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공기업 ESG 2차 평가] 63. 에너지경제연구원(KEEI)...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지만 경영 정상화 추진할 기구는 부재
적자 경영 극복해야 국민 세금부담 줄어들어... 임직원 대상 교육 교재 및 실적 부재해 실천 의지 의심
민서연 주임기자
2025-07-22
1986년 설립된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은 에너지 시장 및 산업의 국내외 환경 변화를 조사분석하고 에너지 정책 연구를 포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가 에너지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설립 목적으로 한다. 

경영비전은 ‘지속가능한 성장과 국가경쟁력 제고에 공헌하는 에너지정책연구 선도’로 수립했다. 기관 설립목적은 ‘국가 에너지정책 수립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로 밝혔다. 

경영목표는 △국정과제 이행 지원을 위한 에너지정책 제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래 에너지정책 연구선도 △조직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경영혁신으로 정했다.

조직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경영혁신을 위한 추진전략으로는 △ESG 경영체계 고도화 △안정적 연구기반 구축 △성과확산·소통 시스템 개선으로 수립했다. 

KEEI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EEI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2022년 ESG 1차 평가... 수탁연구·정부위탁사업 전체 사업의 62.9%이지만 부채총계 105억

2021년 12월11일 노사공동으로 ESG 경영 선포식을 개최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전 직원의 의견을 수렴해 ‘2022~2024년 ESG경영 추진체계’를 마련해 10월 ESG경영위원회에서 최종 확정했다. ESG 경영 추진계획은 10대 추진과제와 25개 실천과제로 구성됐다.

홈페이지에 ESG 경영헌장은 없다. 윤리경영을 위해 윤리규범·임직원 행동강령·연구윤리헌장·연구윤리규정을 제정했다. 연구윤리 강화·예산집행 투명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 구축·자체 감사활동 강화 등이 윤리경영을 위한 노력 일환이다.

자체 감사부서는 정원 0명에 현원 2명으로 설치됐다. 2021년 12월31일 기준 전문인력은 정원에 포함되지 않지만 1명이 배치돼 있다. 노동조합은 단일노조로 운영되고 있다. 

2021년 정규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9176만 원, 무기계약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4455만 원으로 무기계약직 평균 연봉이 정규직 평균 연봉 대비 48.5%에 불과하다.

정규직 여성의 연봉은 7033만 원으로 남성의 연봉 9721만 원 대비 72.3%로 낮다. 동일직종 동일 근속년수의 경우 남녀 보수는 동일하나 경력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다.

최근 3년간 징계 건수는 △2020년 1건 △2021년 1건 △2022년 3월31일 기준 3건으로 집계됐다. 징계사유는 △직장 내 성희롱 △대외활동 미신고 △근태기록 부정행위 등으로 드러났다. 이외 기간의 징계 건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사회공헌활동에서 봉사활동 횟수는 △2017년 5회 △2018년 4회 △2019년 7회 △2020년 12회 △2021년 10회로 등락을 반복했다. 기부 금액은 △2017년 1153만 원 △2018년 190만 원 △2019년 450만 원 △2020년 2379만 원 △2021년 1115만 원을 기록했다.

홈페이지에 임직원을 대상으로 ESG 경영을 교육시킬 교재는 없다. 홈페이지에 에너지 부문 연구자료와 연구보고서 외에도 정기간행물을 공개했다. 정기간행물은 에너지포커스·국제원유가격·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등 글로벌 에너지 관련 동향이 주류를 이뤘다. 


▲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사업장별 에너지 총사용량은 △2016년 14.3TJ(테라줄) △2017년 13.7TJ △2018년 14.9TJ △2019년 14.6TJ △2020년 14.7TJ을 기록했다. 

저공해 자동차 보유 현황은 △2019년 1종 1대·일반차량 4대 △2020년 1종 1대·일반차량 4대 △2021년 1종 1대·일반차량 4대로 집계됐다. 저공해 자동차 구매·임차 현황은 해당 사항이 없다고 공시했다.

2018년 이후 부채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경영개선 노력보다는 자본 증액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가족수당 부정수급은 신뢰가 생명인 연구기관으로서 절대 허용되지 않는 부정행위다.

정규직 여성과 남성의 연봉 차이가 성별보다는 직급·경력의 영향이라면 상위직급 여성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의 고위직 승진을 막는 유리천장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 2024년 ESG 2차 평가... ESG 경영 추진 목표 및 추진과제 수립해 실천 중이지만 구체적 성과는 불투명

ESG 경영 추진 목표는 ‘선한 영향력을 통한 지속가능 미래 추구’로 정했다. 선순환 구조로 ESG 경영은 연구원의 선하고 옳은 활동을 바탕으로 기관과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영전략이라고 밝혔다. 임직원 ESG 실천강령을 수립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ESG 경영 슬로건은 ‘같이해요! 에너제틱 ESG’로 지속가능한 미래는 나 혼자만이 아닌 우리 모두가 함께 실천해야 달성할 수 있는 목표라는 메시지를 내포한다. 탄소중립과 기후변화대응을 선도하는 에너지경제연구권의 역동성을 반영했다.

ESG 경영 중기 로드맵을 수립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를 정립기-확산기-정착기로 구분했다. 2024년 추진 목표는 ‘글로벌 ESG 연구기관 선도’로 정했다.

세부 실천과제 난이도에 따라 추진일정을 설정하고 정기적 성과관리를 통해 ESG 경영 추진목표의 단계별 조기달성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ESG 경영 10대 추진과제 및 25개 실천과제를 수립했다. ESG 경영 지배구조 부문 추진과제는 △의사결정 구조(거버넌스)의 다양성 확대 △윤리·준법 경영 실현 △직장 내 ESG 문화 확산·정착 여건 조성으로 설정했다.

2024년 이사회 구성원은 총 1명으로 기관장 1명, 상임이사 0명, 비상임이사 0명으로 구성됐다. 2021년과 비교해 구성원 수는 변동이 없었다. 2024년 여성 임원 수는 0명으로 2021년 0명과 대비해 변함이 없었다.

ESG 경영위원회는 ESG경영 심의·의결 기구로 노사합동 위원회로 구성됐다. ESG 경영 추진체계의 심의·의결과 자문 및 성과 평가를 수행한다.

2024년 자본총계는 314억 원으로 2021년 349억 원과 비교해 10.25% 감소했다. 2024년 부채총계는 139억 원으로 2021년 105억 원과 대비해 31.31% 증가했다. 2024년 부채율은 44.31%로 2021년 30.29%와 비교해 상승했다.

2024년 매출은 299억 원으로 2021년 274억 원과 대비해 9.18% 증가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은 –6억 원으로 2021년 6억 원과 비교해 적자로 전환됐다. 2024년 당기순손실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은 불가능하다. 

◇ 2024년 무기계약직 1인당 평균 보수액 일반정규직의 51%... 2024년 육아휴직 사용자 수 9명

ESG 경영 사회 부문 추진과제는 △지역사회 공헌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 △안전한 근로환경 구축 △일하기 좋은 행복한 일터 조성으로 수립했다.

2024년 일반정규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9642만 원으로 2021년 9176만 원과 비교해 5.08% 인상했다. 2024년 여성 일반정규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8111만 원으로 남성 일반정규직 연봉인 1억216만 원의 79.39% 수준이었다.

2024년 무기계약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4917만 원으로 2021년 4455만 원과 대비해 10.36% 인상했다. 2024년 여성 무기계약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4721만 원으로 남성 무기계약직 연봉인 5390만 원의 87.59% 수준이었다.

동일직종 동일 근속년수의 경우 남녀 보수는 동일하나 경력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2024년 일반정규직 평균근속연수(개월)은 131.51개월로 여성은 105.27개월, 남성은 141.48개월로 집계됐다. 2024년 무기계약직 평균근속연수(개월)은 67.20개월로 여성은 69.39개월, 남성은 62.00개월로 조사됐다.

2024년 무기계약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일반정규직의 51%로 2021년 48.55%와 비교해 증가했으나 50%대에 불과해 낮은 편이다.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0년 9명 △2021년 10명 △2022년 11명 △2023년 10명 △2024년 9명으로 근소한 증가세를 보인 후 2023년 감소세를 보였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0년 2명 △2021년 2명 △2022년 2명 △2023년 2명 △2024년 3명으로 2024년 근소하게 증가했다.

2022년부터 ESG 경영 추진 현황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별도의 ESG 경영 보고서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부재했다. ESG 경영 관련 교육 및 교재도 없어 추진 의지가 의심된다. 

◇ 환경 부문 추진과제 및 실천과제 수립... 2024년 폐기물 발생 총량 26t으로 미미한 수준

ESG 경영 환경 부문 추진과제는 △친환경·ESG 연구 수행 및 성과 확산 △친환경 연구·업무 환경 구축 △에너지 설비의 친환경성 제고 △생활 속에서의 환경보호 실천으로 수립했다.

사업장별 폐기물 발생 총량은 △2019년 27톤(ton) △2020년 28t △2021년 28.7t △2022년 22.1t △2023년 26.25t으로 근소하게 증가 후 감소했다.

사업장별 용수 사용량은 △2019년 4714t △2020년 4261t △2021년 3506t △2022년 4767t △2023년 4154t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2년 증가했다. 


▲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적자 경영 극복해야 국민 세금부담 줄어들어... 임직원 대상 교육 교재 및 실적 부재해 실천 의지 의심

△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공기업임에도 ESG에 대한 구체적인 의지도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실적도 미미해 개선이 시급하다고 평가했다.

조직의 규모가 적다고 하더라도 이사가 기관장 1명이라는 점은 동의하기 어렵다. 상임이사, 비상임이사도 없으며 여성이사도 임명하지 않았다. 자본금은 감소하는데 부채는 증가해 자본구조는 취약해졌다.

2024년 당기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해 경영 혁신이 불가피하다. 공기업은 적자가 발생하면 국민의 세금으로 감당해야 하므로 경영 정상화가 요구된다.  

△사회(Social)=사회는 무기계약지의 임금 차별, 육아휴직 사용자의 실적 부진 등을 고려하면 관리 가능한 위험에 속하며 개선의 여지는 크지 않았다.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안전한 근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ESG 경영 관련 보고서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 작성하지 않았으며 임직원 교육 교재나 교육 실적도 전무했다.

공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ESG 경영은 거추장스러운 규제에 불과하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이는 인식이 잘못된 것이다. 이해관계자와 공존공영하겠다는 의지가 없는 경영진은 배격돼야 한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연구 업무를 수행하는 공기업으로 환경에 대한 고민은 크지 않으며 무시할 수 있는 위험 및 관리 가능한 위험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 설비를 도입하고 생활 속에서 환경보호를 실천하는 등으로 추진한다. 사업장 폐기물 총량이나 용수사용량 등은 크게 의미가 없을 정도다.

◇ 2022년 1차 및 2024년 2차 평가 비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지만 경영 정상화 추진할 기구는 부재

국가에너지와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KEEI는 이재명정부의 에너지 정책 전반에 걸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전력산업, 수소경제, 재생에너지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유럽 국가는 폐기하기로 결정한 원자력발전소의 가동을 연장하거나 신규 건설도 고려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에너지 정책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2022년 1차 평가 결과는 전반적으로 저조했는데 2024년 2차 평가는 어떻게 나왔는지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한다.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


거버넌스(G)는 2024년 평가 결과가 2022년에 비해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ESG 경영위원회는 구성했지만 ESG 헌장은 여전히 제정하지 않았다.

비상임이사는 아예 임명하지 않고 있으며 여성임원도 없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상임이사나 사외이사, 여성이사 등은 비용이 아니라 경영진의 독단 경영이나 경영 전횡을 막고 합리적인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사람이다.

경영실적이 좋은 것도 아니고 부채액도 늘어나고 2024년 기준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점으로 고려해도 거버넌스 전체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종합청렴도는 가족수당 부정수급이 많았던 사례를 비춰보면 우수하다고 보기 어렵다.

사회(S)는 무기게약직의 연봉 수준, 육아휴직 사용자 등의 실적으로 고려하면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보인다. 정규직 대비 무기계약직의 연봉 비율은 2022년 48%에서 2024년 51%로 상승했다.

동기간 육아휴직 사용자는 10명에서 9명으로 줄어들었지만 사용 대상자 중 비율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 기부금액은 해당사항 없음으로 보고했다.

환경(E)은 사업장 폐기물 발생량과 녹색제품 구매금액도 변화가 없었다. 일반적인 자료와 지식을 기반으로 연구하는 업무가 대부분이라 환경에 대한 고려는 중요하지 않다고 봐야 한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경제·경영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