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 SAF"으로 검색하여,
6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LG디스플레이의 블루라이트 방출 감소 주장을 확인해 주는 UL Solutions 마케팅 클레임 검증[출처=LG디스플레이]UL Solutions(대표이사 제니퍼 F. 스캔론)에 따르면 2025년 3월24일(현지 시간) LG디스플레이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와 모니터가 세계 최초로 UL Solutions Eyesafe 검증을 획득했다.이로써 LG디스플레이의 OLED 모델이 일주기(Circadian) 리듬을 자극하는 블루라이트 방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마케팅 주장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입증됐다.UL Solutions은 미국 일리노이주 노스 브룩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미국 최초 안전 규격 개발 기관이자 인증 회사다.UL Solutions의 글로벌 지역 담당 수석부사장 토드 데니슨(Todd Denison)은 “UL Solutions의 마케팅 클레임 검증(Marketing Claim Verification) 프로세스는 소비자에게 제품 주장에 대한 확신을 주기 위해 고안됐다”고 강조했다.또한 “UL Solutions 는 광고 및 홍보 문구를 검증함으로써 소비자가 검증된 사실과 입증되지 않은 주장을 구별하도록 돕는다. Eyesafe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한 이 객관적이고 과학에 기반한 평가 프로세스는 소비자들이 장시간 화면 노출로 인한 잠재적인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오늘날의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고 말했다.OLED가 탑재된 TV와 모니터는 자체 발광 픽셀이 특징이므로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다. 마케팅 클레임 검증을 위해 UL Solutions 는 광선 보호 지수(RPF®, Radiance Protection Factor) 및 일주기 리듬 보호 지수(CPF, Circadian Protection Factor) 방법론을 포함한 Eyesafe® 디스플레이 요구 사항 3.0을 사용해 LG디스플레이의 OLED TV 및 모니터 성능을 평가했다.점수가 높을수록 일주기 리듬을 자극하는 블루라이트의 방출이 적음을 의미하며, 마케팅 주장 검증을 받으려면 35점 이상이 필요하다.RPF 평가 결과, 해당 TV와 모니터는 블루라이트 독성, 색 영역 및 색 온도에 대한 Eyesafe기준을 충족해 RPF40 등급을 획득했다. 또한 텔레비전과 모니터는 CPF 평가에서도 CPF60 등급의 검증을 획득해 블루라이트 방출 감소를 입증했다.UL Solutions의 검증과 함께 사용되는 Eyesafe 요구 사항은 안과 전문가 및 과학자와 협력해 개발됐다. 이로써 블루라이트 여과 및 색상 성능에 대한 기준을 설정했다.검증된 브랜드는 자사 제품, 포장, 마케팅 자료에 UL Eyesafe 검증 마크를 사용해 성과를 알릴 수 있다. UL Eyesafe 검증 마크를 받은 모든 LG디스플레이 OLED 모델은 verify.ul.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LG디스플레이의 최고기술책임자(CTO) 윤수영 부사장은 “객관적이고 공신력 있는 기관의 검증을 통해 고객들이 인간 친화적인 디스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번 검증 획득은 의미가 있다”면서 “LG디스플레이는 앞으로도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 LG생활건강 ‘SAFE 올인원 타블렛’ 주방세제[출처=LG생활건강]LG생활건강(대표이사 이정애)에 따르면 프리미엄 주방세제 브랜드 SAFE(세이프)에서 온 가족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순한 성분과 강한 세척력을 자랑하는 ‘SAFE 올인원 타블렛’ 세제를 출시한다.세이프 올인원 타블렛은 식기세척기부터 과일·채소까지 두루 세정할 수 있는 제품이다. 향, 색소, 표백제, 보존제를 뺀 4무(無) 포뮬러를 적용했다.보존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안식향산나트륨 등이 있다. 설거지를 마치면 타블렛과 필름이 투명하게 녹아 없어져서 얼룩 걱정을 덜었다.이처럼 순한 처방으로 식기세척기 세제로는 드물게 ‘과일·채소용 세척제’로 신고된 점도 돋보인다. 그래서 젖병과 유아 식기류를 씻을 때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세이프 올인원 타블렛은 순한 세제이지만 세척력은 매우 강력하다. 기름기를 분해하는 베이킹소다와 비린내 제거에 탁월한 구연산, 물때를 방지하는 소금 성분을 함유해서 한 알로도 충분하게 설거지할 수 있다.제품 출시 이전 고객만족도 조사에서는 모든 참가자들이 고기 기름과 빨간 양념, 눌어붙은 밥풀이 잘 제거돼 ‘매우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2024년 11월12일~2024년 11월19일까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식기세척기 세제 1종 HUT 조사를 진행했다. 식기세척기 보유 및 식기세척기 전용 세제 2종 이상 사용 경험이 있는 30~59세 여성 30명 대상으로 제품별 7일간 매일 평가 제품 사용 후 평가를 했다.LG생활건강은 세이프 올인원 타블렛의 비건 인증과 피부 테스트를 완료했다. 국제 유기농 인증기관 에코서트의 인증을 받은 원료를 첨가했다.LG생활건강은 세이프 올인원 타블렛은 순하면서도 세척이 잘 되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혁신적인 주방세제라며 고객들이 과일·채소 세척 성분으로 안심하면서도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누려 보시길 바란다고 밝혔다.세이프 올인원 타블렛은 오는 20일부터 쿠팡에서 구매할 수 있다. 제품 용량 및 가격은 SAFE 올인원 타블렛 550그램(g)은 10g X 55개로 권장소비자가격은 2만5900원이다. 웹사이트는 http://www.lgcare.co.kr이다.
-
2025-01-09▲ 남아프리카공화국 저가항공사인 플라이사페어(FlySafair)의 기체. [출처=플라이사페어 홈페이지] 2025년 1월9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나이지리아 우편국(NIPOST)에 따르면 2025년 1월 라고스(Lagos) 주정부와 주내의 전자상거래 향상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을 고려하고 있다.남아프리카공화국 소비자 위원회인 NCC(National Consumer Commission)에 따르면 2025년 1월 저가항공사인 플라이사페어(FlySafair)의 초과예약 논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나이지리아 우편국(NIPOST), 2025년 1월 라고스(Lagos) 주정부와 주내 전자상거래 향상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 고려나이지리아 우편국(NIPOST)에 따르면 2025년 1월 라고스(Lagos) 주정부와 주내의 전자상거래 향상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을 고려하고 있다.국내 주요 경제 허브인 라고스 주정부와의 협업으로 주내를 포함해 전국의 배달 서비스의 최적화와 운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우편과 로지스틱 서비스를 향상해 중소기업과 개인의 전자상거래 산업 참여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대륙의 1위 경제대국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소비자 위원회인 NCC, 2025년 1월 저가항공사인 플라이사페어(FlySafair)의 초과예약 논란 조사에 착수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인 베스트 비포(Best Before)에 따르면 2025년 1월 수입을 통해 상품 품목을 확장했다.처음으로 수입되는 신품목으로는 유명 브랜드인 △마우틴 듀(Mountain Dew) △오쉬(Oshee) △코트도르(Cote D’Or) 등이 포함된다.베스트 비포는 유통기한이 임박하거나 약간 지난 상품을 다른 소매업체들과 비교해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다. 유통기한은 초과했지만 유효일 내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기에 식품 및 상품 사용에는 안전하다고 공지하고 있다.남아프리카공화국 소비자 위원회인 NCC(National Consumer Commission)에 따르면 2025년 1월 저가항공사인 플라이사페어(FlySafair)의 초과예약 논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소셜미디어에서 예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탑승하지 못했다는 승객의 불만에 대해 플라이사페어가 적정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예약 인원을 정원보다 초과해 받았다고 설명했기 때문이다.NCC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포함해 플라이사페이의 초과 예약/초과 판매 관행에 대한 우려를 고려해 조사를 시작했다.
-
2016년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Industry 4.0)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후 8년이 흘렀지만 큰 변화는 없다. 우리나라를 포한한 세계 각국이 다양한 정책을 내놓았지만 공염불에 그친 셈이다.인공지능(AI), 로봇(Robot)과 같은 최첨단 기술의 도움으로 인류가 유토피아에서 살 것이라는 기대조차 무너진지 오래다. 기술적 발전이 재난을 초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필자는 오랫 동안 기상기후재난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중앙대에서 다양한 기업과 협력해 재난연구를 이끌고 있다.대학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며 생성한 각종 연구 성과물을 소개하며 '재난 없는 국가'를 완성할 방안을 찾을 방침이다. 첫 번째 논문은 '4차 산업 혁명시대의 VR/XR 기반 재난안전 훈련기술에 관한 고찰'이다. ◇ VR/XR 기술 적용에 따른 훈련 효과... 시간 단축 및 비용절감 등으로 적용 확대4차 산업혁명은 다양한 모습으로 많은 것들에 영향을 주고 있다. 생각만 했던 것들을 현실로 구현하기도 하고 불가능하다고 포기했던 것들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코로나19가 창궐하고 전 세계적 팬데믹(Pandemic) 상황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들이 국내 재난 안전분 야에 얼마나 스며들어 있는지 국내·외 가상현실/확장현실(VR/XR)의 산업 현황 및 효과 등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본다.국내의 재난 분야, 소방훈련의 도입 사례 고찰을 통해 앞으로 발전 방향을 도출해 VR(virtual reality)/XR(eXtended reality) 기반의 재난훈련 기술이 더욱 현실적으로 적용되기를 제안한다.VR/XR 기술을 적용한 교육 및 훈련 효과의 연구는 서구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전개됐다. 의료 분야의 경우, VR 수술 훈련 이후 83%의 훈련자가 훈련 소요시간 단축에 성공했다.동시에 70%의 훈련자가 훈련 스킬의 향상에 성과가 있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훈련자의 훈련 소요시간이 29% 단축됐고 실수 발생 비율이 1/6 수준으로 줄었다는 연구가 있다 .군사 훈련 분야에서 보자면 비용 절감 효과와 더불어 높은 훈련 효과를 보였는데, VR 훈련이 2.7배의 성공률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한다. VR 훈련의 85%의 훈련자가 전통적 방식의 훈련보다 VR 훈련을 더 선호한다는 연구가 있다.VR 훈련은 소요시간의 단축, 비용 절감, 능숙도 향상 등이 전통적 방식의 훈련에 비교해서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VR 훈련 및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국외현황 : 중국과 미국에서 2011년 이후 VR 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VR 기술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2017년 1월 교육 계획 5개년 계획을 통해 일선 학교에서의 VR 기술의 본격적 도입이 시작됐다.2017년 5월 웨이하이 유치원 통학버스 터널 화재 사고로 11명의 어린이가 희생되며 재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일반인에게 VR 기술을 활용한 재난 안전교육을 제공하는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또한 전문 소방훈련 분야도 2011년 상하이의 소방훈련센터에서 소방 지휘 훈련 시스템 XVR을 도입했다. 소방 및 재난 안전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상당히 빠른 속도로 VR 기술을 도입 및 운영하고 있다.미국은 다양한 재난 안전교육 및 훈련 시스템의 선두주자다. 특히 소방훈련 분야에서 Environmental Tectonics Corporation의 ADMS (Advanced Disaster Management Simulator)가 유명하다.ADMS는 1992년 처음 출시돼 미국, 프랑스 등 30여 개국에서 도입됐며 국내에는 2010년 중앙소방학교에 도입돼 운영한 바 있다.그 외 Flame-Sim에서 개발한 Flame-Sim을 미국, 캐나다의 20여 개 소방서에서 도입했다. 기타 재난 안전 및 소방 분야의 훈련 시스템 역시 미국에서 다수 제작되어 운영하고 있다.◇ 국내 현황 : 2015년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서 처음 도입한 후 확산 중해외 사례와 비교해 국내 연구는 연구개발(R&D) 단계의 VR/XR 기술기반 소방 및 재난 안전분야 훈련 및 교육 시스템은 다양하게 존재하나 상용화된 사례는 극히 일부만 존재한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서 운영 중인 Go Fire는 2013년 완료된 소방방재청(현 소방청) 화재재난 현장팀 단위 전술훈련 프로그램 연구개발 사업의 개발 결과물이 2015년 상용화된 사례다 .소방훈련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분야의 연구개발 성과물이 상용화로 이어진 경우는 극히 드물어 우수 과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해당 프로그램을 활용해 2015년~2016년 시범 운영, 2017년 소방서별 자율 운영, 2018년 이후 신규 임용 소방관을 대상으로 한 교육 커리큘럼 편성 등의 단계를 거쳤다.2019년부터 경기도 소방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수보대(상황실) 훈련 시뮬레이터를 2019년 초에 도입했다.중앙 소방학교는 전술한 훈련프로그램을 시범 도입해 2018년 신임 간부후보생을 대상으로 총 12차 시의 훈련 및 교육 커리큘럼을 진행했다. 계속 해당 커리큘럼을 운영/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제품인 Go Fire 및 해외 제품인 XVR 비교... 장단점 보완하며 국내 실정을 반영할 필요성 높음국내에서 현재 운영 중인 소방훈련 시스템은 국내 제품인 Go Fire와 해외 제품인 XVR이다. 2개 시스템은 국내 시장에서 경쟁 관계인 것으로 인식되나 엄밀하게 보자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개발된 제품이다.▲ 국내 운용 소방훈련시스템(Domestic Operational Fire-Fighting Training System)먼저 XVR은 소방 현장 지휘관을 위한 훈련 시스템으로 긴급구조통제단을 위한 훈련 시스템이다. 반면에 Go Fire는 소방 현장 지휘관과 현장대응 대원이 동시에 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해당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한 현장 당 최대 200명의 훈련자가 동시에 접속해 자신의 역할에 따른 팀 단위 훈련을 목표로 구축됐다.이에 따라 서버 및 네트워크, 동기화 기술의 적용이 필요했다. 각 훈련자는 자신의 역할에 따른 최대 200명의 다중 접속형 훈련이 가능하다.Go Fire를 통해 훈련할 수 있는 역할은 현장 지휘관, 방면 지휘관, 현장 대원(관창/관창 보조/구조/기관), 상황실(수보대) 등 7종에 달한다. 각 훈련자는 자신이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상호작용 등을 거듭하며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Go Fire는 화재재난에 대한 대응법을 훈련하기 위한 시스템이기에 VR 환경에서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화재 M&S가 적용됐다.미국 국립기술표준(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개발한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s Simulation)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가연물의 재질에 따른 화염의 성상, 화재의 확산 등을 구현했다.또한 화재 재난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플레임 오버(Flame Over), 플래쉬 오버(Flash Over), 백 드래프트(Back Draft), 비등액체증기폭발(Boiling Liquid Expanded Vapor Explosion), 이어볼(Fireball) 등 각종 화재 특수 현상에 대한 구현 역시 이뤄졌다.면밀하게 시뮬레이션 된 화재 모델을 바탕으로 훈련자는 자신의 역할에 따른 훈련을 진행한다. 경방 대원을 위하여 직사/분무/반사 주수가 가능하도록 노즐 컨트롤 기능이 추가됐다.타 현장 대원을 위한 엄호 주수,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주수 등의 기능이 적용됨으로써 다채로운 훈련이 가능하게 됐다.구조 요원은 탐색 및 구조를 위한 소방도끼, 도어 개폐기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요 구조자의 몸집과 부상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구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적용됐다.또한 사다리 등의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2층 이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작전 전개가 가능하다.기관원은 차량 운전 및 부서 기능, 차량 판넬 기능, 방수포 기능, 보수구/중계구/흡수구/방수구 등의 패널 조작 기능 등을 구현함으로써 내부에 진입한 소방대원과 협업 훈련이 가능하다.한편으로는 옥외 소화전, 연결송수관 등의 소방 설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필요에 따라 펌프차, 탱크차 간의 중계 급수, 자연용수 활용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원활한 훈련을 펼칠 수 있다.현장 지휘관을 위해 현장 지휘소의 개설 권한, 대응 단계 발령, 증원 요청, 현장 대원 역할수정 등의 기능이 추가됐다.따라서 현장 지휘관은 원활한 대응 훈련을 진행하기 위해서 Go Fire에 구현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반 가상 무전 기능을 통하여 실제 무전기 없이도 헤드셋을 활용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다.이와 같은 유기적 팀 단위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Go Fire에는 총 15개의 대상 건물이 구현됐다. 대상 건물은 경기도 내 실제 존재하는 건축물을 실측해 3D 모델로 제작됐다.건물은 SOP(표준작전절차, Standard Operation Process)에 의거해 각기 다른 유형으로 선정됐다. Go Fire는 기본적으로 VR HMD를 활용하여 훈련할 수 있도록 구현됐다.VR 환경에서 멀미(VR Sickness)를 느끼는 훈련자의 경우 개인 모니터를 활용하여 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다양한 연령대의 훈련자가 VR 환경에서 느끼게 될 불편함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한 시도였다.이외에도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훈련자가 조작법 등을 익힐 수 있도록 5분 가량의 학습 모드(튜토리얼) 기능을 제공한다.기본적인 조작법과 훈련 시스템에 포함되어 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 및 설비 이용 방법을 간략하게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훈련자는 본격적인 팀 단위 전술훈련을 진행하기 전 시스템 운용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배려했다.◇ VR/XR 기술 기반 소방훈련 시스템은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한편 대한민국의 SOP 충실히 반영대한민국의 소방 체계는 미국의 소방 체계를 다수 인용해 수립됐다. 최근에는 SOP를 개정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독자적이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소방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움직임이 계속 관찰되고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VR/XR 기반 소방훈련이 가능한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손에 꼽을 정도로만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 개발해 운용 중인 시스템은 단 1종에 불과하다.가상 소방훈련 분야에서 독자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개발이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봤을 때 앞으로 VR/XR 기술 기반 소방훈련 시스템은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한편 대한민국의 SOP를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특히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단순몰입도를 높이는 VR 기술 외 대응 3단계 등 대단위 팀 단위 전술훈련이 가능하도록 서버 및 네트워크 기술의 적용은 기본적이라 볼 수 있다.최근 비약적인 발전 분야인 Sensing을 접목함으로써 사용자 위치 기반 훈련이 가능한 형태의 훈련 시스템 역시 고려할 수 있다.이외에도 머신 러닝 기술 및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훈련자가 훈련 과정 중 잘못된 선택을 했을 때 올바른 선택이 무엇인지 교육할 수 있는 형태의 훈련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훈련 효과를 높여야 한다. 해외 소방훈련 체계에서는 햅틱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기술을 활용해 노즐 컨트롤 훈련과 열기까지 피드백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고 있다.국내는 해당 기술을 활용한 VR/XR 소방훈련 시스템으로 적용이 가능한 사례는 극히 일부에 불과해 전자 관창을 이용한 체험식 프로그램만 존재한다.해당 기술을 활용해 경방 훈련이 가능한 햅틱 및 IoT 기술 기반 현장 대원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VR/XR 기술 기반의 소방훈련 시스템을 통해 화재 재난현장의 대응력 강화 가능본 연구는 정부의 4차 산업혁명 기반 재난 안전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의 6대 기술 중 하나인 VR과 VR 응용 분야인 XR에 대해 국내·외 현황과 도입사례를 분석해 효과를 확인했다.재난대응을 위한 효율적 수단으로 유용하게 필요한 기술임을 확인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의 전문화에 따른 기술의 분절, 융합 기술의 부족 등으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진 소방훈련 분야의 발전은 더딘 상황이다.앞으로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VR/XR 기술 기반의 소방훈련 시스템을 상시 소방훈련이 가능한 형태로 구축·운용해 나간다면 화재 재난현장의 대응력 강화를 위한 하나의 답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더불어 본 연구를 통하여 추가 제언한다면 다음과 같다. 양적 연구로 질적 연구가 제외됐으므로 질적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VR/XR 기반 훈련에 대한 효과검증 역시 필요하다.▲ 정상 전문위원(중앙대학교 교수)
-
▲ 영국 다국적 금 광업 기업인 엔데버 마이닝(Endeavour Mining)에 따르면 사전타당성연구(PFS)를 통해 코트디부아르의 아사포우-디비반고(Assafou-Dibibango) 금광 프로젝트의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출처=엔데버 마이닝 홈페이지]2024년 12월12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케냐와 코트디부아르의 정부 정책과 광업을 포함한다. 케냐 관광부에 따르면 향후 3년간 국제 관광객을 500만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영국 엔데버 마이닝(Endeavour Mining)에 따르면 2024년 12월 코트디부아르의 아사포우-디비반고(Assafou-Dibibango) 금광 프로젝트가 주요 자산이 될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케냐 관광부, 향후 3년간 국제 관광객 500만 명으로 늘릴 계획케냐 관광부에 따르면 향후 3년간 국제 관광객을 500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5년 기간의 2023-2027 전략적 프로젝트를 도입한다.미국을 주요 시장으로 청년 인재 유입과 홍보 캠페인 활동 등을 진행하기 위한 목적이다. 디지털 유목민과 비대면 일자리 기회를 증폭해 해외에 거주하는 케냐인을 포함해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한다.국내 9개 지역 내의 전통적인 사파리와 해변 관광 사업을 재정비해 국내 관광산업의 인프라 시설 포용성을 높일 방침이다.◇ 영국 엔데버 마이닝, 2024년 12월 코트디부아르 아사포우-디비반고(Assafou-Dibibango) 금광 프로젝트 잠재성 높은 것으로 전망영국 다국적 금 광업 기업인 엔데버 마이닝(Endeavour Mining)에 따르면 2024년 12월 코트디부아르의 아사포우-디비반고(Assafou-Dibibango) 금광 프로젝트가 주요 자산이 될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사전타당성연구(PFS)를 통해 금광의 매장량이 410만 온즈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근시일 최종타당성연구(DFS)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아사포우 금광의 연간 금 생산량은 초기 10년 동안 32만9000온즈로 전망된다. 예상 매장량인 410만 온즈를 고려하면 광산 수명은 15년으로 판단된다.초기 광산 개발 비용과 제련소 구축 비용은 US$ 7억3400만 달러로 예상된다. 2025년 말부터 2026년 초까지 DFS 절차를 완료해 2026년 하반기부터 건설에 착수한다.
-
▲ 피엠그로우와 서울경제진흥원이 MOU를 체결했다[출처=피엠그로우]피엠그로우(pmgrow, 대표 박재홍)에 따르면 서울경제진흥원(대표 김현우, 이하 SBA)과 전기차 배터리 안전알림 서비스 패키지(와트세이프, 세이프패스)를 적용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와트세이프(WattSafe)’는 전기차에 장착된 데이터 수집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 후 배터리가 안전 상태를 파악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전기차 전용 앱 서비스다.세이프패스(SafePass)는 와트세이프를 장착한 전기차가 주차장에 진입할 때, 차량의 데이터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안전 등급을 조회해 상태를 판별한다.출입 허용 여부나 충전 가능 수준 등을 분석해 관제시스템을 통해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통합안전관리시스템이다.▲ 피엠그로우 박재홍 대표(오른쪽)와 서울경제진흥원 김현우 대표(왼쪽)가 MOU를 체결했다[출처=피엠그로우]앞서 피엠그로우는 안전한공간(대표 신영철)과 ‘세이프패스’ 관련 공동업무 추진협약을 진행한 바 있다. 아파트와 민간 상업건물 등에 확대 적용하는 것을 협의 중이다.이번 협약 체결과 동시에 SBA 상암 본사 건물 주차장의 출입게이트 제어 및 충전 제어에 ‘안전알림 서비스 패키지’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후 SBA에서 운영 중인 전체 센터 41개 건물에 순차적으로 모두 설치할 계획이다.전기차 안전관리시스템의 공공기관 첫 적용 사례다. 안정적인 운영이 진행되면 전기차 화재에 대한 사후 조치가 아닌 사전 조치가 효과적으로 작동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피엠그로우 박재홍 대표는 “회사가 제조한 배터리팩을 탑재한 전기버스가 4000만킬로미터(km) 이상 주행할 동안 데이터 모니터링을 통해 잘 관리했더니 화재가 발생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전기차 통합안전관리시스템 개요도[출처=피엠그로우]또한 “그러한 경험을 통해 배터리는 반드시 2 내지 3주 전에 이상징후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때 생기는 현상 중의 하나가 화재”라고 설명했다.SBA 김현우 대표는 “이번 사업이 전기차 포비아를 극복하고 배터리 전문기업인 피엠그로우와 협력을 통해 전기차 산업 발전과 사회 안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좋은 선례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4-11-05▲ 미국 레스토랑 체인점인 얌 브랜드(Yum Brands)가 운영하는 KFC 매장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11월05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레스토랑의 매출이 축소되면서 관련 업체의 파산이 잇따르고 있다.부동산 가격의 상승과 인플레이션으로 첫 주택구입자의 중위연령이 38세로 급상승했다. 1980년대 20대 후반과 비교하면 많이 늦어진 것이다.2024년 10월 기준 캐나다 밴쿠버 지역의 주택 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대폭 상승하며 부동산 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평균 주택가격은 오히려 하락했다.브라질은 소고기의 35% 이상을 수출하며 소고기 가격의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다. 주요 도시의 소가격이 오르면서 일반 시민의 부담으로 작용하는 중이다.◇ 미국 전국부동산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첫 주택 구입자의 중위 연령이 38세로 상승미국 레스토랑 체인점인 얌 브랜드(Yum Brands)는 2024년 9월 말 마감 3분기 매출액은 US$ 18억3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19억 달러 대비 감소했다.3분기 순수입은 3억8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4억1600만 달러 대비 축소됐다. 3분기 전 세계 동일 점포 판매액은 2% 하락했다.얌 브랜드는 KFC, 피자헛, 타코벨, 얌! 브랜드, 얌 등을 소유하고 있다. 2022년 얌은 장기 목표로 점포당 매출성장률 5%, 시스템 매출 성장률 7%를 각각 제시했다.미국 전국부동산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에 따르면 첫 주택 구입자의 중위 연령이 38세로 드러났다. 2023년 35세에 비해 3세가 늘어난 것이다.1980년대 첫 주택 구입자의 중위 연령은 20대 후반이었지만 부동산 가격의 상승으로 대폭 늦어진 것이다. 2024년 기준 첫 주택 구입자와 반복 구입자의 중위 연령은 전년 49세에서 56세로 올랐다.인플레이션 기간 동안 학생 대출, 자동차 할부, 신용카드 부채 등을 갚느라 주택 구입이 점점 늦어지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비교해 첫 주택구입자의 비율은 40%로 조사됐다.◇ 캐나다 광역밴쿠버부동산협회(Greater Vancouver Realtors), 2024년 10월 기존 주택 판매량은 2632채로 전년 동월 대비 31.9% 증가캐나다 광역밴쿠버부동산협회(Greater Vancouver Realtors)는 2024년 10월 기존 주택 판매량은 2632채로 전년 동월 대비 31.9%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10년 평균 보다 5.5% 낮은 수치다.10월 신규 주택의 판매 건수는 5452채로 전년 동월 대비 16.9% 확대됐다. 10년 평균 수치와 비교하면 20% 이상 높다.10월 판매하기 위해 등록한 주택수는 1만4477채로 10년 평균 대비 26.2% 확대됐다. 주택 1채당 평균판매액은 C$ 117만2200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9% 하락했다.◇ 브라질 사프라스&메르카도(Safras&Mercado), 소고기 가격이 오름세 유지브라질 농업 컨설팅업체인 사프라스&메르카도(Safras&Mercado)에 따르면 소고기 가격이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도살 계획이 짧고 수출업체가 소의 구입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로 소고기 수출은 역사상 최고 수순으로 확대되고 있다.소의 가격은 상파울로 R$ 322.33헤알, 고이아스 318.75헤알, 미나스제라이스 318.53헤알, 마토그루소두술 318.07헤알, 마토그루소 309.53헤알 등이다.2024년 연말까지 브라질산 소고기의 약 35%가 수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고기와 단백질 섭취에서 경쟁하고 있는 닭고기 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
▲ 뉴질랜드 AA 보험(AA Insurance New Zealand, AAI)사[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법원(Federal Court of Australia)은 eSafety 위원회(Commissioner)의 엘론 머스크(Elon Musk) X에 대한 AU$ 61만500달러 벌금 명령을 인정했다.BCI Minerals에 따르면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소금 생산을 위해 새로운 프로젝트에 AU$ 10억 달러를 투자 했다. 2027년 중반까지 연간 500만 톤(t) 이상의 산업용 소금을 운송할 것으로 예상된다.뉴질랜드 고등법원(High Court)에 따르면 뉴질랜드 AA 보험(AA Insurance New Zealand, AAI)이 고객에게 $NZ 1100만 달러 이상 과도한 보험 청구 행위에 대해 617만5000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법원(Federal Court of Australia), 엘론 머스크(Elon Musk) X에 대한 AU$ 61만500달러 벌금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법원(Federal Court of Australia)은 eSafety 위원회(Commissioner)의 엘론 머스크(Elon Musk) X에 대한 AU$ 61만500달러 벌금 명령을 인정했다.연방법원은 X는 벌금에 이의를 제기했으나 인터넷 안전 규제기관인 eSafety 위원회의 플랫폼에서 아동 성착취 자료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통지에 응답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다.BCI Minerals에 따르면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소금 생산을 위해 새로운 프로젝트에 AU$ 10억 달러를 투자 했다. 2027년 중반까지 연간 500만 톤 이상의 산업용 소금을 운송할 것으로 예상된다.산업용 소금은 플라스틱부터 유리 제품, 알루미늄 호일까지 모든 것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며 세계에서 가장 다재다능한 자원 중 하나다.새로운 소금 프로젝트는 생산량이 최고조에 달하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는 오스트레일리아 최대 소금 생산지로 2023년 약 1200만 톤(t)의 소금을 생산했다.◇ 뉴질랜드 AAI(AA Insurance New Zealand, AAI), 고등법원으로 부터 617만5000달러 벌금뉴질랜드 고등법원(High Court)에 따르면 뉴질랜드 AA 보험(AA Insurance New Zealand, AAI)이 고객에게 $NZ 1100만 달러 이상 과도한 보험 청구 행위에 대해 617만5000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AAI보험은 다중 보험 및 멤버십 할인을 적용하지 않았다. 무사고 보너스를 보장하지 않아 수십 만 명의 AAI 고객에 약 1112만 달러를 추가로 청구했다.2020~2022년 기간 동안 포괄적인 시정 프로그램을 시행해 과거 및 현재 고객에게 이자를 포함한 1560만 달러 이상을 전액 환불했다.
-
▲ 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과 미국 결제 서비스 기업인 마스터카드(Mastercard)는 디지털 결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마스터카드 홈페이지]2024년 9월 4주차 케냐 경제는 ICT와 제조업, 통계를 포함한다. 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에 따르면 미국 결제 서비스 기업인 마스터카드(Mastercard)와 디지털 결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케냐 수자원 에너지 솔류션 회사인 데이비스앤셔츠리프(Davis & Shirtliff)에 따르면 미국 다국적 산업 및 환경 기계 공급업체인 플로우서브(Flowserve Corporation)와 산업용 펌프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에 따르면 미국 결제 서비스 기업인 마스터카드(Mastercard)와 디지털 결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케냐 국내의 결제 도입율과 국경간 송금 서비스의 도입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번 협업으로 사파리콤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음페사(M-PESA)를 사용하는 소상공인 63만6000명 이상이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음페사의 소상공인 네트워크와 마스터카드의 글로벌 결제 인프라시설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의 결제 서비스와 송금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 케냐 수자원 에너지 솔류션 회사인 데이비스앤셔츠리프(Davis & Shirtliff)는 미국 다국적 산업 및 환경 기계 공급업체인 플로우서브(Flowserve Corporation)와 산업용 펌프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데이비스앤셔츠리프 엑스(X) 계정] ○ 케냐 수자원 에너지 솔류션 회사인 데이비스앤셔츠리프(Davis & Shirtliff)에 따르면 미국 다국적 산업 및 환경 기계 공급업체인 플로우서브(Flowserve Corporation)와 산업용 펌프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중앙과 동아프리카 지역의 기업들에게 고품질의 저렴한 산업용 펌프에 대한 시장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협업을 통해 데이비스앤셔츠리프는 산업 포트폴리오 범위를 플로우서브 제품으로 확장하게 된다. 플로우서브는 아프리카 지역으로 시장 범위를 넓히게 된다.펌프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여 에너지 효율과 더불어 지속가능환경에 기여해 아프리카 대륙 내의 산업 기업들의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케냐 중앙은행(CBK)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 12개월간 해외 송금액 규모는 US$ 42억7200만달러(Sh 550억9000만실링)으로 2023년 동기간 대비 12.7% 상승했다.2024년 8월 송금액 규모는 4억2720만달러로 2023년 8월 3억5430만달러와 비교해 20.6%인 7290만달러(94억 실링) 증가했다. 월별 해외 송금액 규모에서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송금 국가에서 미국이 1위를 유지했다. 2024년 8월 송금의 56%가 미국에서 송금됐다. 이외 국가로는 영국, 캐나다, 중동이 주요 외환 송금 국가로 조사됐다.
-
▲ 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과 미국 결제 서비스 기업인 마스터카드(Mastercard)는 디지털 결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마스터카드 홈페이지]2024년 9월 아프리카 ICT산업 주요동향은 기업 경영과 통신 등을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통신사인 MTN(MTN South Africa)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 새로운 기지국을 145개 건설했다.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에 따르면 미국 결제 서비스 기업인 마스터카드(Mastercard)와 디지털 결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전기자동차(EV) 제조사인 틸라 솔루션(Thula Solutions)에 따르면 태양열 발전을 활용한 전기 선박을 출시했다.조용한 강변 크루즈 사파리 여행에 적합한 선박 모델이다.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최대 2개월 간 운항할 수 있다.해당사는 2023년 7월 관광용 전기 사파리 차량(ESV)를 개발한 바 있다. 향후 2년에서 4년 사이에 국내 사파리 관광지에서 전기자동차 활용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통신사인 MTN(MTN South Africa)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 새로운 기지국을 145개 건설했다.기존 기지국 400곳은 시설을 개선했다. 기지국 수를 늘리며 통신망의 5G 전파 범위를 44%까지 늘렸다. 2023년 8월과 비교해 25% 포인트 증가했다. 2024년 동안 LTE 시스템은 1060곳에 배치해 국내 소비자 수요를 맞추고 서비스 품질을 높였다.네트워크 개선을 통해 극심한 기상 악화로 예기치 못한 정전 사태가 일어난 지역에도 일정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에 도움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영국 다국적 제약회사인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에 따르면 2024년 5월부터 케냐 국내의 센터 7곳과 심장 검사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해당 연구를 위해 AI 헬스케어 솔루션 기술업체인 트리코그 헬스(Tricog Health)와 케냐 의료 전문가협회인 KCS(Kenya Cardiac Society)와 협업했다.환자 1만명의 심전도(ECG) 데이터를 분석해 크리코그의 AI ECG 알고리즘이 개개인의 심장병 리스크를 검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높이고자 한다.케냐 국내의 부족한 검진 방안과 높은 검사 비용으로 인해 질병을 이른 시기에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현재 센터 5곳에서 초기 연구에서 심장 질환 유병률은 15.5%로 조사됐다. 이 중 환자의 70%는 심혈관 질환, 10%는 심각한 심장 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에 따르면 미국 결제 서비스 기업인 마스터카드(Mastercard)와 디지털 결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국내의 결제 도입율과 국경간 송금 서비스의 도입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번 협업으로 사파리콤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음페사(M-PESA)를 사용하는 소상공인 63만6000명 이상이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음페사의 소상공인 네트워크와 마스터카드의 글로벌 결제 인프라시설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의 결제 서비스와 송금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