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
"관광객"으로 검색하여,
5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YOTEL 도쿄 긴자의 개장은 2017년 YOTEL 싱가포르, 2019년 YOTELAIR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 일본에서는 첫 진출이다[출처=도쿄관광한국사무소]도쿄관광한국사무소에 따르면 계속해서 신규 오픈하고 있는 도쿄의 숙박 시설 중에서 신규 및 리뉴얼한 호텔 3곳을 소개했다.관광객에게 가장 인기 있는 지역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호텔부터 관광지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아리아케’에 위치한 호텔까지 관광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엄선된 호텔이 이번 소개 리스트에 올랐다.◇ YOTEL 도쿄 긴자(YOTEL東京銀座)2024년 12월 16일 신규 오픈한 글로벌 호텔 브랜드 ‘YOTEL 도쿄 긴자’는 다이닝과 쇼핑의 중심지로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도쿄의 관광지 긴자에 있다. 또한 도쿄역에서 도보 15분 거리에 있어 신칸센과 하네다 및 나리타 공항으로의 접근이 매우 편리하다.· 여행객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객실 타입가장 객실 수가 많은 퀸 룸을 비롯해 퍼스트 클래스 트윈, 2층 침대를 갖춘 프리미엄 트리플 패밀리 커넥트 등 다양한 타입의 객실이 준비돼 있다.각 객실에는 YOTEL의 시그니처인 SmartBed™, 고속 WiFi, 무선 충전 등의 다양한 편의시설이 마련됐다. 또한 바닥에서 천장까지 이어지는 큰 창문을 통해 도쿄 타워, 긴자 거리, 신칸센의 경치를 감상하며 도쿄의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다.· 주소: 도쿄도 미나토구 신바시1-7-7· 공식사이트: https://www.yotel.com/ja/yotel-tokyo-ginza◇ 슈퍼 호텔 이케부쿠로 니시구치 천연 온천(スーパーホテル池袋西口天然温泉)2024년 12월 26일 리뉴얼 오픈한 ‘슈퍼 호텔 이케부쿠로 니시구치 천연 온천’은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이케부쿠로역의 C1b 출구에서 엘리베이터까지 이어지는 엘리베이터가 신설돼 비에 젖지 않고도 직접 호텔까지 이동할 수 있다.· ‘레이디스룸’의 등장으로 더욱 다양해진 객실 타입이번 리뉴얼에서는 패밀리 룸과 엑스트라 룸, 커넥팅 등의 새로운 타입 객실과 더불어 여성 투숙객도 안심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레이디스룸’도 마련했다.객실 수는 113실에서 201실로 늘어나 기존의 주 고객층이었던 비즈니스 고객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 이용객과 여성 고객 등 투숙객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한층 더 새롭게 남녀별 천연 온천 대욕장을 설치해 오쿠유가와라 온천(奥湯河原温泉)으로부터 운반한 온천수를 활용해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온천욕을 즐길 수 있다.· 주소: 도쿄도 도시마구 이케부쿠로2-14-1· 공식사이트: https://www.superhotel.co.jp/s_hotels/jrikebukuro◇ 더블트리 바이 힐튼 도쿄 아리아케(ダブルツリーbyヒルトン東京有明)2024년 12월 20일 신규 오픈한 ‘더블트리 바이 힐든 도쿄 아리아케’는 유리카모메 아리아케역·린카이선의 고쿠사이텐지조역에서 도보 약 1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도쿄 빅 사이트, 오다이바, 시부야, 신주쿠까지 환승 없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어 비즈니스와 레저 등의 니즈에 최적화된 입지라 할 수 있다.· 7가지 타입, 11종의 객실 마련모든 객실에는 분리형 욕조와 레인 샤워기가 갖춰져 있다. 게스트룸(22㎡)에는 비즈니스와 1인 여행객은 물론 가족, 친구, 소중한 사람과 함께 머물 수 있는 퀸 베드가 설치된 객실 타입도 준비했다.또한 게스트룸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보다 넓은 공간에서 고객의 니즈에 맞게 침대 타입을 선택할 수 있는 디럭스 룸(26~30㎡)은 최대 4명까지 이용 가능하도록 3가지의 침대를 설치했다. 한층 더 특별한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프리미엄룸(43㎡)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주소: 도쿄도 고토구 아리아케3-7-3· 공식사이트: https://doubletree-tokyo-ariake.hiltonjapan.co.jp
-
2024-12-17▲ 2024년 12월 사우디아라비아 관광업 국부펀드(PIF) 기업인 단 컴퍼니(Dan Company)는 건설 회사인 압둘모센 알 타미미 건설(Abdulmohsen Al-Tamimi Contracting Company)과 관광업 개발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단 컴퍼니 엑스(X) 계정]2024년 12월17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금융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사우디아라비아 단 컴퍼니(Dan Company)에 따르면 2024년 12월 관광업 개발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 연방세무청(FTA), 2024년 12월부터 관광객 대상 전자상거래 소매업 구매 부가가치세(VAT) 환금 시스템 출시아랍에미리트 연방세무청(FTA)에 따르면 2024년 12월부터 관광객을 대상으로 전자상거래 소매업 구매 부가가치세(VAT) 환금 시스템을 출시했다.디지털 전환과 결제 시스템 개선을 목적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기업인 플래닛(Planet)과 협업했다.2년 전인 2022년 개발된 관광객 대상의 디지털 VAT 환금 시스템을 더욱 개선하여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전자상거래 소매업체들을 시스템에 포함시켰다.관광객들은 시스템을 통해 쉽게 여권 확인과 구매 절차를 마무리하고 디지털 송장 형식으로 정보를 공유받을 수 있다. 물품 배달 혹은 온라인 주문이 완료된 이후 관광객의 신원 확인이 되면 VAT 환금 등록이 완료된다.◇ 사우디아라비아 단 컴퍼니(Dan Company), 2024년 12월 관광업 개발 프로젝트 계약 체결사우디아라비아 관광업 국부펀드(PIF) 기업인 단 컴퍼니(Dan Company)에 따르면 2024년 12월 관광업 개발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사우디아라비아 건설 회사인 압둘모센 알 타미미 건설(Abdulmohsen Al-Tamimi Contracting Company)과 함께 주력 관광지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알 아사(Al-Ahsa) 지역에 현지 환대산업 브랜드인 타우자 럭셔리 리조트(Tuaja Luxury Resorts) 산하의 고급 리조트 3곳을 건설한다.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2030년까지 관광객 1억5000만 명을 유치해 관광업의 국내총생산(GDP) 기여도를 6%~10% 사이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
▲ 영국 다국적 금 광업 기업인 엔데버 마이닝(Endeavour Mining)에 따르면 사전타당성연구(PFS)를 통해 코트디부아르의 아사포우-디비반고(Assafou-Dibibango) 금광 프로젝트의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출처=엔데버 마이닝 홈페이지]2024년 12월12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케냐와 코트디부아르의 정부 정책과 광업을 포함한다. 케냐 관광부에 따르면 향후 3년간 국제 관광객을 500만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영국 엔데버 마이닝(Endeavour Mining)에 따르면 2024년 12월 코트디부아르의 아사포우-디비반고(Assafou-Dibibango) 금광 프로젝트가 주요 자산이 될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케냐 관광부, 향후 3년간 국제 관광객 500만 명으로 늘릴 계획케냐 관광부에 따르면 향후 3년간 국제 관광객을 500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5년 기간의 2023-2027 전략적 프로젝트를 도입한다.미국을 주요 시장으로 청년 인재 유입과 홍보 캠페인 활동 등을 진행하기 위한 목적이다. 디지털 유목민과 비대면 일자리 기회를 증폭해 해외에 거주하는 케냐인을 포함해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한다.국내 9개 지역 내의 전통적인 사파리와 해변 관광 사업을 재정비해 국내 관광산업의 인프라 시설 포용성을 높일 방침이다.◇ 영국 엔데버 마이닝, 2024년 12월 코트디부아르 아사포우-디비반고(Assafou-Dibibango) 금광 프로젝트 잠재성 높은 것으로 전망영국 다국적 금 광업 기업인 엔데버 마이닝(Endeavour Mining)에 따르면 2024년 12월 코트디부아르의 아사포우-디비반고(Assafou-Dibibango) 금광 프로젝트가 주요 자산이 될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사전타당성연구(PFS)를 통해 금광의 매장량이 410만 온즈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근시일 최종타당성연구(DFS)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아사포우 금광의 연간 금 생산량은 초기 10년 동안 32만9000온즈로 전망된다. 예상 매장량인 410만 온즈를 고려하면 광산 수명은 15년으로 판단된다.초기 광산 개발 비용과 제련소 구축 비용은 US$ 7억3400만 달러로 예상된다. 2025년 말부터 2026년 초까지 DFS 절차를 완료해 2026년 하반기부터 건설에 착수한다.
-
2024-12-09▲ 22대 제주 서귀포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 공약 구분 [출처=iNIS]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제주특별자치도에서 1개월 정도 살아보자는 '제주 한달살기'가 유행이다. 육지와 다른 볼거리와 먹거리가 많은 것도 제주도의 매력이다.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편안하게 지낼 숙소를 구하고 섬 구석구석을 여행하는 묘미를 즐기려는 사람이 적지 않다.최근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2대 국회에 △제주도 전 연안 해양보호구역 지정 추진 △해양보호구역 지정 취지에 맞는 관리방안 법제화 △국가관할권 이원지역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이용 협정(BBNJ)의 조속한 국회 비준 등을 요구했다. 지역 토박이로 3선 도의원을 지낸 위성곤 의원은 20~22대 연이어 3선 고지에 올랐다. 2024년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주도 서귀포시 지역구 위성곤 의원(3선)이 제시한 선거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사회·문화 공약 75.3% vs 경제·과학기술 공약 19.1% 22대 3선으로 당선된 위선곤 의원은 89개 공약을 제시했으며 공약은 정치(행정)(5)·경제(산업)(16)·사회(복지)(41)·문화(교육)(26)·과학(기술)(1) 등으로 구성됐다. 사회(복지) 공약이 전체의 46.1%를 차지했으며 △문화(교육) 공약 29.2% △경제(산업) 공약 18.0% △정치(행정) 공약 5.6% △과학(기술) 공약 1.1%로 조사됐다. 위성곤 의원의 요소별 주요 공약은 다음과 같다. 정치(행정) 공약은 △내 손으로 뽑는 서귀포시장 △여성농어업인의 지위향상을 위한 입법 추진 △제주4·3 왜곡·폄훼 처벌 △군기지 이전 장기계획 수립 △행정서비스 개선(통·반 분리) 등 5개다. 경제(산업) 공약은 △농산물 가격안정제 도입 △농업 수입 보장보험 확대 △하원 테크노밸리 산업단지 조성 △기후위기대응 스타트업 100곳 육성 △기존 고금리 대출 저금리 전환 지원 확대 △농기계 지원 및 대여 2배 확대 △감귤 경쟁력 강화 △명품 마늘산업 육성 △제주감귤가공수출단지 △월동무 특구 등 16개다. 사회(복지) 공약은 △서귀포의료원 의료역량 강화 △24시간 어린이전문병원, 공공요양병원 건립 △제주도민 항공료 반값 △공공추진사업 및 청년채용 시 시민 우선권 부여 △청소년 하고 싶은 거 ‘다 해 센터’ 건립 △제주 청년 기본소득 연 100만 원 도입 △아이 돌봄 국가 무한책임 보장 △여성 근로환경 개선법 제정 추진 △관내 산부인과·소아과 확충 △원도심 재개발 추진 △청소년문화센터 건립 등 41개다. 문화(교육) 공약은 △서귀포시민대학 설립 △동지역·읍면별 파크골프장 추가 건설 △제주대 교육경쟁력 강화 △웰니스·워케이션 활성화로 관광객 유치 △문학인의 집, 예술인 회관 건립 △반려동물 보건소 확대 및 동물복지 개선 △송악산-평화대공원 관광벨트 조성 △체류관광 활성화 △관광 활성화 및 국제(카페)축제 추진 △해양치유센터 웰니스관광 활성화 등 26개다. 과학(기술) 공약은 UAM(도심항공교통) 기반 구축 등 1개뿐이다. 농어업이 중심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했던 고기철도 과학기술 공약을 1개도 제시하지 않았다. 고기철 후보가 제시한 공약은 41개며 정치(행정)(5)·경제(산업)(13)·사회(복지)(12)·문화(교육)(11)·과학(기술)(0)등으로 구성됐다. 다음으로 △경제(산업) 공약은 31.7%를 차지했으며 △사회(복지) 공약 29.3% △문화(교육) 공약은 26.8% △정치(행정) 공약 12.2% △과학(기술) 공약 0.0%를 집계됐다. ◇ 다수 공약이 모호해 구체적인 실행계획 없으면 달성 불가능▲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의 제주도 서귀포시 평가 결과 [출처=iNIS]위성곤 의원의 공약을 국정연이 개발한 갑옷(ARMOR), 즉 달성 가능성(Achievable)·적절성(Relevant)·측정 가능성(Measurable)·운영성(Operational)·합리성(Rational) 지표를 적용해 평가했다. 간략한 내역과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달성 가능성은 4년 임기 내에서 완료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공약 중 기후위기대응 스타트업 100곳 육성, 24시간 어린이전문병원, 공공요양병원 건립, 제주대 교육경쟁력 강화를 분석했다.기후위기대응 스타트업 육성은 구체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할 솔루션을 개발할 스타트업을 100개 설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서귀포나 제주도에서 청년이 창업하기 어려운 환경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어린이전문병원과 공공요양병원도 열악한 의료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저출산으로 서울시 등 대도시에서도 어린이전문병원의 운영이 불가능한 실정이다.제주도의 교육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대 수준으로 집중 투자하는 것도 쉽지 않다. 예산을 확보해 건물과 같은 캠퍼스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은 쉽지만 교수와 학생의 질적 향상, 우수 강의교안의 개발 등은 예산 투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애초부터 달성이 불가능한 목표를 수립한 셈이다.적절성은 공약이 제주도 서귀포시 지역구의 다양한 여건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지표이며 농산물 가격안정제 도입,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공시제도 도입, 문학인의 집 및 예술인 회관 건립과 맞춤형 임대아파트 건립을 적용했다.농산물 가격안정제는 농촌과 농민을 보호하고 식량안보를 위해 필수적인 정책이며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업협동조합의 역할이다. 하지만 해방 이후 정부는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키는 임무에 충실하지 못해 농민은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성별 임금격차 해소는 양성평등 뿐 아니라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지만 기업의 적극적인 호응이 요구된다.예술에 대한 관심이 부족해 예술인의 생활 수준이 악화되고 있어 예술 관련 건물의 신축, 임대아파트 건립도 수요자의 입장을 배려해야 만족도가 높아진다. 예술은 단기적인 상업적 이익이 아니라 장기적 사회자본(social capital) 측면에서 접근해야 성숙한 사회를 구현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측정 가능성은 공약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군기지 이전 장기계획 수립, 관광 활성화 및 국제(카페)축제 추진, 여성 근로환경 개선법 제정 추진, 원도심 재개발 추진으로 판단했다. 군기지의 이전을 위한 장기계획 수립은 형식적으로 가능하겠지만 완료를 판단하기는 불가능하다. 제주해군기지는 안보 측면에서 이전 자체가 불가능하다.관광활성화는 제주도의 관광업이 코로나19 종료 이후 타격을 받고 있어 지역경제를 위해 필요한 공약이다. 바가지 상혼이나 불친절 등을 이유로 일본이나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리는 국민이 많아졌다. 각종 문제점을 해결한다고 해도 관광업 자체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할 기준을 제시해야 완료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여성의 근로환경을 개선할 법 추진은 위성곤 의원이 제안할 수는 있겠지만 본회의를 통과할지는 미지수다. 21대를 기준으로 보면 국회의원이 발의한 법안의 통과율이 10~20%대로 낮다. 원도심 재개발 추진도 낙후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지만 어디까지가 추진됐다고 볼 것인지 모호하다.운영성은 행정조직과 공무원이 공약을 실천할 역량과 조직체계를 구축·운영했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웰니스(wellness)·워케이션(workcation) 활성화로 관광객 유치, 체류관광 활성화, UAM(도심항공교통) 기반 구축, 관내 산부인과·소아과 확충으로 파악했다.웰니스, 워케이션으로 방문 목적 다양화하게 만들면 관광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웰니스와 워케이션의 목적지로 제주도를 선택하는 것은 여행격의 몫이다. 웰니스는 웰빙(well-being)과 행복(happiness), 건강(fitness)의 합성어로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상태를 의미한다.제주도 상인의 불친절, 비싼 가격을 해결하지 않으면 방문자의 웰니스 확보는 불가능해진다. 워케이션도 코로나19 기간 동안 잠깐 유행하다가 사무실 출근이 본격화되면서 사그라들었다. 잠깐 관심의 초점을 받는 유행보다는 본질적인 핵심(core)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UAM 기반의 구축은 2024년 6월 현재 기체 개발조차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미국이나 독일에서 개발된 기체를 도입하겠다지만 해당 국가에서도 UAM은 아직 개발단계에 머물러 있어 상업 운행은 언제 이뤄질지 모른다. 합리성은 공약이 주민자치를 실현하고 주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며 동지역·읍면별 파크골프장 추가 건설, 수어교육센터·점자도서관 설치, 반려동물 보건소 확대 및 동물복지 개선, 동물 학대자 사육 금지 명령제 도입으로 결정했다. 이들 공약도 합리적이라고 보는 어렵다. 종합적으로 위성곤 의원의 선거공약은 낙후된 서귀포 경제를 살리고 관광업 육성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산물 가격안정제나 예술인 보호도 시급한 과제이지만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공약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선거공약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5G는 오곡(五穀·다섯 가지 곡식), 밸리(Valley)는 계곡을 의미한다. 문명은 ‘오곡백과’가 풍성한 계곡에서 탄생해 발전했기 때문에 국가·지자체가 번성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
▲ 8회 지방선거 - 강원 춘천시장 육동한 주요 공약[출처=iNIS]소양강댐과 닭갈비로 유명한 강원도 춘천시는 2022년 9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잘못된 선택으로 유먕세를 얻었다. 강원도는 관광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레고랜드'라는 놀이시설을 건설했지만 예상보다 수익성이 낮아 고심이 깊었다. 김 지사가 부채를 갚지 못하고 선언해 금융시장 대혼란이 초래됐다.호반의 도시로 불리는 춘천시는 강원도의 대표 도시이지만 인구소멸 위험에 처해 있다. 2024년 4월 육동한 춘천시장은 홍천,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가평 등 7개 시군과 인구소멸 및 지역 불균형에 대응 및 극복하기 위해 산업과 인재육성, 관광 및 교통망 확충 분야에 상호 공조하기로 합의했다.춘천시는 제주도와 마찬가지로 환경보존 뿐 아니라 지역 활성화라는 2마리의 토끼를 잡아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2022년 제8회 춘천시 지방선거 당선자가 제시한 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ARMOR)’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출마자 3명의 공약 대부분은 유사해 차별성 부족역대 민선 춘천시장은 배계섭·류종수·이광준·최동용·이재수다. 민선 1~2기 배계섭은 내무부, 강원도청 공무원 출신으로 관선 춘성군수, 속초시장을 지냈다. 1기와 2기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후보로 각각 출마해 춘천시장에 당선됐으나 이후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3기에 도전했지만 실패했다.3기 류종수는 삼척군, 춘천시, 철원군, 인제군에 근무한 공무원 출신 정치인으로 제14·1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4·5기 이광준 역시 서울시, 내무부, 강원도청을 거친 공무원으로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시장에 재선됐으나 2013년 사퇴 후 강원도지사 경선에 출마했으나 탈락했다.6기 최동용은 강원도청 근무 후 민선4기 춘천시 부시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7기 이재수는 민선 3·4·5기(6·7·8대) 춘천시 의원(3선)을 역임했으며 공직선거법상 호별 방문 금지 조항을 위반했다는 혐의로 벌금 90만 원을 선고 받았지만 시장직을 유지했다.8기 제8회 지방선거에서 춘천시장에 초선으로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육동한은 국민의힘 최성현, 무소속 이광준과 경쟁해 승리했다. 후보자들이 제시한 대표 공약을 간략하게 살펴보자.당선된 육동한은 △전국 최고의 교육도시 △국가 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 △수도권 연계 신도시 건설 △캠프패이지 역할 확대 춘천역세권 개발 △춘천농업영역의확대 △유럽형고품격관광도시 △대학창업선도도시구현 △세일즈맨춘천시장 △사통팔달 SOC 조기 완성 △ESG 행정선도도시 등을 제시했다.낙선한 최성한은 △강윈도 경제특별자치도 준전 특례시 조성 △GTX-B 광역절도 춘전 연장 △제2경춘국도 조기 완공 △춘전보건소 확장 이전 △관광지리조트 유치 △셀럽관광도시 조성 △공동주택 전담 부서 펀성 △춘전호 국제호수관광도시 조성 △소앙8교, 서면대교 조기 사업 추진 △관내기업 우선 선정 등의 공약을 개발했다.낙선한 이광준은 △500만 평 복합신도시 건설 △일자리가 넘쳐나는 강한 경제도시 △활력이 넘치는 도시환경 제일도시 △따스한 선진 교육복지도시 △멋과 향기가 깃든 문화예술도시 등으로 시장직에 도전했지만 실패했다. ◇ 사회·문화 공약 69.2% vs 경제·과학기술 공약 27.7% 육 시장은 6개 분야 65개의 세부 공약을 발표했다. 첨단지식산업도시(13개), 최고의 교육도시(5개), 고품격 문화·관광도시(13개), 건강하고 행복한 복지공동체(10개), 편리하고 쾌적한 미래형 도시(9개), 지속가능한 도시(15개) 등이다.육 시장의 공약을 오곡밸레 요소인 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기술 등으로 구분해 보면 정치(행정)(2)·경제(산업)(11)·사회(복지)(27)·문화(교육)(18)·과학(기술)(7) 등으로 구성됐다. 사회(복지) 공약이 전체의 41.5%를 차지했으며 △문화(교육) 공약 27.7% △경제(산업) 공약 16.9% △과학(기술) 공약 10.8% △정치(행정) 공약은 3.1%로 각각 집계됐다. 육 시장이 제시한 요소별 주요 공약은 다음과 같다. 정치행정은 △데이터 기반 행정혁신 실현 △ESG 선도도시 춘천 조성 등 2개뿐이다. 강원도 중심도시가 되기 위한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과 춘천시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조례에 근거해 데이터 기반 행정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경제산업은 △지역특화 기업도시 조성 △중소기업 성장지원 펀드 운용 △로컬크리에이터 성장 지원 △춘천청년 공동창업공간 운영 지원 △지역 ICT기업지원 플랫폼 구축운영 △워케이션 기업유치 프로그램 운영 △스마트 시설원예 생산기반 조성 △스마트 가축 방역 시설 지원 △도시 농업 활성화 지원 확대 등 11개다.사회복지는 △시니어 아카데미 운영 확대 △트롤리버스 도입 △아동친화도시 조성 △산후 건강관리 지원 확대 △건강한 복지공동체 강화 △사통발달 SOC 조기 구축 건의 △공공시설 신재생에너지 설치 확대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 확충 등 27개다.문화교육은 △창업엑스포 개최 및 창업도시 조성 △최고의 교육도시 △시민 모두의 디지털 교육인프라 구축 △커피콘텐츠 육성사업 확대 운영을 통한 카페거리 육성 △춘천호수 드론 라이트쇼 상설 공연 △체류형 관광객 유치 위한 활성화 협의체 운영 확대 △마이스 관광사업 육성 등 18개다.과학기술은 △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사업 △정밀의료 빅데이터 구축 △바이오 융복합산업 혁신 고도화 △디지털 치료기기산업 육성 △그린모빌리티 보급 확대 △수소충전소 설치 확대 등 7개다.◇ 지역에 적합하지 않은 바이오 및 창업도시 공약 달성 불가능▲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 선거공약 - 8기 춘천시장 공약평가 결과[출처=iNIS]육동한 시장의 공약을 국정연이 개발한 갑옷(ARMOR) 즉 달성가능성(Achievable)·적절성(Relevant)·측정가능성(Measurable)·운영성(Operational)·합리성(Rational)의 지표를 적용해 평가했다. 간략한 내역과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달성가능성은 4년인 시장 임기 내에 완료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바이오 융복합산업 혁신 고도화, 창업엑스포 개최 및 창업도시 조성, 정밀의료 빅데이터 구축, 마이스 관광사업 육성 등을 선정했다. 바이오산업은 서울 홍릉, 인천, 충북 오성 등도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경쟁해야 한다. 창업엑스포 개최 및 창업도시 조성을 추진하기 위해 2023년 1회 창업엑스포 개최했다. 서울, 경기, 부산, 대구 등 전국에서 창업엑스포가 개최되고 있지만 수도권인 성남 판교에서조차 창업자를 충분하게 유치하는데 성공하지 못했다. 교통과 인프라가 부족한 춘천에서 창업을 하기란 쉽지 않다.적절성은 공약이 강원도 춘천시의 다양한 여건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지표이며 커피콘텐츠 육성사업 확대 운영을 통한 카페거리 육성, 체류형 관광객 유치 위한 활성화 협의체 운영 확대, 아동친화도시 조성 등을 대상으로 삼았다. 체류형 관광객 유치 위한 활성화 협의체 운영 확대는 전국이 1일생활권에 있으며 춘천이 수도권과 거리가 입접해 숙박하려는 방문자가 많지 않다.측정가능성은 공약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최고의 교육도시, 시니어 아카데미 운영 확대, 산후 건강관리 지원 확대, 그린모빌리티 보급 확대 등을 분석했다. 최고의 교육도시 조성은 인재 육성을 위한 학교시스템과 차별화된 교육자치 모델을 정립할 때 구체적인 방향과 운영방향을 제시해야 한다.운영성은 행정조직과 공무원이 공약을 실천할 역량과 조직체계를 구축·운영했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시민 모두의 디지털 교육인프라 구축, 데이터 기반 행정혁신 실현, ESG 선도도시 춘천 조성, 중소기업 성장지원 펀드 운용 등을 고려했다.합리성은 공약이 주민자치를 실현하고 주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며 춘천호수 드론 라이트쇼 상설 공연, 워케이션 기업 유치 프로그램 운영, 시민 모두의 디지털 교육인프라 구축, 의암호 마리나 조성사업 등으로 파악했다.2024년 4월~6월 초까지 열린 '2024 한강불빛공연 드론라이트쇼'와 같이 수도권 뿐 아니라 전국에서 유사한 행사가 열리는 실정이다. 춘천에서 상설 드론 라이트쇼를 추진한다고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워케이션 역시 제주도, 속초 등 화려한 풍광을 자랑하는 해변 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내륙인 춘천을 이용하려는 직장인은 많지 않다.종합적으로 육동한 시장의 선거공약은 국정연이 평가하는 5가지 영역 중 대부분이 보통 이하로 평가를 받았다. 육 시장이 평생 공무원으로 근무하며 정책 개발에 유능하다고 볼 수 있지만 공약의 달성 목표나 추진 방안 등이 구체적이지 않아 임기가 종료되는 시점에 좋은 평가를 받기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선거공약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5G는 오곡(五穀·다섯 가지 곡식), 밸리(Valley)는 계곡을 의미한다. 문명은 ‘오곡백과’가 풍성한 계곡에서 탄생해 발전했기 때문에 국가·지자체가 번성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
▲ 사우디아라비아 크루즈 개발 국부펀드(PIF) 기업인 크루즈 사우디(Cruise Saudi)는 2024년 10월 해양 시공업체인 PC 마린 서비스(PC Marine Services)와 개인 섬 개발 협업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크루즈 사우디 엑스(X) 계정]2024년 10월15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ICT와 건설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국영석유회사 가스(ADNOC Gas)에 따르면 2024년 10월 에너지 부문 디지털 도서관을 설립했다.사우디아라비아 크루즈 사우디(Cruise Saudi)에 따르면 2024년 10월 해양 시공업체인 PC 마린 서비스(PC Marine Services)와 개인 섬 협업 계약을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 7X, 2024년 10월 디지털 우편소(P.O.) 박스 플랫폼인 와인(Wayn) 출시아랍에미리트 국영석유회사인 아부다비국영석유회사 가스(ADNOC Gas)에 따르면 2024년 10월 에너지 부문 디지털 도서관을 설립했다.에너지 부문의 주요 부품 3500개 이상을 스캔 후 디지털 저장소에 보관했다. 수요가 있을 경우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빠르게 고품질의 부품 생산이 가능한다.디지털 도서관에 의해 창출될 경제적 혜택은 2028년까지 US$ 5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적층제조(AM) 기술을 활용해 생산 시간을 50%까지 단축해 비가동 시간을 축소하고 높은 재고 유연성과 시장 수요에 빠르게 대응할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아랍에미리트 국영 우편 서비스 기업인 7X에 따르면 2024년 10월 디지털 우편소(P.O.) 박스 플랫폼인 와인(Wayn)을 출시했다.국내 디지털 도입과 개발을 지원하며 개인 및 기업들에게 안전한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와인 플랫폼은 정부를 포함해 개인 및 기업체에 주어지는 영구적인 디지털 주소로 전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실제 주소와 디지털 주소를 연계해 공문서 및 화물 수송 확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플랫폼 이용에 필요한 디지털 주소는 무료로 제공되며 부가 가치 서비스를 이용할 시에만 비용이 청구된다.◇ 사우디아라비아 크루즈 사우디(Cruise Saudi), 2024년 10월 해양 시공업체인 PC 마린 서비스(PC Marine Services)와 개인 섬 개발 협업 계약 체결사우디아라비아 크루즈 개발 국부펀드(PIF) 기업인 크루즈 사우디(Cruise Saudi)에 따르면 2024년 10월 해양 시공업체인 PC 마린 서비스(PC Marine Services)와 개인 섬 협업 계약을 체결했다.계약에 따라 홍해에 위치한 개인 섬을 크루즈선 승객을 위한 관광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크루즈 사우디의 비전인 국내 크루즈 부문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2024년 12월 관광객을 맞이할 준비를 끝낼 예정이다. 코로나19 팬데믹에서 회복되며 크루즈 관광객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 GLN 인터내셔널[출처=홈페이지]하나은행(은행장 이승열)에 따르면 자회사 GLN 인터내셔널(대표 김경호, 이하 GLN)이 2024년 9월30일(월요일) 외국인 의료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금융상품 개발을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국제의료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3사는 외국인 의료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해 △외국인 의료 관광객 전용 금융상품 개발 및 도입 △국내 의료기관 참여 및 해외 파트너사 협력체계 구축 △외국인 의료 관광객 금융 편의성 제고 등을 공동 추진한다.또한 GLN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방한 외국인의 의료 수요와 의료기관의 니즈에 맞춰 외국인 손님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디지털 금융상품을 개발할 예정이다.외국인을 위한 차별화된 금융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도록 협력 범위를 확대하고 향후 하나금융그룹의 외국인 손님 특화 금융 서비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다.GLN은 2021년 7월 설립된 하나은행 자회사로 글로벌 주요 지역에서 QR 결제, QR ATM 출금 등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특히 GLN QR 결제 서비스는 하나은행의 ‘하나원큐’, ‘하나머니’, ‘토스’, ‘KB스타뱅킹’, ‘iM뱅크’, ‘K뱅크’ 등 다양한 앱에서 환전 과정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이외에도 GLN은 국내외 결제시장이 QR결제로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발맞춰 해외 주요 핀테크 기업들과 다양한 협업을 이어 나가고 있다.최근 국가별 각종 프로모션을 통해 여행 커뮤니티 등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해외여행 필수 금융 서비스로 손꼽히고 있다.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김경호 GLN 인터내셔널 대표는 “국내 외국인 의료 관광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의료비 납부에 따른 환전 절차, 카드결제 수수료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GLN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외국인 의료 관광객 손님이 보다 편리하게 한국의 우수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 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의 항공기. [출처=카타르 항공 엑스(X) 계정]2024년 9월 3주차 카타르 경제는 항공을 포함한다. 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1월2일부터 사우디아라비아 아브하 국제공항(Abha International Airport) 직항 노선을 개시할 계획이다. 운항 횟수는 주 2회다.○ 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1월2일부터 사우디아라비아 아브하 국제공항(Abha International Airport) 직항 노선을 개시할 계획이다. 운항 횟수는 주 2회다.또한 겨울 시즌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새롭게 개발하고 있는 신도시인 네옴(NEOM)으로 운항 횟수를 주 2회에서 4회로 늘릴 예정이다.이번 계획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관광객 항공 연결성 향상 계획인 사우디 ACP(Saudi Air Connectivity Program)의 일환으로 협업이 체결됐다.
-
▲ 일본 농림수산성(農林水産省) 홈페이지중국기업연합회(中国企业联合会)는 2024년 중국 500대 기업 및 중국 500대 서비스 기업 목록을 발표했다. 국가전력망저장성전력유한공사(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는 2024년 여름 피크 절전 용량이 100만 kw를 초과해 저장성 전력 시장 조정 유연성 및 응답 속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됐다. 이에 피크 시간대 전력 공급 보장 능력이 향상됐다.일본 농림수산성(農林水産省)은 2024년 10월~2025년 3월말까지 6개월간 수입 밀 가격을 1톤(t)당 6만6610엔으로 이전 6개월 대비 1.8% 인하하기로 했다. 정부는 3기 연속 인하를 지속하고 있다.대만 자전거 대기업 쌍숑(雙雄)은 8월 통합 수익 NT$68억56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2% 증가했다. 2024년 1~8월 연간 누적 수익은 516억5800만 달로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다.◇ 중국기업연합회(中国企业联合会), 2024년 중국 500대 기업 및 중국 500대 서비스 기업 목록 발표중국기업연합회(中国企业联合会)는 2024년 중국 500대 기업 및 중국 500대 서비스 기업 목록을 발표했다. 6년 연속 1위를 차지한 장쑤성(江苏省) 지역 선정 기업 수는 40개 이며 우시시(无锡市) 지역 기업은 30%인 12개다.500대 기업 선정 기준은 매출액 473억81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억8300만 위안 증가했다. 2024년 중국 500대 기업 매출 규모는 110조7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8% 증가했다.국가전력망저장성전력유한공사(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에 따르면 2024년 여름 피크 절전 용량이 100만 kw를 초과해 저장성 전력 시장 조정 유연성 및 응답 속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됐다. 이에 피크 시간대 전력 공급 보장 능력이 향상됐다.2024년 여름 저장성은 고온 이상 기후가 발생해 최고 전력 부하량은 전년 대비 11.8% 증가한 1억2300만 kw에 달했다.여름철 성수기 전력 시장 피크 절감에 참여한 기업은 1만691개로 43개 기업이 새롭게 참여했으며 최대 유효 피크 전력 절감 용량은 106만7000kw에 달했다.◇ 일본 교토시(京都市), 시내 방문 외국인 관광객 대상 기부물품 접수 및 반례품 제공 도입전국의학부장병원장회의(全国医学部長病院長会議)는 82개 대학병원 대상으로 2024년 4월부터 시작된 의사의 일 방식 개혁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2024년 5월 기준 약 10%인 9개 대학 병원이 지방 등 다른 의료 기관 파견 의사를 취소 또는 중지를 검토하거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24개 대학 병원은 의사 파견은 지속하면서 근무 간 간격 조정 등 근무 체제 재검토 또는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시간외 노동 제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업무에 대해 의학부 교수는 66%가 연구, 연수의 78%는 진료라고 대답했다.일하는 방법의 개혁으로 의사의 노동 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대학병원이 지역 의료 분야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의료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일본 농림수산성(農林水産省)은 2024년 10월~2025년 3월 말 6개월간 수입 밀 가격을 1톤(t)당 6만6610엔으로 이전 6개월 대비 1.8% 인하하기로 했다. 정부는 3기 연속 인하를 지속하고 있다.주요 생산국 미국의 풍작으로 국제 밀가격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으로 2년 전 국제 밀가격의 3분의 1수준으로 하락했다.일본은 국내에서 소비되는 밀의 약 80%를 수입하고 있다. 안정적인 학보를 위해 일괄 수입 및 제분업자에 판매하고 있다.일본 교토시(京都市)는 2024년 9월11일(수요일)부터 시내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으로 부터 기부를 접수해 반례품을 주는 새로운 대처를 시작했다. 거리 경관, 전통 산업의 보전에 도움을 주기 위해 여행 등 시내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다.여행 등으로 교토시내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이 스마트폰 등에서 전용 사이트를 통해 신용카드로 기부를 하면 반례품으로 시내 음식점이나 시설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선물권을 그 자리에서 받을 수 있다.1만 엔부터 최대 100만 엔까지의 기부금을 접수받아 기부금액의 반액에 해당하는 전자 기프트권을 제공한다.◇ 대만 자전거 대기업 쌍숑(雙雄), 8월 통합 수익 NT$68억5600만 달러자전거 대기업 쌍숑(雙雄)은 2024년 8월 통합 수익 NT$68억56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2% 증가했다. 1~8월 연간 누적 수익은 516억5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다.메이리다(美利達)의 8월 연결 수익은 29억2200만 달러로 43% 증가했으며 2024년 1~8월 누적 수익은 213억1900만 달러로 3.5% 늘어났다.
-
▲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두바이 국립항공 여행사(dnata)는 영국 저가항공사인 이지젯(EasyJet)과 스위스 취리히 공항(ZRH) 내의 다년간 지상 관리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dnata 홈페이지]2024년 9월1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6월2일부터 폴란드와 체코 직항 노선의 운항을 동시에 시작할 계획이다.사우디아라비아 국책항공사인 사우디아(Saudia)에 따르면 2024년 8월31일부터 인도네시아의 메단(Medan) 직항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아랍에미리트 드나타(dnata), 영국 저가항공사인 이지젯(EasyJet)과 다년간 지상 관리 계약 체결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6월2일부터 폴란드와 체코 직항 노선의 운항을 동시에 시작할 계획이다.각각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Warsaw)와 체코의 수도 프라하(Prague)와 연결된다. 폴란드와 체코의 첫 직항 노선으로 1주당 4회 직항 노선을 운항할 예정이다.UAE의 관광객 중 폴란드와 체코 양국의 관광객 수가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직항노선을 통해 국내외 항공 서비스 연결성을 높이고자 한다.해당 노선에는 보잉 787 드림라이너(Boeing 787 Dreamliner) 기체를 도입한다. 이코노미 클래스 좌석 262석과 비즈니스 클래스 좌석 28석으로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드나타(dnata)에 따르면 영국 저가항공사인 이지젯(EasyJet)과 다년간 지상 관리 계약을 체결했다.서비스 제공 지역은 스위스 국제공항인 취리히 공항(ZRH)으로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스위스 내 양사간 협업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이지젯의 스위스 내 연간 운항 횟수는 3800회로 이용객 수는 64만 명에 달한다. 공항 내의 승객, 경사로, 수하물 서비스 등을 dnata에서 수행하게 된다.드나타(dnata)는 2022년부터 취리히 공항 내의 모든 이지젯 기체의 제빙 서비스를 제공한바 있다. 드나타는 지상조업 외에 여행사도 운영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Saudia), 2024년 8월31일부터 인도네시아의 메단(Medan) 직항노선 운항을 시작사우디아라비아 국책항공사인 사우디아(Saudia)에 따르면 2024년 8월31일부터 인도네시아의 메단(Medan) 직항노선 운항을 시작했다.운항 횟수는 1주당 4회로 사우디아라비아 제다(Jeddah)와 메디나(Madinah), 메단을 잇는다. 인도네시아 직항노선은 수도 자카르타(Jakarta) 다음으로 2번째다.양국 간 항공 교통 서비스를 원활히 하며 이슬람 순례지인 움라(Umrah)와 종교 의례인 하즈(Hajj) 등의 순례자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판단된다.사우디 비전 2030(Saudi Vision 2030)은 2030년까지 움라 순례자 3000만 명을 주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