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소형화"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일본 다이킨공업(ダイキン工業)에 따르면 2017년 4월부 매장과 사무실용 멀티에어컨의 신제품을 발매할 예정이다.소규모빌딩이나 밀집돼 있는 도시지역에서는 멀티에어컨의 실외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과 소형 실외기를 여러 대 설치 후 유지관리가 어려웠다.발매 예정인 멀티에어컨은 기존 제품에 비해 약 58% 소형화, 43kg으로 경량화를 실현시켜 설치 면적이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다.▲멀티에어컨 이미지(출처 : 다이킨공업)
-
일본 정수기업체인 니혼트림(日本トリム)은 2016년 9월 후쿠시마현립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전기분해한 물을 사용한 인공투석용 장치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기존제품 대비 장치면적을 40% 줄이고 무게를 1/3인 60킬로그램으로 소형화했기 때문에 투석치료에 동반하는 권태감 등의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일본 공작기계업체인 야마자키마작(ヤマザキマザック)는 2016년 9월 공작기계에 가공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소형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공장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거나 과소화로 인해 인력난이 발생하고 있는 중소제조업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가공물을 담는 파렛트를 원형으로 배치해 기존기계보다 점유면적을 절반으로 줄였다.
-
일본 전자기기업체 브라더공업(ブラザー工業)은 2016년 7월 비상전원용 연료전지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비상전력을 대폭소형화 가능하고 연료케이스를 교환할 경우 72시간 운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일본 도금업체인 쿠마모토보우세이공업(熊本防錆工業)는 2016년 이시다산업 등과 3D반도체용 도금장치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반도체를 겹쳐쌓으며 전자부품을 작게 만들면 휴대용가전 등을 소형화할 수 있다. 각 업체는 새로운 반도체의 생산방식에 맞는 장치의 생산성을 높인 뒤 올해 안에 수주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
일본 전자기기제조업체인 도시바(東芝)는 2016년 자립형 수소에너지 공급시스템인 ‘H2One'의 자동차 모델을 공개했다. 기존 고정형에 비해 소형화돼 재해 시 필요한 장소에 전기와 물을 공급가능한 차량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
2016-04-15일본 자동기계업체인 CKD는 2016년 발열억제에 특화돼 기존제품과 같은 사이즈에서 최대 10배 출력이 가능한 코일제품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카메라제조업체인 니콘의 소형 반도체 제조장치에 채용된 이 코일은 장치소형화 및 생산효율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코일은 철사 등의 가늘고 긴 금속선이나 띠를 감은 것으로 전기나 자기를 발생하기 때문에 동력원 등에 이용된다. 전류를 흘리면 금속의 저항으로 열이 생기기 때문에 큰 전류를 흘리면 주변기기를 망가트리는 일이 생긴다.CKD가 개발한 코일은 고열전도코일의 위아래를 산화알루미늄으로 코팅하고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구조인 산화알루미늄의 냉각판과 접합시켰다. 열을 전달하기 쉬운 부분에 냉각판을 붙여 전류를 흘리면서도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구조다.CKD에 따르면 이런 구조의 코일은 세계 최초로 코일 1개당 흘리는 전류량이 상승하면 많은 코일을 사용해야 했던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번 코일유닛을 사용한 제1탄 제품은 니콘과 공동개발해 특허출원한 모터다. 니콘은 웨이퍼에 반도체회로를 각인하는 액침노광 장치인 450mm웨이퍼의 이동장치(웨이퍼홀더)에 모터를 탑재했다.웨이퍼홀더의 모터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생산능력이 크게 향상됐고 웨이퍼대의 면적도 소형화할 수 있었다.CKD는 코일유닛이 여러 기업에서 상품문의가 많아 향후 주력제품으로 용도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응용제품으로는 큰 전류가 필요한 트랜스와 노이즈필터, 리액터 등의 탑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CKD 로고
-
일본 자동기계업체인 CKD는 2016년 발열억제에 특화돼 기존제품 대비 10배 출력이 가능한 코일제품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소형 반도체의 제조장치에 채용되는 이 코일은 장치소형화 및 생산효율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기공사업체 스미토모기공업(住友電気工業), 2015년 4월 휴대성 높인 차세대 대형축전지를 세계에 발매하며 2020년까지 연 1000억 엔 규모의 매출액 목표... 전력망제어를 위한 업체의 수요확대를 전망하고 있으며 재료가격을 낮춰 경쟁력 강화에도 주력할 방침
-
전자부품제조업체 TDK, 2016년 9월부 자동차 엔진룸 설치용으로 개발한 전력변환 부품인 코일을 월 500만 개 생산 계획...자동운전용으로 증산 중인 전자제어장치(ECU)의 소형화 및 고내열에 효과적일 것으로 전망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