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 SPI"으로 검색하여,
6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26▲ 사전 예약에 돌입한 캐주얼 MMORPG ‘스피릿 테일즈(Spirit Tales)’[출처=컴투스홀딩스]컴투스홀딩스(대표 정철호)에 따르면 캐주얼 MMORPG ‘스피릿 테일즈(Spirit Tales)’ 사전 예약에 돌입했다. 아기자기한 그래픽과 캐주얼 한 게임성이 돋보이는 ‘스피릿 테일즈’는 자체 웹 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을 진행하고 있다.사전 예약 보상도 풍성하게 마련해 유저들의 관심을 끈다. 모든 사전 예약 참여 유저들에게 ‘활발한 코기 탈것’을 비롯해 정령 소환 재화 ‘정령의 씨앗’, ‘실버’ 등을 선물한다.‘카카오톡 채널 친구 추가 이벤트’와 ‘사전 예약 인증 이벤트’에서는 핵심 성장 재료인 ‘다이아’, ‘정령 과일’, ‘정령석’ 등을 얻을 수 있다.‘스피릿 테일즈’는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히어로즈 테일즈’의 핵심 개발진이 설립한 ‘이위 게임즈’가 개발했다.사악한 마족에 대항하는 인류 수호자와 정령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귀여운 캐릭터들과 독특한 전투 시스템이 매력이다.‘워리어’, ‘메이지’, ‘프리스트’, ‘레인저’, ‘어쌔신’ 등 총 5종의 직업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40여 종에 이르는 정령들은 다채로운 스킬로 전투를 돕는다.다양한 던전과 PvP, 소셜 콘텐츠 등으로 빠른 성장 쾌감과 경쟁의 재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모바일 기기 뿐만 아니라 크로스 플레이를 통해 PC에서도 쾌적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캐주얼 MMORPG ‘스피릿 테일즈’는 3월20일 출시를 앞두고 막바지 담금질이 한창이다. 상세한 게임 정보는 공식 카페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
▲ 미국 고용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빌딩 [출처=홈페이지]2025년 2월7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를 포함한다. 미국은 2024년 1월 신규 고용자는 14만3000명으로 전월 30만7000명 대비 대폭 감소했다.캐나다 정부는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산불을 모니터링하는 인공위성을 개발할 계획이다. 산불의 진행이나 발화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도 장착한다.아르헨티나는 세계 3위의 리튬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생산량 측면에서 세계 5위를 기록하고 있다. 리튬은 리튬이온배터리를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자원이다.◇ 미국 고용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2025년 1월 신규 고용자 14만3000명미국 고용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 따르면 2025년 1월 신규 고용자는 1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실업률은 4%로 하락했다.신규 일자리는 헬스케어가 4만400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소매는 3만4000명, 공공은 3만2000명 순으로 조사됐다.1월 시간당 급여는 전월 대비 0.5%, 전년 동월 대비 4.1% 각각 승승했다. 2024년 12월 신규 고용자는 30만7000명을 기록했다. ◇ 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 2025년 2월7일 산불을 모니터링하는 인공위성에 C$ 7200만 달러 투자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Ministry of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는 2025년 2월7일 산불을 모니터링하는 인공위성에 C$ 72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몬트리올 남부에 위치한 캐나다우주청에서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투자비는 WildFireSat라고 불리는 인공위성을 개발할 Spire Global Canada로 지출된다.산불의 접근하거나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가 장착된다. 이번에 개발할 인공위성은 우주에서 산불을 감시할 국내 최초의 위성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아르헨티나에 400만 톤(t)의 리튬 매장돼 세계 3위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에 400만 톤(t)의 리튬이 매장돼 세계 3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1위는 칠레, 2위는 오스트레일리아로 나타났다.칠레는 2023년 4만9000t의 리튬을 생산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칠레의 리튬 매장량은 930만t에 달하며 수십 개의 개발업체가 참여하고 있지만 생산업체는 2개에 불과하다.아르헨티나는 세계 3위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여전히 세계 5위 리튬 생산국이다. 2024년 기준 글로벌 리튬 생산량은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요가 확대되며 18% 증가했다.
-
▲ 아모레퍼시픽의 지속가능 경영 추진 전략 [출처=지속가능경영보고서]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영학자들은 본격적으로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른바 100년 기업에는 우수한 DNA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국가정보전략연구소는 2011년 '삼성문화 4.0 -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라는 책을 편찬했다. 2000년 이후 삼성그룹은 현대그룹, LG그룹, 대우그룹 등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급성장했다.엠아이앤뉴스(대표 최치환)가 2024년 12월부터 국내 선도기업의 기업문화를 연구하고 있는 것도 기업이 지속가능 성장하려면 기업문화를 정돈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아모레퍼시픽에 공식적으로 질문지를 보내 기업문화에 대한 자료를 요청해 받았다. 세부 질문과 답변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45년 창업 후 국내 최초·최고 성공 신화로 화장품업계 1위 자리매김1945년 9월 5일 창립한 아모레퍼시픽은 '아름다움과 건강으로 인류에 공헌하겠다'는 창업 정신을 바탕으로, ‘고객중심’의 행보를 이어오며 한국 뷰티 산업과 세계 속 K뷰티 발전을 이끌어왔다.'사람을 아름답게, 세상을 아름답게' 하겠다는 기업 소명은 아모레퍼시픽의 정체성과 가치를 정의하는 초석이며 모두가 가진 고유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겠다는 일념으로 소명을 지켜가고 있다. 이러한 소명 아래 자연에 대한 연구와 과학 기술을 통해 꾸준히 혁신을 이뤄왔으며 모든 고객이 '뉴 뷰티(New Beauty)'를 통해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면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 아모레퍼시픽의 역사를 간력하게 소개하면."1945년 해방을 계기로 창립한 아모레퍼시픽은 2025년 창사 80주년을 맞는다. 아모레퍼시픽의 뿌리는 1930년대에 윤독정 여사가 고향 개성에서 손수 만들어 팔던 동백 머릿기름에서 시작되었다.윤독정 여사는 투철한 장인정신과 정성스럽게 고른 자연 원료를 바탕으로 부엌에서 직접 동백기름을 만들어 판매했다. 훗날 아들인 창업자 장원(粧源) 서성환 선대 회장이 1945년 아모레퍼시픽을 설립하는 토대가 됐다.서성환 회장의 뒤를 이은 서경배 회장은 아모레퍼시픽을 아시아, 북미, 유럽으로 확장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 시켰다.- 제품의 개발 역사를 설명하면."창업 초창기부터 '고객중심'의 일환으로 1948년 최초의 브랜드 제품인 '메로디크림' 발매, 1954년 국내 최초 화장품 연구소 개설, 1958년 월간 미용 정보지 ‘화장계’ 창간, 1961년 미용상담실 개설, 1993년 서비스 품질 환경에 대한 ‘무한책임주의’ 선언 등을 실천했다. 또한 1971년 국내 최초의 메이크업 캠페인 '오 마이 러브(Oh My Love)' 전개, 1989년 세계 최초 녹차 화장품 '미로'를 출시했다.우리 고유의 약용 식물에 대한 깊은 연구를 통해 선보인 화장품 브랜드 ‘설화수’, 전 세계 여성들의 화장 문화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쿠션’이 대표적인 성공사례다.아모레퍼시픽은 '최초'와 '최고'의 혁신적인 제품 및 트렌드를 제시해왔으며 '근대 이후 한국의 화장문화사는 곧 아모레퍼시픽의 역사'라 할 정도로 한국에 새로운 미(美)의 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브랜드는. "현재는 심혈을 기울여 육성한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뷰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20여 개의 브랜드를 운영 중이다.‘라이프(Life)’, ‘디지털(Digital)’, ‘공감(Empathy)’을 핵심 축으로 새 시대 고객에 맞는 아름다움을 발굴하는 ‘뉴 뷰티(New Beauty)’ 비전 달성을 추진하고 있다.‘2030 지속가능경영 5대 약속(2030 A MORE Beautiful Promise)’을 이행하는 등 고객과 인류를 위한 도전에 매진하고 있다."- 현 서경배 회장의 경영이력은."1997년 ㈜태평양 대표이사 취임 이래 ‘미’와 ‘건강’이라는 기업 가치를 중심으로 회사의 역량을 강화했다. 탁월한 경영능력과 남다른 리더십으로 아모레퍼시픽을 대한민국 대표 뷰티 기업을 넘어 세계적인 글로벌 뷰티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서 회장은 아모레퍼시픽만이 줄 수 있는 새로운 아름다움의 가치가 고객의 삶을 더 풍요롭게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객 중심 사고와 적극적인 투자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 개발 노력으로 전 세계 고객에게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아름다움을 선보이고자 노력한다.- 서경배 회장의 경영철학은."모든 임직원과 같이 사람과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고자 하는 원대한 소명을 실현하고 전 세계 고객으로부터 존경받는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변함없이 정진하는 것이다.- 창업자인 서성환 회장의 경영철학은."장원(粧源) 서성환 선대회장은 가내수공업으로 제조하던 가업을 이어받아 이 땅에 아름다움과 건강의 역사를 써 내려왔다.1945년 해방을 계기로 태평양화학공업사를 창립하며 ‘기술과 정성으로 아름다움과 건강을 창조하여 인류에 공헌한다’는 한결같은 꿈으로 기업을 이끌어 왔다.날림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기승하던 시절에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처음으로 상표를 내건 화장품을 만들었고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에 비추어 보면 혁신에 가까웠던 우리나라 최초의 화장품 연구실을 세웠다.한발 앞선 도전정신으로 그 누구보다 좋은 제품을 만들어 태평양 너머 세상을 만나리라는 큰 뜻을 품고 대한민국 화장품 산업을 선도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창업정신은."아모레퍼시픽은 ‘아름다움과 건강으로 인류에 공헌하겠다’는 창업 정신을 품고 ‘사람을 아름답게,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소명으로 미의 여정을 한 걸음 한 걸음 내딛고 있다.브랜드, 채널, 국가별로 하는 일은 모두 다르지만, 우리의 존재 이유인 ‘소명’, 우리가 추구하는 방향인 ‘비전’ 그리고 우리의 판단 기준인 ‘가치’를 공유함으로써 세상과의 약속을 지켜 나가고자 한다.◇ 이해관계자와 비전을 공유하며 ESG 경영 실천 노력... '희망가게'로 여성 창업 지원기업문화는 기업의 비전(Vision)부터 분석해야 파악이 가능하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글로벌 기업은 인류와 사회 가치를 창달하기 위해 사업을 시작한다.아모레퍼시픽은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꾸미고자 하는 욕망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당연하게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경영철학의 근간에 놓여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비전(Vision)은."비전은 ‘Live Your New Beauty’로 누구나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실현하는 삶, 아모레퍼시픽이 바라는 뉴 뷰티다.고객 한 사람 한 사람이 뉴 뷰티로 영감받아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고객의 삶으로 확장한 뷰티를 추구하며 몸과 마음의 아름다움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는다.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개개인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안한다.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더 많은 이해관계자와 공감하며 아모레퍼시픽의 비전이 모두의 미래가 되는 기업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인식은."아름다움이 사람과 세상에 끼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생각하며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지속가능하고 조화로운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자 노력하며 이를 통해 전 이해관계자 그룹과 함께 성장하고 다양성과 포용성의 가치를 확산시키고자 한다.경제적 자립이 필요한 계층 대상 경제 역량 강화 및 시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1000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2030 A MORE Beautiful Promise’ 목표 아래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추진해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확산시키고 있다.- 주요 고객인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은."아모레퍼시픽은 ‘여성에게 받은 사랑을 여성에게 돌려준다’는 기업의 오래된 철학 정신을 실현하고자 ‘희망가게’ 활동을 통해 한부모 여성가장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희망가게를 통해 여성 창업주의 월평균 소득 상승과 사회적 지지 체계 구축, 정서 안정 및 가족 간 관계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임직원의 기부금과 ‘매칭Matching’하여 회사도 함께 ‘기부(Gift)’하는 ‘매칭 기프트(Matching Gift)‘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매칭 기프트는 아모레퍼시픽의 임직원 참여 나눔활동 중 하나로 18년째 이어지고 있다."- 최근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이 화두로 부상했는데. "공급망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역량 강화, 리스크 저감 컨설팅 등을 지원함으로써 공급망에 대한 환경 및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한다.협력사 계약 체결 시 국가, 산업 등의 리스크를 사전 고려하고 재무, 품질을 비롯해 인권, 안전, 환경 등의 지속가능경영 지표들에 대한 리스크를 식별하여 신규 및 거래 유지를 심사한다.또한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력 및 자사와 거래 규모, 필수 포장재 또는 원료의 개발 및 공급 여부, 대체 불가능성, 협력사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핵심 협력사 등을 선정한다.2023년 구매 현황 기준으로 392개 협력사 중 핵심 협력사는 총 45개 사이며 그중에 포장재 관련 협력사는 21개 사, 원료 관련 협력사는 15개 사,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협력사는 9개 사다."◇ 신성장 카테고리 늘리며 제품 다양화 추진... 국가별 맞춤 마케팅 전략으로 해외 시장 적극 개척아모레퍼시픽은 유럽 명품업체가 지배하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새로운 신화를 쓰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급성장한 중국 시장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며 전문가들을 놀라게 만들었다.이제는 중국을 넘어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중동, 아프리카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개별 시장 수요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 개발에도 매진 중이다.- 아모레퍼시픽의 사업(Business) 전략은. "브랜드별 핵심 카테고리 및 대표 제품 육성을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했고 오프라인 채널의 질적인 정예화와 더불어 온라인, 멀티브랜드숍 채널 성장에 집중하며 사업 체질 개선을 도모했다.또한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 실행을 통해 해외 지역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글로벌 성장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주요 브랜드의 대표 제품 경쟁력 확보와 핵심 채널 대응력 강화에 주력했다. 대표 브랜드 설화수는 ‘윤조에센스’ 6세대, ‘진설 크림’을 리뉴얼 출시하고 브랜드 캠페인을 전개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주요 성과(Performance)는. "국내 주요 백화점 매장 리뉴얼 등 차별화된 오프라인 고객 경험 제공을 통해 럭셔리 고기능성 브랜드 입지를 강화했다.라네즈는 ‘퍼펙트 리뉴 3X 시그니처 세럼’ 출시, ‘네오 쿠션’ 리뉴얼 등 핵심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국내 멀티브랜드숍 채널에서 견고한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헤라는 ‘글로우 래스팅 파운데이션’ 출시 등 메이크업 카테고리 중심 판매 호조가 지속되며 전체 매출이 확대됐다.에스트라는 ‘더마 UV 365’ 라인, ‘리제덤 365 모공 탄력 캡슐 세럼’ 등 선케어, 슬로에이징 카테고리 다변화 및 핵심 제품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하며 올리브영 더마 카테고리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신성장 카테고리도 늘리고 있는데."이너 뷰티, 홈 에스테틱 브랜드, 남성 화장품 등 신성장 카테고리도 육성 중이다. 바이탈뷰티는 대표 제품 ‘슈퍼콜라겐’ 리뉴얼 및 ‘메타그린’ 리미티드 에디션 출시 등 브랜드 매력도를 제고했다.홈 에스테틱 브랜드 홀리추얼은 뉴커머스 채널의 핵심 브랜드로 육성하며 신수요 창출을 기반으로 매출이 고성장했다. 남성 브랜드 비레디와 오딧세이 또한 남성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매출이 증가했다. 미쟝센은 살롱 본딩 기술을 탑재한 근본 손상 케어 라인 ‘이너 플렉스’ 출시, 롱테이크는 ‘오드퍼퓸’, ‘솔리드퍼퓸’을 출시하며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경쟁력을 강화했다.-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노력은."해외 지역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기 위한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 실행에 집중했다. 미주, (중동 및 동부아프리카(EMEA) 등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집중 성장 지역 내 긴밀한 유통 파트너십 구축, 넥스트 글로벌 브랜드 육성 등을 통해 글로벌 성장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해외시장에서 성과는."미주 지역은 라네즈, 설화수, 이니스프리 등 주요 브랜드의 지속적인 매출 성장에 힘입어 전체 매출이 많이 확대됐다.특히 라네즈는 ‘립 슬리핑 마스크’, ‘립 글로이 밤’ 등 립 카테고리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며 북미 전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설화수, 이니스프리 또한 멀티브랜드숍 채널 접점 확대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로 매출이 견고하게 성장하였다. EMEA 지역은 모든 브랜드가 매출 성장했다."- 유럽과 중동에서 특이한 성과는."라네즈는 영국, 중동에 신규 진출하며 멀티브랜드숍 채널에서 매출 고성장을 지속했고 유럽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마케팅을 강화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하는 등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아시아 시장에서 핵심 성과는."중국을 제외한 기타 아시아는 일본이 전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일본은 라네즈와 이니스프리의 견고한 매출 성장 지속과 더불어 헤라, 에스트라가 신규 진출하며 성장 모멘텀을 확대했다. 동남아시아 경제공동체인 아세안(ASEAN) 시장에서는 라네즈가 핵심 제품 판매 호조로 매출이 성장했다."◇ 차별하지 않는 인사정책으로 협업 강화... MZ 세대를 포용하기 위해 몰입도 진단 실시우리나라 기업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해외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전력을 다했다. 국가 이미지의 개선도 긍정적인 기제로 작용했다.글로벌 기업은 인종, 국적, 언어, 문화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재를 채용해 포용하며 성장한다. 아모레퍼시픽도 글로벌 법인을 확장하며 새로운 조직 운영 철학을 창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아모레퍼시픽의 조직(Organization) 운영 철학은. "다양성 및 포용성 가치를 존중하며 서로 다른 배경의 구성원이 자유로운 환경에서 생각을 주고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문화를 지향한다.이에 다양성·포용성 정책을 수립하여 내부적으로 다양성과 포용성이 높은 조직문화를 구축했으며 외부적으로 포용적 마케팅 등 다양성을 고려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다양성 및 포용성 정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다양성 및 포용성 정책은 △구성원으로서 갖는 고유한 모든 특성은 존중받을 권리가 있으며 이러한 개인의 차이를 서로 인정하고 존중한다 △구성원의 고용, 업무 수행, 승진 등에 있어서 성별(임신 여부 포함), 국적, 지역, 인종, 종교, 장애, 학벌, 성적 지향, 성 정체성 또는 표현 등을 이유로 차별하거나 법규에 의해 보호되는 소수자를 차별하는 행위를 금지한다 △구성원들이 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으며 다양하고 포용적인 방식으로 협업하는 것을 장려한다 △포용적 마케팅 진행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시, 다양하고 포용적인 아름다움의 가치를 확산한다 5가지 내용이다."- MZ(밀레니엄+Z) 세대를 포용하기 위한 정책은."구성원이 몰입해 일하기 좋은 문화를 구축하기 위하여 매년 몰입도 진단(Engagement Survey)을 시행한다. 2023년 진단에서 MZ세대가 생각하는 회사와 일에 대한 가치관 설문 문항을 반영했다.변화관리의 첫 단계인 현황 파악이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뤄지도록 설계했다. 몰입도 진단은 아모레퍼시픽그룹 글로벌 전체 법인에서 2개월 이상 근무한 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시행하며 진단 응답률은 78.0%다."-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새로운 비즈니스 주기가 시작되는 시점을 중심으로 연 1회 팀 아모레 컨퍼런스를 진행해 전사의 한 해 전략 방향과 사업 내용을 공유하고 논의하고 있다.매월 구성원의 참여로 함께 만들어가는 온라인 라이브 방송 아모레 블루밍을 진행하고 있다. 2023년 신규 오픈한 사내 익명 게시판 팀 아모레 보드를 통해 회사와 구성원을 이어주는 소통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ABC Spirit’을 선포해 기업문화 혁신 노력... 신뢰·존중 기반으로 행복한 근무환경 제공 노력기업문화 전문가는 모든 사람이 고유한 DNA를 갖고 있듯이 기업도 창업과 성장과정에서 형성된 DNA가 있지만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고 주장한다.일본이나 유럽에는 100년 이상 생존하는 기업이 많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기업이 3대를 넘지 못한다. 2025년 올해 창사 80주년을 맞이한 화장품 업계의 선도기업인 아모레퍼시픽만의 기업문화는 다음과 같다.- 아모레퍼시픽만의 기업문화 구축 전략은. "2020년 변화의 시기를 맞이해 전 세계 임직원들이 함께 실천할 새 행동 원칙 ‘ABC Spirit’을 선포했다. 새로운 행동 원칙은 △고객을 중심으로 행동한다(Customer first) △최초, 최고를 위해 끊임없이 시도한다(Be the first and the best) △열린 마음으로 협업한다(Collaborate with an open mind)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한다(Respect difference) △스스로 당당하게 일한다(Act with integrity) 5가지 내용이다. ABC Spirit 선포 이후 다양한 프로그램과 구성원 주도의 참여 과정을 통해 가치 공감대 형성 및 실천력 제고 활동을 지속해 오고 있다. ABC Spirit을 실천한 동료를 칭찬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사례 도출에 집중했다."- 글로벌 법인에 대한 기업문화 확산 노력은."ABC Spirit에 대한 공감대를 기반으로 각 법인별로 적합한 ‘일하는 문화’를 정착시켜 나가고 있다. 조직문화 진단에서부터 개선 실행, 점검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법인장 주도로 운영한다.법인장이 글로벌 법인 조직문화의 롤 모델(Role Model)로 자리매김했다. 나아가 법인별 몰입도 진단 이후 진단 결과에 따른 문화 개선 핵심과제를 도출했고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전략과 연계된 문화의 개선방향을 선포하는 Culture Talk 세션을 진행했다.이후 개선 과제 연중 실행 및 본사와 함께하는 정기 Culture Talk을 통해 과제 진행을 포함한 법인의 비즈니스/문화 개선 현황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직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은."구성원들이 사업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직무 전문 역량 개발 교육인 ‘디지털·마케팅·세일즈·글로벌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요를 예측한 후 그에 따른 교육을 제공하며, 커리어 개발을 위한 사전 준비 차원의 강화도 함께 지원하고 있다.동시에 조직별 사업 전략 및 성장 니즈 분석 결과에 따른 성장 솔루션 제공 등 보다 특화된 학습 니즈에도 대응하고 있다. 디지털 역량 개발 강화, 다양한 학습 플랫폼 운영, 공정한 성과 평가 제도 등을 운영한다."- 마지막으로 아모레퍼시픽만의 기업문화 강점은."직장 내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행복한 근무 환경을 구성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외 다양한 배경의 인재를 차별 없이 채용한다.구성원 역량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성장 단계에 따른 맞춤 교육을 제공한다. 성과에 따른 공정한 평가 및 보상을 실시하며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다양한 복지 지원을 통해 구성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계속 -
-
▲ 파키스탄 펄-콘티넨탈 호텔&리조트(Pearl-Continental Hotels & Resorts) 로고[출처=펄-콘티넨탈 호스피탈리티(Pearl-Continental Hospitality) 홈페이지]2024년 12월12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타타모터스(Tata Motors)는 투입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자사의 승용차와 상용차의 모델에 따라 가격을 최대 2%·3% 인상한다.파키스탄 펄-콘티넨탈 호스피탈리티(Pearl-Continental Hospitality)는 하이데라바드시의 첫 번째 4성급 브랜드 호텔을 위해 글로벌 팰리스와 협력한다.◇ 인도 타타모터스(Tata Motors), 2025년부터 상용차 가격 최대 2% 인상인도 자동차업체 타타모터스(Tata Motors) 2025년부터 자사 상용차의 가격을 최대 2% 인상한다. 투입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을 조정하기로 결정한 것이다.전기자동차(EV)를 포함한 승용차의 가격은 최대 3%까지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자동차 인도, 마루티 스즈키 인도(MSIL), 마힌드라&마힌드라(Mahindra & Mahindra), JSW MG 모터(JSW MG Motor) 또한 가격을 올렸다.아우디, 메르세데츠-벤츠, BMW 등의 고급차 시장 또한 모델 전체를 대상으로 3%의 가격 인상을 발표한 바 있다.◇ 파키스탄 펄-콘티넨탈 호스피탈리티(Pearl-Continental Hospitality), 글로벌 팰리스(Global Palace)와 하이데라바드 첫번째 4성급 브랜드 호텔 설립파키스탄 하슈그룹(Hashoo Group)의 자회사 펄-콘티넨탈 호스피탈리티(Pearl-Continental Hospitality)은 글로벌 팰리스(Global Palac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하이데라바드의 첫 번째 4성급 브랜드 호텔 'PC 레거시 하이데라바드(PC Legacy Hyderabad)'의 설립을 목표로 한다.PC 레거시 하이데라바드는 하이데라바드 우회도로와 인접해 있어 주요 도시 명소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최대 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연회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2024-11-20▲ 20일 서울시 종로구 해울이해상풍력발전 사무실에서 열린 ‘해울이3 해상풍력 협력의향서’ 체결식에서 구본규 LS전선 대표이사(왼쪽)와 조나단 스핑크(Jonathan Spink) 해울이해상풍력발전 대표이사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출처=LS전선]LS전선(대표이사 구본규)에 따르면 덴마크의 그린에너지 투자개발사 CIP사社와 ‘해울이3 해상풍력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의향서는 첫 번째로 추진되는 해울이 해상풍력 3 프로젝트와 관련된다.해울이 해상풍력 1, 2, 3은 총 1.5기가와트(GW) 규모의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로 CIP가 울산광역시 연안에서 약 80킬로미터(km) 떨어진 해상에 2030년까지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해울이해상풍력발전 사무실에서 열린 ‘해울이3 해상풍력 협력의향서’ 체결식에 구본규 LS전선 대표이사(왼쪽)와 조나단 스핑크(Jonathan Spink) 해울이해상풍력발전 대표이사가 참석했다.LS전선이 울산 앞바다에서 조성되는 부유식 해상풍력단지에 해저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해 글로벌 투자개발사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부유식 해상풍력은 터빈을 해저에 고정하지 않고 부유물 위에 설치해 깊은 바다에서도 발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해안가 설치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LS전선은 국내 최초로 부유식용 다이내믹 해저 케이블을 개발하고 혹독한 해양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확보하며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또한 자회사 LS마린솔루션과 협력을 통해 신규 선박 취득 등 해상풍력 밸류체인을 강화하며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정부는 2026년까지 총 2.5~3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입찰 계획을 발표했다. 2024년 10월 풍력고정가격 입찰 공고를 통해 처음으로 500MW 내외의 물량을 배정했다.LS전선은 이에 맞춰 2024년 11월 초 노르웨이 에퀴노르社와 ‘반딧불이 부유식 해상풍력 MOU’를 체결하는 등 글로벌 개발사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해울이해상풍력발전은 글로벌 에너지 투자개발사인 CIP의 울산 해상풍력 프로젝트 법인으로 총 1.5GW 규모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3개의 발전사업 허가를 모두 획득하고 사업 개발을 추진 중이다.조나단 스핑크 (Jonathan Spink) 해울이해상풍력발전 대표는 “전 세계 해저케이블 산업에서 우수한 경험과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는 LS전선과 해외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협력하게 된 것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한국의 해상풍력 공급망 기업들과 파트너쉽을 강화해 산업 경쟁력과 협력 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구본규 LS전선 대표는 “LS전선의 기술력은 한국 부유식 해상풍력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 선점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4-11-13▲ ‘인코스메틱스 아시아 2024’에 참가한 대봉엘에스 부스[출처=대봉엘에스]화장품소재 및 원료의약품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에 따르면 ‘인코스메틱 아시아 2024’에서 혁신적인 화장품 원료를 선보여 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인코스메틱 아시아 2024’는 화장품 원료 분야의 최신 트렌드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화장품원료 전시회다.대봉엘에스는 K-Beauty Inspired Ingredients의 핵심 뷰티 키워드로 △ Upcycling △ Slow Aging △ Fermentation △ DDS △ Repair & Protect를 선정했다.대봉엘에스는 식품으로 가공된 후 버려지는 고흥 유자씨를 업사이클링해 보습 안티에이징 오일을 개발했다. 인체 친화적 효소 공법을 통해 천연 Ceramide NP와 유사한 구조의 Citron Barrier Ceramide를 소개해 화장품 원료 기술력을 입증했다.이 제품은 뛰어난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와 함께 Ceramide NP보다 우수한 용해도를 자랑한다. 혁신 존(Innovation Zone)에 소개되는 등 업계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이번 전시회에서는 대봉엘에스의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탄생한 한국적인 ‘춘천 옥 파우더’가 유럽 글로벌 뷰티 브랜드 럭셔리 라인에 적용되는 쾌거를 달성했다.Real Kombu Brewing™ 공법으로 개발된 발효 제품이 글로벌 뷰티 브랜드와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됐다.
-
▲ 말레이시아 프로톤(Proton)은 자사의 첫 번째 국산 전기자동차(EV) e.MAS 7의 가격을 12만 링깃으로 견적을 냈다.2024년 10월28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프로톤이 선보인 국산 전기자동차(EV) e.MAS는 프라임과 프리미엄 2가지 버전을 예약을 받고 있다.일본 마루베니와 도쿄전력의 합작투자사 TeaM 에너지 다음으로 필리핀 수알 파워가 수알 석탄화력발전소의 소유권을 얻었다.◇ 말레이시아 프로톤(Proton), 첫 번째 국산 전기자동차(EV) e.MAS 7 가격은 12만 링깃말레이시아 자동차 제조업체 프로톤(Proton)는 첫 번째 국산 전기자동차(EV) e.MAS 7의 견적을 12만 링깃으로 냈다.이는 비야디(BYD), 테슬라, BMW 등의 대표적인 EV 브랜드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테슬라 모델Y 19만1000링깃 △테슬라 모델3 18만1000링깃 △BYD 오토3 14만9800링깃 △BYD 돌핀 1만 링깃 등이다.e.MAS 7은 프라임과 프리미엄 버전이 존재한다. 전자의 배터리 용량은 49.52킬로와트시(kWh), 후자는 60.22kWh로 차이가 있다. 지리(Geely)의 이지스 쇼트 블레이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했다.◇ 필리핀 수알 파워(SPI), 1200메가와트(MW) 상당의 수알 석탄 화력 발전소 인수필리핀 산 미구엘 글로벌 파워(SMGP)의 계열사 수알 파워(Sual Power Inc., SPI)는 루손 섬 팡가시난주에 위치한 총용량 1200메가와트(MW) 수알 석탄화력발전소의 소유권을 얻었다.이전 소유자였던 TeaM 에너지(TeaM Energy Corporation)는 정부와의 계약이 종료됨으로써 2024년 10월25일 운영을 중단했다.설비 용량 기준으로 전국 최대 규모의 수알 석탄화력발전소는 1999년부터 가동돼 루손 지역의 주택, 공장, 기업, 학교, 병원 등에 원활한 에너지를 공급해왔다.TeaM 에너지에 따르면 해당 발전소를 통해 수알시 지방자치는 1994년 5등급에서 2024년 1등급까지 개선됐다. 참고로 TeaM 에너지는 일본 마루베니(丸紅)와 도쿄전력(東京電力)의 합작 투자사다.
-
2024-10-25▲ 미국 저가항공사인 스프리트 에어라인(Spirit Airlines)의 여객기 [출처=홈페이지]2024년 10월25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저가항공사인 스피릿 에어라인(Spirit Airlines)은 비용 절감을 위해 항공기 매각 및 인력 축소를 단행할 방침이다.미국 의료기업인 유나이트헬스(UnitedHealth)는 랜섬웨어 공격으로 1억 명에 달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건강 데이터가 피해를 입었다. 캐나다 텍 리소스(Teck Resources Ltd.)는 2024년 3분기 구리생산량이 줄어들며 대규모 손실을 기록했다. 자영업연맹(Canadian Federation of Independent Business)은 범죄가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한다.브라질 베일(Vale)은 2024년 3분기 순이익이 US$ 2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하락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광물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미국 스피릿 에어라인(Spirit Airlines), 2025년부터 US$ 8000만 달러 규모의 비용을 절감할 계획미국 저가항공사인 스피릿 에어라인(Spirit Airlines)에 따르면 2025년부터 US$ 8000만 달러 규모의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다.23대의 에에버스 항공기를 매각하고 직원 축소, 항공노선의 조정 등을 추진한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적자가 누적되며 경영이 어려워졌다.2024년 3월 제트블루 에어웨이(JetBlue Airways Corp.)와 합병이 좌절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대형 항공사와 경쟁하려면 규모를 키워야 하지만 감독기관으로부터 허락을 받지 못했다.미국 종합의료 서비스 기업인 유나이트헬스(UnitedHealth)는 랜섬웨어 공격으로 1억 명에 달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건강 데이터가 유출됐다고 밝혔다.유출된 정보는 1차 혹은 2차 정보, 건강 계획/정책, 보험회사, 회원/그룹 ID 번호 등 건강보험 정보와 건강정보를 포함한다. 건강정보는 의료기록번호, 공급자, 진단, 테스트 결과, 이미지, 치료와 진료 등이다.2024년 5월 최고경영자(CEO)인 앤드루 위티가 의회에서 출석해 모든 미국민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건강 데이터가 공격에 노출됐다고 주장했다.◇ 캐나다 텍 리소스(Teck Resources Ltd.), 2024년 3분기 C$ 7억4800만 달러의 손실 기록캐나다 밴쿠버 기반의 광업회사인 텍 리소스(Teck Resources Ltd.)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C$ 7억48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2024년 구리생산량은 42만 톤(t)에서 45만5000t으로 전망된다. 2023년 43만5000t에서 50만t과 비교하면 소폭 줄어든 수치다. 이전에는 2024년 생산량을 46만5000t에서 54만t으로 예상했다.칠레에 위치한 큐브라다 블랑카(Quebrada Blanca) 광산의 2025년 구리 생산량은 24만t에서 28만t으로 추정된다. 이전에 목표한 28만t에서 31만t보다 축소됐다.큐르라다 블랑카 광산은 지기술적 도전과 장비 관련 이슈로 정상 가동이 어렵다. 텍 리소스는 제강용 석탄, 구리, 아연, 에너지 부문의 사업을 영위하며 미국 뉴욕거래소에 상장돼 있다. 캐나다 자영업연맹(Canadian Federation of Independent Business)은 2024년 소규모 사업에 직접 영향을 미친 범죄가 57%로 증가했다고 밝혔다.2023년 범죄 수치와 비교하면 10%(퍼센트)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자영업자의 절반 이상은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 방식을 바꾸고 있다.자영업자의 3분의 2는 보안 카메라, 창문 보호봉 등 보안장치를 추가하고 있다. 또한 자영업자 대부분은 누가 자신들을 도아줄지 몰라 범죄를 경찰에 신고조차 하지 않는다.◇ 브라질 베일(Vale), 2024년 3분기 순이익은 US$ 2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하락브라질 광산업체인 베일(Vale)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순이익은 US$ 2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하락했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의 전망치인 16억8000만 달러보다 많았다.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철광석 판매량은 1만30000톤(t)이 늘어났다. 펠렛 판매량은 증가한 생산량과 강한 수요로 18% 확대됐다.2024년 3분기 순매출액은 95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다. 2024년 9월30일 기준 순부채액은 165억 달러로 전분기 대비 18억 달러 증가했다.
-
▲ 튀르키예 재무부 세무감사원(VDK)에서 적발한 미등록 시계의 브랜드와 모델 수는 944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처=튀르키예 국영통신사인 AA(Anadolu Agency) 엑스(X) 계정] 2024년 10월2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튀르키예의 통계와 금융 등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퍼스트 아부다비 은행(FAB)에 따르면 2024년 9월까지 매출은 AED 239억 디르함(US$ 65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16% 증가했다.카자흐스탄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카스피.kz(Kaspi.kz)에 따르면 2024년 10월 튀르키예 전자상거래 기업인 디마켓(D-Market)의 지분 65.41%를 US$ 11억3000만달러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아랍에미리트 퍼스트 아부다비 은행(FAB), 2024년 9월까지 매출 AED 239억 디르함(US$ 65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아랍에미리트 상업은행인 퍼스트 아부다비 은행(FAB)에 따르면 2024년 9월까지 매출은 AED 239억 디르함(US$ 65억1000만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2024년 9월까지 세전이익(PBT)는 153억 디르함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15% 상승했다. 그룹 지점 내 고객 활동이 성장하며 실적 강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9월까지 순이익은 129억 디르함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성장했다. 동기간 전체 자산 규모는 1조2000억 디르함으로 집계됐다.◇ 튀르키예 세무감사원(VDK), 2023-2024 회계연도 미등록 시계 거래 규모 40억 리라로 집계튀르키예 재무부 세무감사원(VDK)에 따르면 2023-2024 회계연도 미등록 시계 거래 규모는 40억 리라로 집계됐다.재무부는 미등록 사업체 조사를 강화하며 동일한 바이어들이 미등록된 고급 시계를 공급하는 것을 조사하게 됐다.진품과 가품을 포함한 수천 개의 시계가 중고 거래나 판매 사실을 미등록하는 방식 등으로 세수를 회피했다. 판매된 시계 브랜드와 모델 수는 944개에 달했다.미등록 판매자들은 전자상거래를 폭넓게 활용해 온라인 플랫폼과 소셜미디어 플랫폼, 웹사이트를 통해 거래했다.카자흐스탄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카스피.kz(Kaspi.kz)에 따르면 2024년 10월 튀르키예 전자상거래 기업인 디마켓(D-Market)의 지분 65.41%를 US$ 11억300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디마켓이 운영하는 이스탄불 기반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헵시부라다(Hepsiburada)의 지분을 인수하는 것이다. 인수 과정은 2025년 상반기에 완료될 예정이다. 헵시부라다의 시장 가치는 7억700만 달러로 조사됐다.
-
2024년 10월7일부터 시작된 국회 국정감사에서 농수산물의 무역적자를 어떻게 해소해 식량안보를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지적이 잇따랐다. 특히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등이 주요 수입국이다.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공기업의 최대 약점인 거버넌스는 악화 중... 요식행위라 생각하면 윤리경영처럼 실패 불가피 국정연이 2022년 공기업 ESG 1차 평가를 진행할 때 공사는 제외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미션과 사업구조가 유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하지만 2022년 기준 ESG 관련 주요 지표를 평가해볼 가치는 충분하다고 판단해 2024년 2차 평가결과와 비교했다. 간략한 내역은 다음과 같다.▲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거버넌스는 aT와 마찬가지로 ESG 헌장을 제정하지 않았고 ESG위원회는 구성해 운영 중이다. 사외이사는 2022년 7명에서 2024년 5명으로 오히려 줄어들어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보여진다.여성직원에 대한 배려도 부족하고 여성임원은 0명으로 변화가 없다. 사회 전반에 걸쳐 양성평등이 주류 흐름으로 정착되는 흐름과는 배치된다. 종합청렴도 평가 관련 자료는 없었다.ESG 경영 전반에 걸쳐 외부 전문기관의 자문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본질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기업에서 윤리경영이 실패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ESG를 경영혁신의 도구(tool)로 보는 것이 아니라 형식적인 유행으로 보는 것이다. 최고경영자(CEO)는 낙하산이 불가피하다면 최소한 주요 경영진은 전문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사회는 무기계약직의 연봉 및 기부금액에 대한 정보도 없었으며 육아휴직사용자는 늘어났다. 특히 사회봉사활동이나 기부금액은 공사 차원에서 홍보 수단임에도 공개하지 않았다는 것은 부실하다는 방증이다.환경은 사업장 폐기물 발생령은 줄어들고 있으나 녹색제품 구매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공사가 서울시 산하 공기업으로 관리감독이 부실하다고 볼 수 있다.◇ ESG 경영 표명에도 ESG 헌장 부재... 2023년 부채 1971억 원으로 부채비율 20.24%2023년 4월 공사는 창립 39주년을 맞아 ESG 경영 선포식을 개최했다. ESG 경영 선언문 공표와 함께 ESG 경영 전략을 발표했다.ESG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다해 유통인을 포함한 도매시장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확장형 ESG 경영체계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홈페이지에 ESG 경영 헌장은 부재했다.2022년 11월 공사는 ESG 경영 비전을 ‘이해관계자와 연대하여 지속가능한 도매시장을 만들어가는 열린 공기업’으로 밝혔다.ESG 추진 방향은 ‘환경·사회적 책임경영과 투명경영으로 ESG 경영 가치 실천’으로 정했다. 홈페이지에 ESG 전략 방향과 16대 전략과제를 밝혔다.지속가능경영 중장기 계획은 ‘지속가능경영 구현’ 전략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2030 경영 목표의 비전인 ‘공영도매시장 경쟁력 확보와 활성화’를 달성하고자 한다. 공사는 2009년 7월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에 가입하며 지속가능경영을 시작했다.ESG 경영 추진체계로는 ESG 위원회(위원장)를 중심으로 △ESG 경영실무TF(팀장) △ESG 경영지원단(단장)으로 구성됐다. ESG 위원회는 이사위원 3명, 내무위원 2명, 외부위원 5명으로 운영된다. 여성 임원은 없었다.연 2회(반기별) ESG 경영 성과를 측정해 전 부서의 피드백을 받는다. 이후 ESG 실무TF에서 성과를 공유하고 개선안을 도출하는 체계로 운영된다.2023년 7월 공사는 가락시장의 9개 도매시장법인과 함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ESG 지수 관리를 새롭게 추진한다고 밝혔다. 분기별 도매시장법인 실적을 관리하고 기준년도 대비 연간 가락시장 도매시장법인 ESG 지수를 산출할 방침이다.측정지수는 △E(환경경영) 전기사용량, 거래물량 대비 쓰레기 배출량 △S(사회적 책임) 위탁수수료 대비 각종 장려금 등 지급액 △G(지배구조) 공정거래 위해 행위 발생 건수로 각각 정했다.ESG 경영 전략체계와 연계해 도매시장법인과 공동 노력이 필요한 과제 위주로 ESG 지표를 구성 및 관리해 범 도매시장 ESG 경영체계를 정립하고자 한다.2023년 자본 총계는 9736억 원으로 2021년 9628억 원과 비교해 1.12% 증가했다. 2023년 부채 총계는 1971억 원으로 2021년 1473억 원과 비교해 33.73% 증가했다. 2023년 부채비율은 20.244%로 2021년 15.299%와 비교해 상승했다.2023년 매출액은 926억 원으로 2021년 792억 원과 비교해 16.92%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은 65억 원으로 2021년 21억 원과 비교해 201.10% 급증했다.2023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30년이 소요된다. 당기순이익을 큰 폭으로 개선했음에도 부채 감축에 집중해야 한다. ◇ SPICE 모델로 이해관계자별 전략 수립했지만 협력사만 챙겨... 2032년까지 여성직원 비율 35% 목표ESG 사회 전략방향은 ‘사회적 가치 실현’으로 공동체·안전·인권 등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자 한다.주요 전략은 △전략적 사회공헌 사업 확대 △동반성장 상생 생태계 조성 △안전한 일터에서 안심 먹거리 공급 △사람 중심의 인권 존중 일터 조성으로 정했다.공사는 ESG 기반 이해관계자별 분류 및 맞춤형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SPICE 모델로 이해관계자를 분류했다. SPICE 모델은 △지역사회(S) △협력사(P) △유관기관(I) △시장이용자(C) △시장종사자(E)로 각각 분류된다. 각 이해관계자에 따른 소통전략과 소통채널, 협력방향을 구축했다고 강조했다.2024년 6월 공사와 유통인 합동으로 가락시장 여름철 화재 예방 및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진행했다. 여름철 냉방기기 안전 사용 및 에너지 절약 홍보 등 유통인의 안전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한다.2023년 6월 기술봉사단 활동 지역을 서울시 송파구에서 강동구 등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ESG 경영 강화와 지역사회 나눔 확산을 목적으로 한다.기술봉사 업무협약을 통해 사회복지기관에서 선정된 소외계층과 취약가구 정보를 서울시가 공사에 제공하면 공사에서 기술봉사를 진행한다.공사는 중장기 여성 관리자 비율을 확대해 체계적 여성인력 양성을 목표로 정했다. 여성 관리자 비율을 관리자 정원 104명 대비 20.2%까지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2032년까지 여성 직원 127명(35%) 달성을 목표로 정했다. 2022년 12월 공사 최초로 여성 팀장을 임명했다. 여전히 양성평등은 머나먼 길로 분발을 촉구한다.2022년 노사합의를 통해 남직원의 육아휴직 기간을 1년에서 3년으로 확대했다. 근로조건 개선 중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강화를 목적으로 2023년 2월부터 인사규정에 반영됐다.부모 모두 육아에 참여하는 직장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남녀 구분 없이 육아휴직 3년을 시행한다. 2023년 육아휴직 사용자는 15명으로 2021년 10명에서 증가했다.공사는 노사관계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다양한 교육 및 연수에 참여하고 있다. ESG 교육 및 교재는 부재했다. ESG 헌장을 제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ESG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는 어렵다.◇ 2023년 시장 온실가스 배출량 6만tCO2... 농산부산물 활용해 폐기물 감축 계획ESG 환경 전략방향은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으로 Eco-Friendly 도매시장 조성을 위한 탄소·폐기물 등의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주요 전략은 △온실가스 Out, 녹색 에너지 충전 △유통과정 속 탄소 발자국 줄이기 △미래세대를 위한 재원 재활용 사용 △솔선수범 녹색 생활 실천으로 정했다.2024년 5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무기성분·유해물질 분야’ 검정기관으로 재지정됐다. 재지정으로 향후 4년간 농산물 유해물질에 대한 검사 및 안전관리 운영을 유지한다.농산물검정기관은 농산물에 남아 있는 유해 물질 분석과 정밀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공인 인증기관이다. 도매시장에서 경매되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2023년 온실가스 실 배출량(tCO2)은 5만4433tCO2으로 2021년 5만5109tCO2과 비교해 1.23% 감소했다. 환경부와 협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에서 최근 3년간 3175톤(t)을 감축했다.2023년 시장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tCO2)은 6만2916tCO2으로 2021년 6만3712tCO2과 대비해 1.2% 감소했다. 2023년 가락시장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5만4406tCO2으로 2021년 5만5109tCO2에서 1.3% 감축됐다.2023년 폐기물 재활용률(%)은 79.2%로 2021년 71.3%에서 상승했다. 폐기물 재활용률을 2024년 80%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ESG 경영을 이행할 계획이다.공사는 농산 폐기물 사료화를 위해 ‘농산부산물 선순환 체계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환경부 및 대아청과 등 사업 주체와 MOU를 체결해 역할별 추진 사항과 비용 등을 분담했다.국내 최대 배추 및 양배추 취급 도배법인이 시범사업에 참여해 부산물을 수거한 후 혼합사료를 생산했다. 그동안 폐기했던 부산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2023년 쓰레기 재활용률은 79.2%로 2021년 71.3%에서 상승했다. 2023년 쓰레기 발생률은 0.67%로 2021년 0.73%에서 감소했다.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도매법인을 제외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배려 부족... 넷제로 목표조차 수립하지 않아△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ESG 경영 헌장을 수립하지 않은 점이 아쉽다. 이사회를 비롯해 여성 임원과 관리직 비중이 적어 양성평등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다만 경영진이 비전문가 낙하산으로 구성돼 있으며 도매법인의 소유주가 대기업으로 농민이나 소비자에 대한 공감대가 부족해 개선이 필요하다. 거버넌스에 변화가 없으면 경영 정상화는 요원한 과제다.△사회(Social)=사회는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지만 여전히 도매법인의 이익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이해관계자와 따라 소펑전략과 소통채널, 협력방향을 구축했다는데 실제 변화는 찾아보기 어렵다. 기술봉사단을 구성해 가락시장 주변의 송파구와 강동구까지 나눔을 실천하는 점은 긍정적이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농수산물 도매시장으로 각종 부산믈을 재활용하려는 시도는 좋다. 쓰레기 발생률은 줄이고 재활용률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하지만 아직도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시장 자체적으로 넷제로(Net-Zero)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는 명확하지 않아 재정립이 요구된다.⋇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