄소발자국 산정 지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탄소발자국 산정의 목적, 방법론, 보고서 작성법 등을 명시했다.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글로벌 사업을 운영함에 있어 ESG 관련 규제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ESG 규제 환경을 리스크가 아닌 기회로 활용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상생협력 분야에서도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 사업’에 참여해 협력사들의 안전보건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했다.이 외에도 협력사의 정부 지원 프로그램
-
2025-07-01▲ BNK금융그룹, 20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출처=BNK금융그룹]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에 따르면 2025년 6월30일(월) 2024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과 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보고서에는 기후 위기, 저출산, 고령화, 청년 유출 등 복합적인 사회 위기 속에서 그룹의 지속가능경영에 이바지하고 ‘경제 산업 대도약’을 위해 BNK금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BNK금융은 녹색금융을 통해 ‘기술주도 성장’을 이끌고 상생 금융을 통한 ‘모두의 성장, 공정한 성장’을 추구하며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BNK금융은 2012년부터 매년 ESG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2025년 열세 번째 보고서는 EU의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의 ‘이중 중대성 평가’ 방식을 고도화하고 KSSB(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 공시 기준을 선제적으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특히 이중 중대성 평가 과정에서 기업 가치사슬(Value Chain) 전반에 발생하는 주요 이슈를 식별하고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도입한 점이 눈에 띈다.보고서 서두에는 △지역사회와 지속 가능한 동행 △윤리·준법 경영 내재화 및 투명경영 실천 △소비자 중심의 금융 보호 체계 고도화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및 관리 부문 전략, 실행 실적을 집중 조명했다.이와 함께 BNK금융의 ESG 전략 방향 별 주요 성과들도 종합적으로 담았다.환경(녹색금융) 부문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과 감축 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친환경 금융상품 관리 체계 정착,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기술주도 성장 투자 확대, 친환경 경영 고도화 등 실질적인 활동을 강조했다.사회(상생 금융) 부문에서는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활동 성과들을 보고하고 동남권 ESG 생태계 구축,
-
2025-07-01▲ 하나금융그룹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출처=하나금융그룹]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에 따르면 2025년 6월30일(월) 2024년 그룹의 ESG 활동 및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2025년 열여덟 번째 발간을 맞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며 행복을 나누는 금융’이라는 그룹의 미션을 바탕으로 사회공동체와 동반성장을 위해 그룹의 전 관계사가 실천한 다양한 ESG 경영 성과와 노력을 담았다.하나금융그룹은 국내외 ESG 공시 의무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그룹 차원의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이번 보고서는 해당 시스템을 통해 취합·관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 첫 번째 보고서로 ESG 관련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은 물론 객관성과 투명성이 한층 더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하나금융그룹은 이번 보고서에서 그룹의 중장기 전략목표인 ‘O.N.E Value 2030’과 ESG 주요 성과 간의 연계를 강조했다.하나금융그룹은 외형 성장이 아닌 가치 중심의 금융그룹으로 탈바꿈하겠다는 목표를 바탕으로 ‘Our Value(손님 가치)’, ‘New Value(사회 가치)’, ‘Extra Value(혁신 가치)’ 등 세 가지 핵심 가치를 제시한 바 있다.먼저 보고서의 ‘Our Value’ 섹션에서는 손님의 생애 주기 전반을 아우르는 금융 솔루션 제공, 소상공인과의 동반 성장을 위한 상생 금융 지원 활동 등 손님을 최우선으로 하는 그룹의 손님 가치 중심 ESG 활동을 소개했다.더불어 △청소년 불법도박 예방 및 치유 지원 △100호 어린이집 건립 완공 △맞춤형 금융 교육 프로그램 실시 등 사회 가치 실현을 위한 ESG 실천 사례를 담은 ‘New Value’ 섹션과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
-
2025-07-01▲ 신한금융그룹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출처=신한금융그룹]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에 따르면 2005년 국내 금융권 최초 ESG 보고서를 발간한 이래 2025년 20번째로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이번 보고서는 2024년 신한금융이 추진한 ESG 활동 및 데이터를 상세하게 담고 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하이라이트, 스페셜 리포트, 데이터 팩 등으로 구성됐다.특히 2025년은 글로벌 지속가능개발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에 기반해 신한금융만의 독자적인 SDGs 전략 프레임워크를 수록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지표 및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ESG 실행력을 강조했다.스페셜 리포트에서는 TCFD(기후), TNFD(생물다양성), 신한 ESG Value Index, 다양성&인권 등 글로벌 주요 이슈에 대한 그룹 차원의 대응 현황을 심층적으로 다뤘다.특히 이번 TNFD 보고서에는 그룹의 금융자산뿐만 아니라 유형자산까지 포함해 자연자본 의존도 및 영향 분석을 고도화한 내용을 담았다.한편 신한금융은 2024년 그룹의 ESG 활동 전반을 화폐 가치로 환산한 결과 총 ‘5조4545억 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밝혔다.배당·납세 등 간접 기여를 제외한 순수 사회적 가치는 436개 ESG 프로그램을 통해 창출된 2조9590억 원으로 2019년 최초 측정 대비 각각 368퍼센트(%), 279% 증가한 수치다.신한금융 진옥동 회장은 “이번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신한만의 SDGs 전략을 기반으로 한 ESG 활동과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했다”며 “앞으로도 ‘멋진 세상을 위한 올바른 실천’이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
도시녹지의 분포와 접근성은 도시민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도시 경관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모든 시민에게 도시녹지에 대한 공정한 접근이 보장돼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이와 같은 도시녹지의 형평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서울시 도시녹지 정책의 초점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변화하고 있다.특히 녹지 접근성과 삶의 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서울특별시 서남권(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를 포함) 지역의 균형발전과 생활 여건 개선을 위해 서울시는 최근 ‘서남권 르네상스’ 정책을 발표했다.그러나 효과적인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해서는 현재의 도시녹지 접근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이번 회에는 '서울특별시 서남권 녹지접근성 분석을 통한 녹지결핍지역 도출 - SK T-map 경로안내 API를 활용해'라는 주제의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2024년 12월 한국경관학회, 제16권 제2호에 게재됐다.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학사과정 이성민, 최지용 및 이재호 부교수가 완성했다.◇ 연구의 목적... 웹 매핑 API를 통해 현실적 데이터에 기반한 도시녹지 결핍지역 도출해 시민의 도시녹지 접근성 제공본 연구는 웹 매핑 API를 활용해 기존 도보 네트워크 분석보다 더 현실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도시녹지 결핍지역을 도출한다. 또한 시민이 이용가능한 도시녹지와의 접근성을 제공해 향후 도시계획 및 조경계획시 도시녹지 우선지역 선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또한 제공된 정보를 통해 도시녹지의 형평성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도시 경관의 질적 향상과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연구수행체계◇ 연구의 방법... 서남권의 도보, 자동차, 대중교통에 대한 녹지결핍지역을 도출하기 위해 다단계 접근 방식 채택첫째, 서남권 도시녹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이동수단에
-
2025-06-30▲ ㈜오뚜기, ESG 경영 고도화 성과 조명한 ‘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회장 함영준, 대표이사 사장 황성만)에 따르면 2024 년 한 해의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를 발간했다.이번 보고서에는 ‘2050 탄소중립 전략' 을 중심으로 한 기후변화 대응과 사회적 책임 실천 강화 등 ESG 경영 고도화를 위한 주요 활동이 담겼다.오뚜기는 ESG 경영전략 ‘Re-Work(리 - 워크) 오뚜기' 아래, 환경·사회·지배구조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체계적 접근을 강화하고 있다.특히 소비자, 공급망, 기후, 임직원, 자연자본 등 5개 핵심영역에서 균형 있는 성장을 추진하며 중대성 평가를 통해 환경·사회적, 재무적 영향이 높은 △기후변화 대응 △공급망 ESG 관리 △자원 순환 △소비자중심경영 △자연자본 관리 △산업안전보건 등 6 개 주요 이슈를 지속가능경영의 핵심 토픽으로 선정했다.오뚜기는 '지속 가능한 식문화를 선도하는 2050 탄소 중립 달성' 이라는 비전 아래 넷제로 전략을 기반으로 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새롭게 공개했다.이에 따라 오뚜기와 오뚜기라면, 조흥에 이어 2024 년에는 추가로 5 개 관계사가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참여하며 전사적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또한 에너지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고도화와 재생에너지 확대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친환경 투자 확대 역시 주요 성과 중 하나다. 2024 년 기준 친환경 제품 매출 비중은 11.28퍼센트(%)로 전년 대비 0.08%P 증가했다.오뚜기는 환경성적표지 인증 포장재 도입, 친환경 인쇄 공정 적용, 순환형 재활용 페트(CR-PET)병 사용 확대 등 제품 생산 전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
-
2025-06-30▲ ‘2025 소비자 교육 콘텐츠 공모전’에서 배서현(가운데), 백채원(우측) 씨가 대상인 공정거래위원장상을 수상했다 [출처=GS리테일]GS리테일(대표이사 허서홍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6월27일(금) 오후 2시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모이다실에서 ‘2025 소비자 교육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이 개최됐다.2025년 4회째를 맞은 ‘2025 소비자 교육 콘텐츠 공모전’은 GS리테일이 후원하고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KOINCE)가 주관하고 있다.이번 공모전은 ‘안전한 디지털 소비생활’ 주제로 △중고거래 △구독소비 △해외직구 등 일상 속 디지털 소비 이슈에 초점을 맞췄다.5월 한 달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총 49개 대학 소속 606명이 참가해 동영상 87편, 카드뉴스 129편 등 총 216편의 콘텐츠를 응모했다.주최측은 엄정한 심사를 거쳐 △대상(공정거래위원장상) 1팀 △최우수상(한국소비자원장상, GS리테일 홈쇼핑BU장상) 각 1팀 △우수상, 장려상, 크리에이터상 등 최종 14개 수상작을 선정하고 수상팀에는 총 1000만 원 규모의 상금과 상장을 수여했다.대상작 ‘소 퀴즈 온 더 블록’(배서현·백채원)은 퀴즈 형식을 통해 중고거래 사기 예방 정보를 실사례와 함께 알기 쉽게 전달하고 시청자 참여를 유도한 구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최우수상으로 선정된 ‘똑똑한 선택의 시작, 안전한 해외 직구’(손윤서 외 2인)는 해외직구 시 발생할 수 있는 피해 유형과 예방법을 소개하며 인증 확인과 사기 사이트 식별법 등 실질적인 정보 제공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또 다른 최우수작인 ‘해외직구도 야구처럼! S.A.F.E.하게 홈까지’(이제하 외 2인)는 야구 개념과 강의 형식을 접목해 해외직구 안전수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해 눈길을 끌었다.이번 공모전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SNS 환경에서 성장한 Z세대
-
1983년 설립된 한국가스공사(KOGAS)는 천연가스 공급을 통해 국민생활의 편익 증진 및 복리 향상을 설립 목적으로 한다. 기업이념인 ‘좋은 에너지, 더 좋은 세상’을 바탕으로 안정적 천연가스 공급을 통해 국민 편익에 기여하고 지속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에너지 공기업을 목표로 한다.주요 사업은 △도시가스 제조, 공급과 부산물 정제·판매 △천연가스 개발, 수송 및 수출입 △수소에너지 제조·공급 △천연가스 인수기지 및 공급망 건설·운영 △액화석유가스의 개발 및 수출입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 받은 사업 △석유자원 탐사·개발 사업 및 관련 사업 등을 운영한다.KOGAS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OGAS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2013년 윤리경영 평가 요약... 기재부 지침을 어기면서 직원복지 향상 및 신뢰성 낮은 정보공개로 빈축◆ Leadership(리더십, 오너/임직원의 의지) 비전(vision)인‘Respect More’ 는 ‘고객을 존중하면서(Respect) 더 많은 가치, 성장, 보상을 추구하여(Expect) 비전 2017을 달성하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핵심 역량(core competency)은 ‘인재, 기술, 브랜드 파워’이며, 핵심 가치(core value)는‘신뢰, 변화, 도전, 책임’이다.윤리경영의 4대 추진전략은‘윤리경영 운영시스템 고도화, 모니터링 및 환류 시스템 강화, 부패통제기반, 사회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