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윙"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11▲ SK네트웍스 로고[출처=SK네트웍스]SK네트웍스(대표이사 이호정)에 따르면 2025년 3월11일 퀄컴과 협업을 통해 본사 및 자회사 등 보유 사업에 퀄컴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접목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이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온디바이스 AI 중심의 새로운 사업 모델 구축이 이뤄질 예정이다. SK네트웍스는 AI 중심 사업 지주회사로서 본·자회사의 혁신을 이끌며 미래 사업 가치를 키우고 있다.퀄컴 테크날러지스 Inc.(Qualcomm Technologies Inc.)와 손잡고 AI 사업 강화에 나선다. 퀄컴은 SK네트웍스에 온디바이스 LLM (On-device LLM)을 지원하는 ‘퀄컴 드래곤윙 QCS6490(Qualcomm Dragonwing™ QCS6490)’ 등 IoT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퀄컴 드래곤윙 QCS6490은 산업 및 상업용 IoT를 위한 고성능 SOC 솔루션으로 로봇, 드론, 게이트웨이, 태블릿, 키오스크 등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이를 통해 투자사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을 전개하며 AI 연계 사업모델을 접목 중인 SK네트웍스 특성에 맞춘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SK네트웍스는 본사 및 자회사들의 퀄컴 기술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수한 IoT 솔루션을 활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성능과 보안성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아울러 글로벌 기술·투자 업계 전문가 네트워크인 하이코시스템(Hicosystem)을 기반으로 확보한 역량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진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2024년 초 ‘AI 민주화를 통한 인류 문명화’란 비전을 선포한 바 있는 SK네트웍스는 보유 사업별로 AI를 연계한 사업모델 구축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다.SK스피드메이트는 독일 DAT와 협력해 AI 자동견적시스템 등의 서비스를 적용할 예정이다. 엔코아의 경우 2024년 10월 생성형 AI가
-
2025-02-27▲ 하림이 출시한 급식용 ‘자연실록 염지 닭고기’ 제품. 왼쪽부터 닭다리(북채), 다리살(정육), 가슴살[출처=하림]종합식품기업 하림(회장 김홍국, 대표이사 정호석)에 따르면 급식 전용 신제품 ‘자연실록 염지 닭고기’ 9종을 출시한다.하림은 집에서도 집 밖에서도 안심하고 맛있는 닭고기를 맛볼 수 있도록 무항생제, 동물복지 등 최상의 프리미엄 제품을 급식용으로 선보이고 있다.이번에 출시하는 ‘자연실록 염지 닭고기’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무항생제 인증을 받은 농가에서 키운 닭을 사용해 더욱 믿을 수 있다.신선한 100퍼센트(%) 국내산 닭고기를 깨끗하게 손질한 뒤 속까지 골고루 간이 배게 한 제품이라 따로 염지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닭다리(북채) △통다리 △안심 △가슴살 △다리살(정육) △봉(윗날개) △윙(아랫날개) 등 총 7가지 부위나 되며 닭다리(북채)와 통다리는 칼집 낸 제품까지 총 9종이다.신학기를 맞아 닭튀김, 구이 등 학생들이 좋아하는 급식 메뉴에 다채롭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하림은 "급식용 프리미엄 닭고기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자연실록 염지 닭고기 부분육 9종을 급식 제품으로 출시한다"며 "학부모와 학생, 급식 전문가 모두 만족하는 급식용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 유럽 주요국 영국‧프랑스‧아일랜드 및 유럽연합(EU)의 국기 [출처=CIA] [유럽] 유럽연합(EU) 7월5일부로 중국산 수입 전기자동차(EV)에 추가 관세 최대 37.6% 부과 예정… 기존 관세 10%에 더하면 최대 관세 48%에 달해 중국과 무역 소송‧긴장 고조될 전망*추가로 부과하는 관세 수준 각 제조업체별로 달라- MG 모기업인 상하이자동차(SAIC) 37.6%, 지리(Geely) 자동차 19.9%, 비야디(BYD)에 17.4%의 관세가 각각 추가로 부과될 예정- EU의 보조금 금지 조사에 협조한 테슬라‧BMW 등 기타 제조사에는 20.8% 관세 추가 부과테슬라는 모델3를 BMW는 iX3 및 전기 SUV를 중국에서 생산해 유럽으로 수출하고 있음*추가 관세 부과에 따른 자동차 업체별, 국가별 반응과 대응 상이- 중국 전기차 제조사 니오(Nio) : 유럽에서 판매하는 고급 세단 ET7 등 가격 조정할 가능성 있음 시사- MG 자동차 프랑스 : MG4 모델, 11월까지 판매할 재고 충분해 당분간은 큰 가격 인상 없이 판매 가능- 다치아(Dacia) 자동차 : 향후 가격이 인상될 수는 있으나 당분간은 갑작스런 큰 폭의 가격 인상은 없을 것*독일 자동차 업계는 금번 EU의 추가 관세 비판- 폭스바겐 : 현재 독일과 유럽은 배터리 전기차(BEV)에 대한 수요가 약해 지금의 타이밍에서 관세 부과는 불리하다고 비판- 獨 자동차산업협회(VDA) : “중국은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에서 결정적인 역할 하고 있어 중국과의 무역 갈등은 유럽의 자동차 시장 디지털화를 위태롭게 할 것”이라며 우려[유럽] 유럽 최대의 다국적 항공기 제조업체 에어버스(Airbus), 필리핀 저가항공사 세부퍼시픽의 240억 달러(약 33조3000억 원) 규모 여객기 판매 계약 수주*세부퍼시픽, A321네오 102대 및 A320네오 50대 포함 최대 152대 여객기 구매 예정 및 올 3분기까지 구매 계약 완료 예정… 현재 세부퍼시픽 에어버스 항공기 66대
-
2021-07-09미국 드론서비스업체 윙(Wing)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시행하는 드론 배달 서비스에서 '커피‘가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윙은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Alphabet)이 소유하고 있다.윙의 드론 배송 서비스는 2019년 캔버라를 중심으로 점차 교외 지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윙과 계약을 맺은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모바일 앱을 연동해 소비자들이 스마트폰으로 드론 배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배송 서비스에 투입되는 드론은 윙이 자체 개발한 자율비행드론 ‘파워링 윙(Powering Wing)’이다. 파워링 윙은 드론 기체인 동시에 무인기교통관리(UTM) 플랫폼을 모두 아우르는 명칭이다.파워링 윙은 소형 드론에 속하며 최대 적재량은 3.3파운드(약 1.5킬로그램)에 달한다. 가벼운 빵제품이나 초콜릿, 가정용 배터리 등을 배달할 수 있는데, 특히 커피가 가장 높은 수요를 보인 것이다.윙에 가입된 퀸즐랜드의 커피업체들은 인근 가정집을 중심으로 커피 배달 주문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한다. 현재 윙의 드론 배송은 출발지점으로부터 약 50미터 내외에서 이뤄지고 있다.현재 윙의 드론 배송 서비스는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특정 지역과 핀란드 헬싱키에서 진행되고 있다. 지금은 소규모 소품종에 국한되고 있지만 향후 다양한 품목으로 확대될 전망이다.▲윙 드론 배송서비스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7-01미국 구글의 드론사업 계열사인 윙(Wing)에 따르면 드론 조종사에게 비행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 ‘오픈스카이(OpenSky)’를 출시했다.오픈스카이는 2019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다. 이번에는 미국 드론 비행규정 및 공역 정보에 맞춰 새롭게 업데이트해 출시한 것이다.드론 조종사는 오픈스카이를 통해 비행에 안전한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한되는 영공 지역도 인지할 수 있으며 영공 사용에 대한 인증도 받을 수 있다.오픈스카이는 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비행 인증 및 경보 기능(Low Altitude Authorization and Notification Capability, 이하 LAANC)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을 획득했다.LAANC는 공역 내 드론 비행 통합 관리시스템으로써 조종사 인증제라고 보면 된다. 현재 연방항공청이 LAANC 서비스 제공업체로 인증한 회사는 윙을 포함해 총 16개사가 있다.드론 조종사가 기본 규정인 고도 400피트(약 121미터) 미만에서 비행하려면 LAANC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에 필요한 데이터는 UAS 정보, 항공고시보(NOTAM), 일시항공규제(TFR) 등 다양하다.윙의 오픈스카이로 LAANC 승인을 받은 드론 조종사는 이후 비행 시 실시간으로 쉽게 승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연방항공청에서 제공하는 영공 정보 맵을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다.무료로 제공되는 오픈스카이의 또 다른 장점은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OS를 모두 지원한다는 것이다. 취미용 드론은 물론 상업용 드론 조종사도 모두 이용할 수 있다.글로벌 드론산업을 연구하는 국가정보전략연구소는 “한국에서도 안전한 드론 비행을 위해서는 오프스카이와 같은 공역 정보 및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며 "국내 드론산업의 발전을 위한 인프라는 여전히 낙후된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오픈스카이 구동 화면(출처 : 윙 홈페이지)
-
2021-06-21독일 드론기술업체 피닉스 윙스(Phoenix Wings)에 따르면 몰타에서 최초 배송용 드론의 처녀 비행이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몰타는 유럽의 대표적인 도서 국가로 전체 인구는 44만명에 달한다. 인구는 적지만 섬으로 이뤄져 있어 물리적 행정시스템의 관리가 취약한 편이다.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의료용품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섬 지역이 발생했다. 따라서 드론을 활용한 배송 업무에 관심이 쏠리기 시작했다.결국 피닉스 윙스를 비롯한 투자업체 쿠에어로(QuAero), GPS 기술업체 핸즈 온 시스템즈(Hands On Systems)가 협력해 의료용품 드론 배송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됐다.3개 업체가 협력해 제작한 드론은 스카이맥스(Skymax)이며 총 개발비만 € 10만유로가 소요됐다. 다량의 의료용품을 배송하기 위해 적재용량은 10킬로그램으로 넉넉하게 설계했다.지난 6월 18일 이뤄진 처녀 비행은 몰타의 수도 발레타에서 고조 섬까지 이동하는 데 성공했다. 코로나 진단 키트와 혈액 팩을 싣고 20분 안에 목적지까지 도착했다.추후 몰타의 주요 3개 섬 모두에서 의료용품 배송용 드론의 테스트 비행이 실시될 예정이다. 의료용품 배송이 성공하면 일반 생필품까지 배송 품목을 확대할 계획이다.▲피닉스 윙스의 의료용품 배송용 드론의 자율비행 경로(출처 : 홈페이지)
-
2021-06-03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 (주)씨너렉스, (주)시스테크, (주)코코드론, (주)스카이뷰 등 10개 업체를 소개했다.다음으로 UMAC Air, (주)무지개연구소, 지오소나(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노뎁(주), 유콘시스템(주), (주)이스턴스카이, (주)드론월드, BSTARCOM, (주)올포랜드, 해양드론기술, (주)케이씨에스, (주)엠지아이티, (주)유시스에 이어 소개하려는 기업은 엔젤스윙이다.엔젤스윙은 2015년 네팔 대지진때 피해 복구를 위해 드론 매핑 프로젝트를 수행한 후 2016년에 법인을 설립한 드론 데이터 솔루션 전문기업이다.지금까지 드론 매핑 누적 횟수는 1500회 이상, 매핑 면적은 서울 면적의 20배인 약 1만2600ha 이상, 도급 순위 20위권내 건설사 도입 비율이 60%에 달한다.주요 제품 드론 데이터 솔루션 엔젤스윙은 건설 현장의 가상화 및 측량, 드론 데이터 활용 및 분석 등 건설 현장 이해관계자를 위한 솔루션이다.♦ 엔젤스윙 솔루션 기능(출처 : 홈페이지)현장 가상화, 정확한 측량, 데이터의 자동 처리, 드론 데이터의 완벽한 활용 등이 특징이다. 정확한 위치 마커 생성, 거리·경사도·면적 측정, 다중 종횡단면도 생성, 날짜별 체적량 비교 계산, 계획고 기반 체적량 계산, 데이터 다운로드 및 공유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활용분야는 건설, 광산·골재, 재난, 환경, 계획·설계 등으로 건설 분야의 계획 및 설계 에서는 실제 현황을 반영한 정밀한 설계와 토지보상 근거 자
-
2021-04-29미국 구글의 드론사업 계열사인 윙(Wing)에 따르면 드론을 활용해 버지니아주 걸스카우트의 쿠키 나눔사업에 동참하고 있다.걸스카우트에서 만든 민트초코 쿠키를 윙사 드론에 실어 버지니아주 주요 지점이나 주택의 문 앞에 직접 배송하고 있다.이미 2019년부터 해당 주 크리스천스버그 마을에서 상업용 드론 배송을 위한 테스트 베드를 구축한 바 있다. 같은 해 가을, 총 중량 10파운드(약 0.5kg) 드론으로 2~3파운드의 물품 배송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후 다양한 배송 연계 사업을 전개하던 중 걸스카우트의 쿠키 나눔사업이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에 ‘비대면’ 배송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 것이다.다만 배송 지역이 도심지 외 인구밀도가 낮고 유동 인구가 적은 곳으로 한정돼 있어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참고로 윙(Wing)은 쿠키 외에도 지역 상품인 커피, 타코스, 패스트리와 페덱스 택배물 그리고 일반의약품까지 배송 품목에 추가했다.▲쿠키배송용 드론을 바라보고 있는 걸스카우트 대원들(출처 : Wing 유튜브 홈페이지)
-
2021-04-29독일 우주항공업체 윙콥터(Wingcopter)에 따르면 2021년 4월 28일 세계 최초로 ‘트리플 드롭 드론(triple-drop delivery drone)’을 출시했다.트리플 드롭은 3개의 적재함을 실을 수 있는 페이로드가 장착된 드론이다. 기존 배송용 드론보다 한번에 운반할 수 있는 물품이 늘어난다.배송 물품의 증가는 그만큼 운행 시간과 중량이 늘어난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성능이 개선되고 로터 모터가 추가됐다.배터리는 1회 충전으로 총 6kg 상당 물품을 75km 지역까지 배송할 수 있다. 로터 모터는 기존 드론에 장착했던 쿼드(4개)가 아닌 옥타(8개)로 늘렸다.주목할 점은 배송용 드론의 핵심 경쟁력인 이동 속도다. 개발된 드론의 최고 이동 속도는 시속 150km로 향후 특급 배송에 적합할 것으로 평가를 받았다.참고로 트리플 드롭 드론의 모델명은 Wingcopter 198이며 Wingcopter 178의 후속작이다. 현재 미국 연방항공청(FAA) 인증이 진행되고 있다.▲트리플 드롭 드론 Wingcopter 198(출처 : Wingcopter 홈페이지)
-
2018-12-31미국 글로벌 ICT기업인 알파벳(Alphabet)에 따르면 2018년 12월말 현재까지 2000건의 드론 택배를 수행한 것으로 집계됐다.자회사 프로젝트윙(Project Wing)의 드론(drone) 택배서비스가 11월 중순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수도특별행정자치구역(ACT)에서 시작됐다.드론 택배는 ACT의 보니턴(Bonython), 캔버라(Canberra) 등에서 이행됐다. 안전사고는 전혀 없었고 다만 비행 중에 발생한 5건의 비상착륙 상황이 있었다.한편 거주민 중에는 드론 택배의 소음에 항의한 사례가 많았다. 드론의 프로펠러 소음이 거주민의 신경을 거슬리게해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많은 고객과 드론 택배서비스에 참여한 사업체들이 프로젝트윙의 드론 택배서비스를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프로젝트윙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계속해서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윙팀은 2019년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겨울 상황에서 드론 택배서비스 기술을 테스트할 계획이다. ▲ 프로젝트윙(Project Wing), ACT에서 드론택배 서비스(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