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농산업"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0-12-22싱가포르 정부에 따르면 2030년까지 필요 영양소의 30%를 자체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기존의 10% 미만에서 식량 자체 생산 비중을 높일 방침이다.식품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기존의 체계에서 수입원을 다원화하는 것과 동시에 국내 생산에 집중하기 위한 목적이다.현재 주로 채소, 달걀, 어류를 생산하는 농가는 220곳이다. 2019년 해당 농가들은 잎채소 수요의 14%, 달걀 수요량의 26%, 어류 수요량의 10%를 각각 충족시킨 것으로 집계됐다.▲정부 빌딩(출처 : 위키피디아)
-
2020-12-22싱가포르 정부에 따르면 2030년까지 필요 영양소의 30%를 자체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기존의 10% 미만에서 식량 자체 생산 비중을 높일 방침이다.식품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기존의 체계에서 수입원을 다분화하는 것과 동시에 국내 생산에 집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현재 주로 채소, 달걀, 어류를 생산하는 농가는 220곳이다. 2019년 해당 농가들은 잎채소 수요의 14%, 달걀 수요량의 26%, 어류 수요량의 10%를 각각 충족시킨 것으로 집계됐다.▲정부 빌딩(출처 : 위키피디아)
-
오스트레일리아 농축산업 컨설팅업체인 Niche Agribusiness Consulting에 따르면 유제품 수요가 공급에 압력을 가하고 있어 국내 낙농산업은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드러났다.우유 생산량을 급격히 증가시키지 않으면 곧 유제품 수입국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일부 국내 치즈생산업체들은 이미 수입 유제품과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2002년 우유를 최대로 생산했는데 112억7000만 리터를 기록했다. 그 이후 국내 총 우유생산량은 87억 리터까지 줄어들었다.우유의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잃은 주요인은 기상악화 및 가뭄 등으로 인한 우유생산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증가로 인해 국내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는 증가했기 때문이다.국민들은 국내 생산량과 비슷한 연간 90억 리터의 우유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낙농산업을 회복시키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Niche Agribusiness Consulting 홈페이지
-
2019-03-20오스트레일리아 슈퍼마켓체인업체인 콜스(Coles)에 따르면 2019년 3월20일부터 우유가격을 1리터당 $A 10센트 인상할 계획이다.동종 기업인 알디(Aldi) 역시 우유가격 인상하는 계획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울워스((Woolworths)도 지난달부터 우유가격을 올렸는데 가뭄으로 어려운 낙농가들을 돕기위한 목적이다.소비자들도 낙농가 돕기위한 목적으로 1리터당 6.5센트 인상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국내 주요 슈퍼마켓들은 자체 브랜드 우유의 가격도 인상한다.인상되는 10센트를 낙농가들에게 직접 돌려줘 낙농산업을 회복하는 기반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 2011년 처음 1리터당 1달러짜리 우유제품이 도입된 이후 우유공급업자인 낙농가들은 우유가격 하락을 반대했다. ▲콜스(Coles) 식료품 매장의 다양한 우유 제품(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낙농기업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다음주부터 농가 우유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고형분 우유 1킬로그램당 $NZ 6.00달러인데 소폭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이로써 낙농산업 전체는 13.5억 달러 상당의 소득이 오를 것으로 판단된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6달러대 초반이 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ABS은행은 6.75달러까지 높아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만약 6달러대가 유지되면 2년 연속 높은 가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2014/15년은 킬로그램당 4.40달러, 2015/16년은 킬로그램당 3.90달러로 약세를 보인 것과는 대비된다.▲낙농기업 폰테라(Fonterra)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소비자단체 초이스(Choice)에 따르면 유통업체가 판매하고 있는 $A 1달러 우유가 낙농산업에 위협적이다.2016년 8월 농업부는 우유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대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도 유통업체가 소비자들에게 1리터 우유를 1달러에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