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사업소"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26▲ 한국전력공사 로고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5월23일(금) 16시 서울 한전 아트센터에서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대표 박재욱)와 ‘업무용 공유 차량 서비스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공기업 최초로 ‘업무용 공유 차량 서비스’를 도입해 차량 운영비용 절감에 나선다. 이날 협약식에는 한전 안중은 경영관리 부사장과 쏘카 남궁호 CBO가 참석했다.‘업무용 공유 차량 서비스’는 한전이 보유한 차량 대신 공유 차량을 업무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한전은 쏘카에 공유 차량의 주차장 부지를 제공한다. 쏘카는 한전에 업무용 공유 차량 사용 요금의 60퍼센트(%)를 할인해 주고 주차장 이용료를 부담할 예정이다.우선 한전은 2025년 상반기까지 서울특별시 소재 15개 사업소 구내 주차장에 ‘쏘카존’을 설치해 공유 차량을 업무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전국 52개 사업소로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이번 서비스 도입은 한전이 그동안 자체적으로 보유했던 차량 구매비와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한전은 이번 사업을 통해 향후 10년간 차량구입비 77억5000만 원, 차량운영비 11억 원 등 89억 원의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또한 한전은 사업소 주차장 내 쏘카존을 설치해 지역사회에 안전하고 편리한 공유 교통 환경을 제공하는 등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쏘카는 매출을 늘려 양사의 상호 이익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안중은 한전 경영관리 부사장은 “이번 협약은 한전이 전반적인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작은 수익까지도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다”며 “앞으로도 업무 혁신을 통한 비용 절감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재무개선에 기여할 것이다”고 밝혔다.
-
▲ 일본 통신, 보안, 패키징, 전자솔루션을 제조하는 톳판(TOPPAN)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통신, 보안, 패키징, 전자솔루션을 제조하는 톳판(TOPPAN)에 따르면 2023년 12월5일 JOLED의 노미사업소를 인수했다. JOLED의 노미사업소는 이시카와현에 있다.노미사업소는 JOLED의 주력 공장으로 부지 면적이 9만9612㎡, 건물 면적은 10만683㎡에 달한다. 2019년부터 세계 최초로 인쇄방식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양산하던 공장이다.또한 유기 EL 디스플레이 외에도 하이앤드 모니터, 의료용 모니터, 자동차용 모니터 등을 생산했다. 하지만 2023년 3월 JOLED가 파산하며 관련 사업소가 방치돼 있는 상태였다.톳판은 인수한 공장에 2027년부터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해 개발 및 양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기존 설비 중 일부는 FC-BGA의 생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다.현재 전 세계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필요한 데이터센터의 구축 붐이 일고 있다. 따라서 서버용 및 생성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하는 중이다.톳판은 2025년까지 FC-BGA를 생산하는 니가타공장의 생산능력을 2022년 대비 2배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수요가 늘어나면서 기존 공장 설비만으로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이번 인수를 결정했다.
-
▲ 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에 따르면 개호사업소 직원의 텔레워크(원격근무)을 허용할 계획이다. 향후 전문가회의를 통해 원격근무가 가능한 업무를 결정할 방침이다.개호산업의 낮은 인건비, 높은 노동 강도 등으로 인력 부족현상이 심화되면서 새로운 일하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기 때문이다.후생노동성은 서비스 이용자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현장을 담당하는 직원을 일정 숫자만큰 확보한 이후에 원격근무를 시작한다는 입장이다.원격근무가 가능한 대표적인 업무는 이용자의 관리 계획 수립, 식단의 작성 등이다. 개호전문직인 케어 매니저, 영양사, 물리치료사 등이 새로운 제도의 혜택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2020년 1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많은 업게에서 원격근무가 도입됐다. 하지만 개호업계는 이용자의 돌봄 등을 위해 근무자가 시설에 방문해야 하므로 도입에 난색을 표했다.최근 후생노동성은 원격근무에 대한 조사를 시행했으며 조사 대상자 대부분은 원격근무를 도입해도 업무에 큰 지장이 없다고 답변했다.
-
중국 통신대기업 차이나유니콤(中国联通)에 따르면 2017년 실현영업수입(사업소득)이 2748억3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동기간 주영업무수입(매출액)은 2490억2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4.6% 늘어났다. 모회사에 귀속되는 순이익이 4억3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6.4% 증가했다.자산손실 부분을 제외할 경우 모회사에 귀속되는 순이익은 11억5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억 위안 늘어나게 된다.차이나유니콤은 전통적인 사업의 축소와 경쟁의 심화, 속도개선의 한계, 가격다운 정책 등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회사는 상품모델 전환을 빠르게 추진하고 품질 개선개발을 가속화, 발전동력의 전환, 품질향상에 노력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China_China Unicom_Logo▲차이나유니콤(中国联通, China Unicom) 로고
-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에 따르면 2017년 1~5월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산업의 사업소득이 2조307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했다.산업의 실현 이윤총액은 2378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이중 5월 단월 순이익은 14.6% 늘어났다. 중국 내 동서지역 몇몇 성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산업이 급격히 성장했다.2017년 1~5월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은 안정화 되면서 매출, 이익이 매달 성장하고 있다. 산업전문가 역시 차츰 증가하고 있으며 임금수준도 상승국면에 있다. 반면 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China_MIIT(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_Homepage 13▲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 홈페이지
-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에 따르면 2017년 1~5월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산업의 사업소득이 2조307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했다.산업의 실현 이윤총액은 2378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이중 5월 단월 순이익은 14.6% 늘어났다. 중국 내 동서지역 몇몇 성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산업이 급격히 성장했다.2017년 1~5월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은 안정화 되면서 매출, 이익이 매달 성장하고 있다. 산업전문가 역시 차츰 증가하고 있으며 임금수준도 상승국면에 있다. 반면 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에 따르면 2017년 1~5월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산업의 사업소득이 2조307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했다.산업의 실현 이윤총액은 2378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이중 5월 단월 순이익은 14.6% 늘어났다. 중국 내 동서지역 몇몇 성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산업이 급격히 성장했다.2017년 1~5월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은 안정화 되면서 매출, 이익이 매달 성장하고 있다. 산업전문가 역시 차츰 증가하고 있으며 임금수준도 상승국면에 있다. 반면 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에 따르면 2017년 1~5월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산업의 사업소득이 2조307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했다.산업의 실현 이윤총액은 2378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이중 5월 단월 순이익은 14.6% 늘어났다. 중국 내 동서지역 몇몇 성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산업이 급격히 성장했다.2017년 1~5월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은 안정화 되면서 매출, 이익이 매달 성장하고 있다. 산업전문가 역시 차츰 증가하고 있으며 임금수준도 상승국면에 있다. 반면 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
중국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는 지난 11월21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WHO회의에서 공공장소 내 흡연규제를 중국 전역에 실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2016년 내 발표 및 시행할 수 있는 법적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약 20개 도시에서 공공장소에서 금연하도록 하고 있다.중국 성인인구의 약 28%가 흡연 인구로 세계최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성인 남성의 약 50%가 흡연 중독자이다.세계 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중국인이 담배 질환과 관련해 연간 100만 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간접 흡연으로 약 10만 명이 사망하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중국 베이징시는 2015년 6월 사업소, 음식점, 호텔, 병원 등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엄격한 금연 조례를 발표했다. 위반 시설에 대해서는 최대 1만 위안의 벌금을 부과하게 된다.상하이시는 2016년 11월 둘째주에 실내 전면 금연, 버스정류장과 학교의 야외, 경기장 등 공공시설 등에서 금연하는 담배 규제조례를 개정했다.하지만 중국 국유기업인 국가연초전매국의 2015년도 세입은 1조1000억 위안으로 2014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중국 담배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다. 또한 중국이 세계 최대 담배 생산국이자 수입국이기도 하다.따라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금연정책의 영향으로 세수감소뿐만 아니라 담배를 생산하는 농민공의 소득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China_NHFPC(National Health and Family Planning Commission)_Homepage 2▲중국 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 홈페이지
-
일본 전자기기업체 히타치맥셀(日立マクセル)은 2016년 가스나 수도 등 스마트미터에 사용하는 소형전지의 생산능력을 2배 확대한다고 밝혔다.이를 위해 올해 9월까지 효고현에 위치한 오노사업소에 13억 엔(약 143억 원)을 투자해 생산라인을 증설한다.스마트미터의 세계 시장이 연평균 5% 성장할 것으로 전망돼 소형전지의 거래문의가 증가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당사는 지난 2014년 9월부터 자동차용 소형전지에 18억 엔을 투자를 시작했으며 향후 추가적으로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스마트미터 소형전지 이미지(출처 : 히타치맥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