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study"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LG화학가 주최한 LGS심포지엄 전경 [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소아내분비 전문의 대상 제20회 LGS(LG Growth Study)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LG화학은 저신장증 성장호르몬 장기 치료에 대한 확고한 신뢰 확보에 나선다.LSG 심포지엄에서 국내 저신장증 환아 대상 유트로핀 제품군(이하 유트로핀) 치료 장기간 관찰연구 중간 분석과 12년 차 안전성 및 4년 차 유효성 결과를 발표했다.LG화학은 국내 최초로 한국 소아 대상의 성장호르몬 장기 투약 데이터 확보를 위해 2012년부터 ‘LGS’를 진행해 오고 있다.이 연구는 2027년까지 저신장증 환아 1만 명을 모집해 유트로핀 안전성 및 유효성을 2035년까지 추적 관찰하는 장기 프로젝트다. 연구 12년째인 2024년 말 기준 등록자 수는 7000여 명을 기록했다.이날 순천향대 부천병원 홍용희 교수는 ‘유트로핀 12년 차 안전성과 4년 차 유효성 결과’를 발표하며 유트로핀이 저신장 환아의 키 성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켰다고 밝혔다.치료 경과에 따라 또래 표준 신장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성장호르몬결핍증, 부당경량아 환아의 경우 치료 시작 전 표준 편차가 -2.5에서 치료 48개월 뒤 -0.9로 또래 표준에 점차 가까워졌다.특발성저신장증에서는 -2.5에서 -1.1로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표준 편차는 0에 근접할수록 평균에 가까워졌다고 분석할 수 있다.부당경량아는 출생 체중이 3백분위수(3/100) 미만인 저체중 신생아를 뜻하며 특발성저신장증은 전신적, 내분비적 이상은 없으나 키가 해당 연령 집단에서 3백분위수(3/100) 미만인 상태를 말한다.이어 아주대병원 이해상 교수가 LGS 내 부당경량아 등록 환아들만을 상세 분석, 장기적 치료 방안으로 유트로핀의 효과 및 안전성을 발표했다.LG화학은 1993년 수입 제품 대체를 위해 국내 최초의 저신장증 치료제 유트로핀을 출시했다. 이후 액상
-
2019-12-11미국 시장조사기관 베리파이드(Verified Market Research, VMR)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드론 센서 시장이 $US 12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지난 2017년 글로벌 드론 센서시장 규모는 2억6900만달러로 2025년에는 2017년 대비 약 4.5배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VMR에 따르면 2018년~2025년 까지 드론 센서(Drone Sensor) 시장 규모가 연평균 21.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2025년까지 드론 센서시장을 주도할 글로벌 주요 기업으로 Bosch Sensortec, TE Connectivity, TDK Invensense, Sparton Navex, Raytheon, KVH Industries, Systron Donner Inertial, AMS AG, Lord Microstrain, Trimble and Flir Systems 등이 있다.▲ Verified Market Research▲ 베리파이드(Verified Market Research, VMR) 홈페이지
-
2018-11-22일본 글로벌 ICT기업인 후지쯔에 따르면 가상현실(VR)과 텔레프레전스(telepresence)를 이용해 장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2018년 11월 20일부터 2019년 3월 31일까지 진행할 계획이다.카가와현 교육위원회, 쇼도시마시 교육위원회, 토노쇼시 교육위원회, 카가와대학(Kagawa University)이 참여한다. 쇼도시마 지역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를 포함해 총 5개 학교에서 약 50명의 교사도 동참한다.초등 및 중등학교는 1993년, 고등학교는 2018년부터 특별 수업시스템이 시작됐다. 특별 수업시스템은 학교 교육법에 의해 규제돼 왔다.법률에 따라 장애 아동 및 학생은 동일 학년의 학생들과 함께 수업 대부분을 받아야 한다. 또한 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개선하거나 극복하기 위해 별도 교실에서 주당 1~8 회 특별교육도 받는다.연구에서는 VR 체험, 수업 원격관찰을 통한 훈련, 원격교육 컨설팅 등 3가지가 시도된다. VR 체험은 장애가 있는 어린이가 겪는 어려움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된다.수업을 원격으로 관찰하는 것은 360도 비디오 캡처가 가능한 완전히 구형인 카메라를 이용해 이뤄진다. 원격교육 컨설팅은 고립된 섬의 교사들과 교육을 제공하는 전문가를 연결하는 화상회의를 통해 구현된다.연구에 따라 장애에 대한 전문지식을 향상시키고 교사의 장애 이해를 심화시킴으로써 특수수업을 처리하는 강사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향후 3가지 방법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 외에도 포괄적인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ICT 활용모델을 고려할 방침이다. 참고로 텔레프레전스는 참가자들이 실제로 같은 방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가상 화상회의 시스템을 말한다.▲ Japan-Fujitsu-VR-disabilities-homepage▲ 가상현실을 이용한 장애체험(출처 : 후지쯔 홈페이지)
-
2018-04-05글로벌 전자결제업체 페이팔(PayPal)에 따르면 필리핀 전체 인구의 2%가 프리랜서인 것으로 드러났다. 주로 젊은이와 디지털 기술자들이 프리랜서를 선호하고 있다.현재 프리랜서의 75%는 24~39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주로 하는 업무는 데이터입력/인터넷 검색이 34%, 가상지원업무가 13%, 고객서비스가 8%로 집계됐다.회계법인인 어너스트&영(Ernst & Young)은 2020년 근로자 5명 중 1명은 프리랜서나 계약직일 것으로 예상한다. 프리랜서는 긱경제(gig economy)의 대표적인 현상이다.긱경제는 기업들이 정규직보다는 임시직이나 계약직이 고용시장의 주류를 이루는 경제체제를 말한다. 근무시간이 자유롭고 능력에 따라 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 프리랜서의 이점이다.▲전자결제업체 페이팔(PayPal) 로고
-
영국 회계법인 UHY Hacker Young에 따르면 국내 100대 레스토랑그룹의 3분의 1이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년 대비 75%나 증가한 수치다.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원인은 높은 직원 인건비, 상승하는 임대료, 소비자의 신뢰 하락 등이 주요인이다. 마진을 줄여서 가격을 낮추고 있지만 손실을 막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2019년 초로 예상되는 브렉시트로 인해 국내경제에 대한 미래전망이 불투명해지만 소비자들이 지갑을 다고 있는 것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정부가 최저임금을 인플레이션 비율보다 높이고 있는 것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8년 4월 최저임금은 또 4.4% 오를 전망이다.▲회계법인 UHY Hacker Young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