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 172
"AI"으로 검색하여,
1,7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ESG 경영 교육 ‘0’ 등 임직원 역량 향상 뒷전연구개발 발목잡는 방만 경영… 혈세로 줄줄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클라우스 슈밥이 4차 산업혁명을 주창한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국가개조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경제와 사회 모든 영역이 초연결·초지능으로 구현되는 스마트국가·스마트사회·스마트시티가 점차 현실화되는 중이다.1990년대 초부터 급격하게 진전된 정보사회에서는 사회 운영 원리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된 것보다 더 많은 혁명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조오지 오웰이 1949년 집필한 소설책인 ‘1984년’에서 그린 미래사회 지배자인 ‘빅브라더가’도 구체화되고 있다. 국민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국토교통기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공기업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이다.KAIA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스카이데일리·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AIA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ESG 헌장 선포식 후에도 내용은 미공개7월25일 준정부기관 최초로 임직원 행동 규범을 포함한 ESG 헌장 선포식을 진행했다. 임직원의 ESG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ESG 스케일업 30 프로그램’과 성과 보상책도 마련했다. 헌장 선포식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ESG 비전인 ‘지속 가능한 국토공간, 신뢰받는 KAIA’와 15대 전략과제를 실천한 것이다.하지만 ESG 경영헌장을 홈페이지에 공개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은 파악할 수 없다. 홈페이지의 ‘사회적 가치’ 부분에 사회적 가치 추진전략과 비전, 중장기 로드맵 등을 제시했다. 윤리경영·인권은 경영헌장·행동강령·서약서 등을 구비했다.연도별 경영평가 지적 사항을 살펴보면 △2017년 국토교통산업·기술 기반조성 4개 △2018년 해당사항 없음 △2019년 보수·복리후생 및 윤리경영 각 3개, 주요 사업 성과관리의 적정성 8개 △2020년 리더십·윤리경영·조직 및 인사 일반·합리적인 보수 및 복리후생 제도 구축 각 1개, 국토교통기술 연구 인프라 고도화 사업 성과관리의 적정성 2개 △2021년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윤리경영 각 1개로 조사됐다.자체 감사부서는 정원 3명에 현원 3명으로 부족하지 않지만 전문 인력은 확보하지 않았다. 소송현황은 △2017년 0건 △2018년 1건 △2019년 1건 △2020년 0건 △2021년 0건 △2022년 6월30일 기준 0건으로 양호하다.지난해 기준 부채총계는 69억 원이며 자본총계는 149억 원으로 부채비율은 46.7%다. 부채는 △2017년 30억 원 △2018년 31억 원 △2019년 45억 원 △2020년 97억 원으로 2019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자본총계는 △2017년 70억 원 △2018년 91억 원 △2019년 108억 원 △2020년 157억 원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지난해 매출액은 6446억 원으로 2020년 5478억 원 대비 늘어났다. 동년 당기순이익은 14억 원으로 2020년 1억 원 대비 급증했다. 부채 규모는 크지 않지만 지난해 당기순이익 기준으로 부채를 모두 상환하려면 약 5년이 소요된다.◇ 여성 육아휴직 사용자가 남성의 2배지난해 정규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8543만 원, 무기계약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4553만 원으로 무기계약직 평균 연봉이 정규직 평균 연봉 대비 53.2%에 불과하다. 정규직 여성의 연봉은 7014만 원으로 남성의 연봉 9097만 원 대비 77.1%다. 무기계약직 여성의 연봉은 4277만 원으로 남성의 5152만 원 대비 83.0%다. 다른 공기업과 마찬가지로 무기계약직에 대한 연봉 차별은 큰 편이다.지난 5년간 징계 건수는 △2018년 1건 △2019년 1건 △2020년 3건 △2021년 2건으로 집계됐다. 수사기관에 고발한 사례는 없으며 징계사유는 △성실의무 위반 5건 △복무규정 위반 1건 △청렴의무 위반 1건 등으로 조사됐다. 징계종류는 견책·감봉·정직 등이다.사회공헌활동에서 봉사활동 횟수는 △2017년 13회 △2018년 19회 △2019년 20회 △2020년 22회 △2021년 30회로 증가세를 보였다. 기부 금액은 △2017년 745만 원 △2018년 940만 원 △2019년 1574만 원 △2020년 1930만 원 △2021년 1986만 원으로 늘어났다.지난 3년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은 △2019년 8600만 원 △2020년 9800만 원 △2021년 1억1400만 원으로 조사됐다. 총구매액 대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 비율은 △2019년 1.4% △2020년 1.3% △2021년 1.0%로 감소 추세다.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중 육아 휴직 사용자는 △2017년 10명 △2018년 12명 △2019년 14명 △2020년 17명 △2021년 18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여성 사용자는 10명 내외로 5명인 남성의 2배가 넘었다. 직장어린이집은 운영하지 않는다.홈페이지에 ESG 관련 해외 사례 보고서 등은 공개하고 있지만 임직원 ESG 역량을 높이기 위한 ESG 경영교육을 진행한 사례가 없다. ‘ESG 스케일업 30 프로그램’과 성과 보상책만으로 ESG 경영을 고도화시키기 어렵다. ESG 교육을 위한 관련 자료도 준비하지 않았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전체 비용 대비 녹색제품 구매액 너무 적어본사 에너지 총사용량은 △2016년 5.1TJ(테라줄) △2017년 5.0TJ △2018년 5.0TJ △2019년 5.2TJ △2020년 4,8TJ로 감소세를 보였다. 저공해 자동차 보유 현황은 △2019년 2종 3대·일반차량 2대 △2020년 2종 3대·일반차량 2대 △2021년 1종 3대·일반차량 2대로 집계됐다. 저공해 자동차를 구매·임차하지 않았다.온실가스 감축률은 △2019년 45.6% △2020년 51.0% △2021년 70.2%로 계속 증가했다. 온실가스 기준배출량은 35.3tCO₂eq(이산화탄소 환산톤)을 유지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19.2tCO₂eq △2020년 17.2tCO₂eq △2021년 10.5tCO₂eq으로 감소했다.녹색제품 구매 실적 비율은 △2019년 90.3% △2020년 96.8% △2021년 106.3%로 집계됐다. 녹색제품 구매액은 △2019년 1억4100만 원 △2020년 1억2100만 원 △2021년 1억3400만 원으로 등락을 반복했다. 환경보호를 위해 구매한 녹색제품 구매액이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낮다.본사 폐기물 발생 총량은 △2016년 17.3t △2017년 19.4t △2018년 26.0t △2019년 26.2t △2020년 22.7t으로 집계됐다. 폐기물은 폐지와 같은 사무용품보다는 각종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 교육을 통해 구체적인 행동지침 수립 필요△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ESG 경영헌장 선포식은 거행했지만 헌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윤리경영에 관한 체계는 잘 구비했기 때문에 ESG 경영도 윤리경영 수준에서 파악해 추진하지 않나 의심된다.부채액이 많은 것은 아니지만 자본을 증액하면서 부채비율을 낮추는 경영전략은 바람직하지 않다. 연구개발이 주요 임무인 공기업이 부채를 유지하는 것은 용인하기 어렵다. 경영계획을 부실하게 수립했거나 상급기관에서 무리한 연구 과제를 부여하지 않으면 빚이 생기지 않는다.△사회(Social)=직원이 160여 명에 불과한 작은 조직이지만 직원의 불법행위나 징계가 연간 1건 내외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봉사활동의 구체적인 내역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활동 건수는 매년 증가세를 보인다. 다만 육아휴직을 가는 남성이 여성의 절반에 그치는 것은 개선해야 한다.ESG 경영을 조직 내부에 이식·발전시키려면 단순히 해외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넘어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임직원이 개인·조직·국가 차원에서 무엇을 고민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교육이기 때문이다.△환경(Environment)=서비스형 공기업으로 환경에 대한 고민은 크게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대폭 감소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한 현상이다. 다만 녹색제품 구매금액이 등락을 반복하는 것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 김백건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출처=iNIS]- 계속 -
-
2022-10-23▲ 삿포로시(札幌市)의 위치[출처=구글 맵]일본 삿포로시(札幌市)에 따르면 2022년 10월6일부터 관광객 유치 촉진사업인 '삿포로 할인(サッポロ割)'과 전국여행지원인 '홋카이도 러브! 할인(HOKKAIDO LOVE!割)'의 병용을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10월31일까지 적용되는 '삿포로 할인'은 숙박객을 대상으로 1인 1박당 5000엔(부가세 포함) 이상인 경우 3000엔을 할인해준다.그 외에 '삿포로 할인'은 1박 1인당 2000엔 가격대의 쿠폰인데 점포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삿포로 시내의 다수 점포와 여행사에서 판매하고 있다. 삿포로시에서 병용을 인정하며 '삿포로 할인'을 사용하고도 '홋카이도 러브! 할인' 적용이 가능하다. 병용이 가능한 상품 판매는 각 사업자의 판단에 맡겼기 때문에 자세한 사항은 숙박시설과 여행사에 문의해야 한다.
-
우크라이나 농업 관련 단체인 UKAB(Ukrainian Agribusiness Club)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 돼지고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8월 중 돼지고기 가격은 전월 대비 5.9% 올랐다.돼지고기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은 생산량이 줄어 들었을 뿐만 아니라 가공시설의 가동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돼지 도축장의 운영이 어려워졌다.2022년 1~7월 식용동물의 도축량은 39만3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줄어들었다. 러시아군의 무차별적인 폭탄 투하로 가축 사육장이 파괴된 것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 8월 돼지고기 평균 가격은 1kg당 UAH 152.8흐리우냐로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다. 사료 가격이 오른 것은 아니지만 돼지고기 가격은 최소 20% 이상 상승한 것이다. 정부는 돼지고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수입을 늘리고 있다. 2022년 1~8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다. 수입량을 늘림으로서 국내 수요의 대부분을 해소하고 있다. 전쟁으로 국내 경제상황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제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참고로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2022년 9월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30만명에 달하는 예비군 동원령을 내렸다. ▲ UKAB(Ukrainian Agribusiness Club) 회의 장면(출처 : 홈페이지)
-
2022-09-15우크라이나 중앙은행(National Bank of Ukraine)에 따르면 2022년 9월 기준 거시경제 지표가 견조한 흐름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전쟁으로 초래된 위기가 다양한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극복할 여력이 충분하다는 의미다. 공공 부문인 물류와 에너지는 양호한 편이지만 민간 부문은 아직 충격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8월 인플레이션은 23.8%였으며 전월 22.2%와 비교해 소폭 상승했다. 높은 에너지 가격, 흐리우냐(UAH) 환율 하락, 러시아의 테러 공격와 동부 지역의 점령 등이 인플레이션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전쟁 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전략은 변화가 필요하다. 높은 실업률과 결합된 고물가는 소비자 수요에 치명적으로 나쁘다. 기업 활동이 침체되면서 구인도 농업과 건설 등 계절적 수요에 한정된다.수도인 키이우에서는 소매판매에서 구인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전쟁으로 IT 기업의 42%는 사업의 일부 혹은 전부를 해외로 이전해 관련 일자리가 대폭 감소했다. IT 인력 시장은 전쟁 이전으로 돌아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으로 사이버 보안의 위험성이 높아졌고, 글로벌 ICT기업의 우크라이나 투자금도 철수했기 때문이다.▲중앙은행(National Bank of Ukraine) 빌딩(출처 : 트위터)
-
유럽 솅겐조약 관련 정보 사이트인 솅겐비자인포(SchengenVisaInfo)에 따르면 폴란드 내 우크라이나 피난민의 22%만 겨울이 되기 전 고국에 귀국할 계획이다. 글로벌 고용에이전시인 Gremi Persona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설문 응답자의 35%는 2023년에 귀국할 계획이다. 26%는 전쟁이 끝나면 귀국할 것이며, 17%는 폴란드에 무기한 거주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우크라이나의 일부 지역은 지속적인 교전으로 전력과 수도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 우크라이나 내 실업률은 상승한 반면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피난민들에게 고용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설문조사는 우크라이나에서 강제로 피난한 1240명을 포함해 설문을 진행했다. 참고로 솅겐조약은 유럽 각국 간의 국경 출입 시스템을 최소화해 국경선이 없는 솅겐 지역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Gremi Persona 로고
-
2022-06-28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에 따르면 프랑스 항공기제조사인 에어버스(Airbus)와 US$ 10억달러 규모의 법정 분쟁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소송은 영국 런던(London)에서 진행되고 있다. 카타르 항공이 구입한 2대의 첨단 에어버스 A350 항공기가 낙뢰로부터 동체를 보호하는 금속층에 손상을 입은 이후 카타르 규제 당국에 의해 이륙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기 2대의 첨단 에어버스 A350 항공기는 3억달러의 가치가 있는데 도하(Doha) 허브공항에 계류돼 있다. 창문에 테이프를 붙이고 엔진도 덮인 채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하지만 유럽 규제 당국이 A350 항공기의 안전을 선언한 후 다른 항공사들은 A350 항공기를 계속 운항하고 있다. 에어버스는 A350 항공기의 품질 결함을 인정했다.하지만 설계에 내장된 백업 시스템의 수와 허용 오차 때문에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한다는 것은 부인했다. 카타르 항공은 추가 분석이 있을 때까지 에어버스가 주장하는 것에 대해 사실을 알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따라서 더 많은 에어버스 항공기의 인수를 거부했다. 참고로 에어버스는 보잉 787 시리즈의 경우에는 동일한 문제점이 없다는 내용의 문서를 런던 법원에 제출했다.▲공항에 계류된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의 항공기(출처 : 홈페이지)
-
영국 정부 산하 데이터 감시 기관인 ICO에 따르면 미국 본사의 얼굴 인식 회사인 클리어뷰 AI(Clearview AI)에게 £750만파운드의 벌금을 부과했다.클리어뷰 AI가 글로벌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웹에서 사람들의 이미지를 수집한 혐의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ICO는 클리어뷰 AI에게 영국 거주자들의 이미지 데이터를 시스템에서 삭제하라고 명령했다. ICO는 "클리어뷰 AI의 사업 모델은 용납될 수 없다" 고 지적했다. 클리어뷰 AI는 페이스북을 비롯한 다양한 웹사이트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영국을 포함한 전 세계 사람들의 여러 이미지를 수집해 200억개 이상의 이미지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2022년 5월 셋째주 클리어뷰 AI는 미국 전역의 기업이나 개인에게 얼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영구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중단하기로 동의했다. 반면 뉴욕에 본사를 둔 클리어뷰 AI는 소송이 제기된 일리노이주 외곽의 미국 세관단속기관, 다양한 법 집행기관, 정부 계약자들에게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예정이다.▲ICO(Information Commissioner’s Office) 홈페이지
-
2022-05-18인도 글로벌 전기통신서비스기업인 에어텔(Airtel)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나이지리아에서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7% 증가했다. 매출액은 US$ 47억달러에 달했다. 데이터, 음성 및 모바일 머니 가입이 늘어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매출별로 보면 음성은 15.4%, 데이터는 34.6%, 모바일 머니는 34.9% 각각 증가했다. 1분기 세전이익 마진은 49.0%였다. 영업이익은 15억3000만달러로 37.2% 늘어났다. 1분기 동안 고객은 8.7% 증가해 1억2840명을 기록했다.에어텔은 지난 12개월 동안 운용사 전반에 걸친 자금조달과 모바일 머니 및 송전탑 매각에 대한 소수 투자 수익으로 14억달러의 부채를 상환했다.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에어텔은 시장에 앞선 매출 성장을 목표로 중간 정도의 마진 확대를 지속할 방침이다. ▲에어텔(Airtel) 홈페이지
-
2022-05-16영국 우편 및 택배 회사인 로얄 메일(Royal Mail)에 따르면 향후 3년간 50개의 '우편 드론 노선'을 신설할 계획이다. 배달용 드론 사용을 늘리기 위한 목적이다. 앞으로 3년간 최대 200대 이상의 드론을 투입한다. 전국적인 서비스를 위해 500대 이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물류 드론업체인 윈드레이서(Windracers)와 제휴를 맺고 민간항공청(CAA)의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이번 조치로 배달이 어려운 먼 지역 및 외진 곳에 보다 빠르고 편리한 우편 및 택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섬 우편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한다.현재 로얄 메일은 악천후로 인해 배달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페리, 재래식 항공기, 육상 배달 등을 사용하고 있다. 첫 노선은 ▶실리 제도(Isles of Scilly) ▶셰틀랜드 제도(Shetland Islands) ▶오크니 제도(Orkney Islands) ▶헤브리디스 제도(Hebrides Island) 등이다.지난 1년 반 동안 로얄 메일은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섬, 상기 제도의 섬과 섬 사이의 비행 등 총 4회의 드론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에 사용된 드론은 섬과 섬 사이를 1일 2회 왕복하는 비행편에 최대 100kg의 우편물을 실을 수 있다. 편지와 소포는 현지 우체부나 여성이 배달한다. 우편 드론은 로얄 메일의 탄소 배출량을 더욱 줄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고객의 위치나 날씨에 관계없이 정시 배송을 하는 동시에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목표이다.지난 5년 동안 윈드레이서는 상업적으로 가장 실행 가능한 필수 물류 드론을 개발하는 데 집중해 왔다. 자율비행 배달 드론을 로얄 메일에 배치하는 것은 경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로얄 메일(Royal Mail) 로고
-
2022-05-10영국 국내 최대 편의점 체인 중 하나인 맥콜스 리테일 그룹(McColl’s Retail Group)에 따르면 파산 직전까지 몰리면서 수천 개의 일자리가 위험에 직면한 것으로 드러났다.대형 마트인 모리슨(Morrison's)과 주유소 및 편의점 체인인 EG 그룹(EG Group)이 맥콜스 리테일 그룹의 인수를 희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2월부터 맥콜스 리테일 그룹은 미래에 대한 우려를 완화할 새로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2021년 10월 주주들로부터 £3000만파운드의 현금을 조달했다.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맥콜스 리테일 그룹은 2022년 5월 현재 1만6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정규직은 6000명이다. 전국에 1100개의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다. 전체 중 200개는 현재 모리슨과의 제휴를 통해 모리슨 데일리(Morrisons Daily) 매장으로 운영된다.2022년 4월 말 맥콜스 리테일 그룹은 단기 자금 문제를 해결하고 향후 사업을 위한 안정적인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자금 조달 솔루션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모리슨의 구조조정 협정이 가능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지만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제3자 구매자에게 그룹 매각을 성사시키기 위해 파산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맥콜스 리테일 그룹(McColl’s Retail Group) 로고
51~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