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공급사"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효성중공업 빌딩 [출처=홈페이지]효성중공업(회장 조현준)에 따르면 2025년 5월14일(수, 현지 시각) 영국 스코틀랜드 송전기업 ‘스코티쉬 파워(Scottish Power)’와 850억 원 규모 초고압 변압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이번에 공급되는 400킬로볼트(kV) 초고압 변압기는 스코틀랜드 내륙 및 해안 풍력단지에서 생산하는 전력을 도심까지 안정적으로 송전하는 데 사용된다.효성중공업은 전력기술 선도시장인 유럽에서 잇따른 수주 성과를 올리고 있다. 유럽 전력시장은 인공지능(AI) 산업, 신재생에너지 등 전력 수요 증가로 송전망 투자가 활발해 연평균 8.6% 성장이 예상되는 지역이다.조현준 효성 회장은 AI시대의 핵심인 전력 산업 분야에서 효성중공업을 글로벌 대표 기업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조 회장이 강조한 AI시대에 대한 대비가 유럽에서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영국 스코틀랜드에 850억 원 규모 초고압 변압기 공급… 영국 시장점유율 1위스코틀랜드는 전 세계 부유식 해상풍력의 3분의 1가량이 몰려 있을 정도로 풍부한 바람 자원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활발한 지역이다.스코틀랜드 정부는 2045년까지 넷 제로(Net Zero,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및 송전망 투자를 높여가고 있다.효성중공업은 2015년 처음 스코틀랜드 시장에 진출해 10년간 제품 공급, 유지 보수 등 토털 솔루션 공급 업체로 인정받아 왔다. 특히 2022년부터는 영국 초고압 변압기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독일 최초 계약… 프랑스, 스페인 등 서유럽 영토 지속 확장효성중공업은 2025년 들어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도 잇따른 수주 성과를 올리고 있다. 최근에는 독일 송전업체와 국내 전력기기 업체로는 최초로 초고압 변압기, 리액터 등 전력기기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또한 프랑스 송전업체와도 지난해 첫 초고압 변압기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올해 초 추가 수주에도 성공했다.이 외에
-
▲ 미국 와이오밍주(州) 테라파워 SMR 발전소 조감도[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테라파워와 소형모듈원자로(SMR) 주기기 제작성 검토 등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테라파워(TerraPower)의 첫 SMR 사업에 주기기를 공급한다.이번 계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테라파워 초도호기 SMR 기자재의 제작 가능성 검토 및 설계 지원 용역을 수행한다.이후 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부터 원자로 보호용기(Reactor Guard Vessel), 원자로 지지구조물(Reactor Support Structure), 노심동체구조물(Core Barrel Structure) 등 주기기 3종에 대한 제작도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테라파워는 현재 미국 와이오밍주(州)에서 화력발전소 인근 부지를 활용해 345메가와트(MW) 용량의 SMR 1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테라파워는 자사의 SMR 초도호기가 적용되는 이번 사업을 위해 2024년 3월 4세대 SMR 개발사 중 처음으로 미국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 건설 허가를 신청했다.SMR의 발전구역(Energy Island) 시공에 착수했다. 이 사업은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으며 2030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순항하고 있다.테라파워는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인 빌 게이츠가 2008년 설립한 SMR 개발사로 4세대 원자로인 SMR의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이 기술은 핵분열을 통해 발생한 열을 액체 나트륨 냉각재로 전달하고 이 과정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BG 김종두 부사장은 “우수한 제작역량을 인정받아 이번 테라파워의 초도호기 SMR 사업에 참여하게 돼 큰 자부심을 느낀다. 앞으로 제작역량을 한층 고도화하고 신규 제작공장 건설도 추진해 글로벌 SMR 파운드리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최근 대전의 유명한 빵집인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성심당은 대전 지역 토착 빵집이지만 2023년 매출액 1243억 원을 기록하며 대형 프랜차이즈보다 위월한 실적을 기록했다.좋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 지역 경제에 이바지하는 경영 구조, 꾸준한 선행 등이 알려지며 ‘지역 명물’로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지속가능한 신뢰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는 경영목표 설정하는 것만큼이나 직접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자 또한 소비자의 선호가 어느 방향으로 향하는지 민감하게 감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 경영의 가치와 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주목을 받고 있다.국가정보전략연구소(이하 국정연)는 2000년대 초반부터 윤리경영(Business Ethics)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으며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 ESG 경영 등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해 왔다.다수 전문가가 합심해 ESG 경영 전반에 걸친 아젠다(agenda)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엠아이앤뉴스와 함께 국내 대기업의 ESG 경영을 분석 및 제언하기 긴 여정을 시작했다. ◇ 탄소국경세·택소노미가 국제무역의 핵심 이슈로 부상2020년 다보스 매니페스토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됐다. 서구 선진국은 기업이 지속가능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ESG 경영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해외 ESG 경영의 주요 이슈는 ESG 정보공개 표준화, 주주 행동주의, 탄소국경세 도입, EU 택스노미, 플라스틱 규제, 공급망 ESG 관심 고조, 생물다양성 논의 등이다. 핵심 이슈 몇 가지만 구체적으로 살펴보자.탄소국경세는 유럽연합(EU)이 2026년부터 도입하는 일종의 관세이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라고 한다. 자국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 및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전기제품 등이 첫 번째
-
2021-10-28남아프리카공화국 국영전력공사인 에스콤(Eskom)에 따르면 2개의 주요 석탄 공급사들과 계약을 체결해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를 개발할 계획이다.주요 석탄 공급사들은 엑사로(Exxaro), 세리티 리소스(Seriti Resources) 등이다. 에스콤은 이번 계약이 2050년까지 순수 이산화탄소 배출 제로(0) 상태를 유지하려는 자사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엑사로, 세리티 등은 연간 에스콤 석탄 공급량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한편 정부는 국내에서의 석탄 퇴출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영국, 유럽연합 등으로부터 R760억랜드의 자금을 지원받으려고 노력하고 있다.에스콤 역시 전력생산을 위해 자체적으로 석탄에서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한다. 참고로 에스콤은 남아공 국영전력회사이다.▲에스콤(Eskom)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경쟁소비자위원회(ACCC)에 따르면 BP가 울워스(Woolworths)의 연료소매 공급사업체를 인수하는 방안에 반대한다. BP는 영국의 글로벌 에너지 대기업이다.BP는 울워스의 531개 기존 주유소와 개발 중인 12개의 주유소를 인수할 계획이다. 인수에 성공할 경우 총 1400개의 주유소를 보유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ACCC는 이번 인수가 결정된다면 BP가 연료 소매공급산업의 경쟁을 상당히 줄일 것이라고 우려한다. 또한 자동차운전자들도 독과점으로 인해 휘발유가격이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걱정하고 있다.▲BP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유제품제조사 A2밀크(A2 Milk)에 의하면 네덜란드 유제품기업 신레이트밀크(Synlait Milk)의 지분 8.2%를 매입했다. 1460만 주를 $A 3.275달러에 인수했다. 우유판매업체와 낙농업체 간의 기존 공급계약을 바탕으로 이뤄진 지분판매 계약이다. 2012년 A2 Milk와 Synlait Milk는 중국에서 유아용 조제분유 판매 및 공급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낙농전문가들은 이번 계약으로 인해 A2 Milk가 안정적으로 제품판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A2 Milk의 주가는 최근 2.37달러로 거래됐으며 지난 12개월 동안 32% 상승했다. ▲A2밀크(A2 Milk) 로고
-
▲ 일본 선박업체인 닛폰유센(日本郵船) 소유 선박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선박업체인 닛폰유센(日本郵船)은 2016년 9월 유럽에서 미쓰비시상사 및 프랑스에너지업체와 연계해 선박용 액화천연가스(LNG) 공급 사업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선박의 환경규제 강화를 배경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은 LNG는 선박용 연료로서 높은 수요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에는 700만톤의 수요가 전망되며 유럽을 시작으로 연 20~30만톤 공급을 계획하고 있다.
-
일본 미쓰비시상사는 2016년 싱가포르 농업원자제업체 올람(Olam)과 공동으로 일본에 식품원료판매회사를 설립할 예정이다. 커피, 참깨 등을 수입하며 올람의 상품조달능력을 활용해 일본에서 식품원료공급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