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기술인재"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02▲ 쿠팡풀필먼트서비스, 오토메이션 엔지니어 250명 공채 [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 박대준)에 따르면 쿠팡풀필먼트서비스(이하 CFS)가 5월1일(목)부터 31일(토)까지 2분기 오토메이션 분야 기술 인재를 찾기위해 서류 모집을 실시한다.모집 분야는 쿠팡 풀필먼트센터(이하 FC) 내 로봇 관리, 자동화 물류설비 보전 등으로 정규직 엔지니어 250명을 공개 채용한다.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등 첨단 자동화 기술을 도입한 FC를 지속 확대함에 따라 인재 채용에 나섰다.채용은 오토메이션 관련 학과 졸업 혹은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거나 1년 이상의 경력자를 대상으로 사람인, 잡코리아, 자소설닷컴, 디맨드를 통해 서류 모집을 진행한다.채용 절차는 서류 접수, 전화 인터뷰, 화상 면접, 처우 협의 순이다. 최종 합격자는 6월부터 순차적으로 입사해 고양, 인천, 시흥, 안산, 용인, 안성, 곤지암, 동탄, 평택, 목천, 경산, 창원, 양산 등 쿠팡 FC에서 근무할 예정이다.한편 CFS는 학교법인 한국폴리텍, 백석대, 평택대, 청운대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2024년부터 오토메이션 분야 공채를 지속해 기술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쿠팡은 2026년까지 3조 원을 투자해 부산, 광주, 대전, 경북 지역 등에 9개 물류 인프라를 건립 및 운영할 예정으로 청년 포함 1만 명을 추가 고용할 방침이다.CFS 관계자는 “전 국민 100% 무료 로켓배송 추진을 위해서는 최고 수준의 역량을 갖춘 기술 인재를 조기에 확보하고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채용 역시 지역의 인재를 적극 선발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
글로벌 ICT기술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 따르면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Nairobi)에 US$ 2700만달러 규모의 새로운 기술인재센터를 개설했다. 상기 나이로비 기술인재센터 빌딩인 던힐 타워(Dunhill Towers)는 자가 난방 창문을 비롯해 시설을 가동하기 위한 미니 태양광 발전소, 물을 재활용하고 정화할 수 있는 정수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세계적 야망의 일환이다. 공간 사용률, 에어컨 및 조명 조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의 글로벌 오피스와 유사하게 건설됐다.새로운 나이로비 기술인재센터는 엔지니어링과 혁신을 이끄는 최고의 허브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시설 중 하나이며 차세대 기술 허브의 표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케냐 정부는 나이로비 기술인재센터가 젊은이들을 위한 디지털 공간으로서 첨단 기술을 확보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에서 세계 정상급 인재를 육성해 전 세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창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정부와 마이크로소프트 간의 상호 유익한 파트너십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램 관리, 기술 디자인, 콘텐츠 개발 등 연구 및 응용 과학 분야에서 케냐인들을 위한 정규직 일자리도 창출한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로고
-
글로벌 ICT기술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 따르면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Nairobi)에 US$ 2700만달러 규모의 새로운 기술인재센터를 개설했다. 상기 나이로비 기술 인재 센터 빌딩인 던힐 타워(Dunhill Towers)는 자가 난방 창문을 비롯해 시설을 가동하기 위한 미니 태양광 발전소, 물을 재활용하고 정화할 수 있는 정수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세계적 야망의 일환이다. 공간 사용률, 에어컨 및 조명 조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의 글로벌 오피스와 유사하게 건설됐다.새로운 나이로비 기술인재센터는 엔지니어링과 혁신을 이끄는 최고의 허브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시설 중 하나이며 차세대 기술 허브의 표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케냐 정부는 나이로비 기술인재센터가 젊은이들을 위한 디지털 공간으로서 첨단 기술을 확보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에서 세계 정상급 인재를 육성해 전 세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창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정부와 마이크로소프트 간의 상호 유익한 파트너십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램 관리, 기술 디자인, 콘텐츠 개발 등 연구 및 응용 과학 분야에서 케냐인들을 위한 정규직 일자리도 창출한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