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일본 NEDO"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6-05▲ 항공안전기술원, 한·일 UTM 연구진과 기념촬영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원장 황호원)에 따르면 2025년 6월3일(화) 일본 가와사키델타에서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총합개발기구(NEDO)와 공동으로 드론교통관리(UTM) 기술교류 워크숍을 개최했다.NEDO는 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의 약어로 일본 에너지 환경분야 및 산업기술을 담당하는 독립행정법인이다. UTM은 Unmanned Aircraft System(UAS) Traffic Management의 약어다.이번 워크숍은 2024년 6월 ‘Japan Drone 2024’에서 항공안전기술원과 NEDO간 처음 교류한 것을 계기로 같은 해 10월 NEDO의 기술원 방문을 거쳐 협력 기반을 다져온 결과로 마련됐다.한국에서는 국토교통부, 항공안전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공항공사, 한국법제연구원, 메타빌드, 케이지에프씨, 한국항공대학교 등 9개 기관이 참석했다.일본 측에서는 NEDO를 비롯해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NEC Corp., NTT DATA, Intent Exchange Inc., KDDI, Mitsubishi Research Institute, PwC 등 총 8개 기관 연구진이 참여했다.이번 자리에서는 양국 연구진이 자국의 UTM 연구개발 현황과 주요 성과, 기술 발전 방향 등을 공유하고 향후 연구 협력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항공안전기술원(KIAST)-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총합개발기구(NEDO) ReAMo(Realization of Advanced Air Mobility Project) 워크숍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은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다목적 복수 저고도 드론 교통관리시스템 및 드론 식별기술 개발(2023~2026)’ 과제를 수행하며 UTM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구
-
▲ 일본에서 연구 중인 부체식 해상풍력발전소 이미지 [출처=NEDO]일본 신소재, 대체에너지 연구기관인 NEDO(新エネルギー・産業技術総合開発機構)에 따르면 부체식 해상풍력발전소의 건설을 확대할 계획이다.부체식 해상풍력발전소는 풍차가 장착된 발전설비를 해저에 고정하지 않고 수면에 띄우는 방식으로 건설된다. 반면에 착상식 해상풍력발전소는 발전설비를 해저에 고정한다.섬나라인 일본은 해상풍력발전소를 설치할 지역을 많지만 근해의 수심이 깊어 착상식 해상풍력발전소를 건설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문제는 부체식 해상풍력발전소를 건설하거나 유지보수하는 비용이 착상식에 비해 많다는 것이다. 수심이 100미터 이상의 지역에도 건설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뿐만 아니라 해안가에 거주하는 주민과 소음, 경관 방해 등의 민원으로부터도 자유롭다. 부체식 해상풍력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는 해역은 착상식에 비해 3배 이상에 달한다.미국, 영국 등도 부체식 해상풍력발전소의 건설에 큰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영국은 2030년까지 5기가와트, 미국은 2035년까지 15기가와트를 부체식 해상풍력발전을 통해 확보한다는 정책을 수립했다.
-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에 따르면 전국 13개 지역에서 52기의 드론 운항을 관리하는 실증실험을 실시해 성공했다.실증 실험에는 NEDO와 KDDI, 퍼슬 프로세스&테크놀로지(주) 3사가 참여했다. 2022년 제도 정비가 예정돼 있는 레벨 4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레벨 4는 유인지대에서의 보조자없이 육안외 비행을 하는 제도이다. 복수의 드론을 제어해 안전하게 비행시키는 운항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실험 결과 기능과 오퍼레이션 측면에서 전국에서의 운용 가능성, 복수 드론 비행시 충돌 회피 등 운항관리 업무를 실시할 수 있었다. 각 지역의 다양한 요구와 무인항공기의 활용 방법도 검증했다.실증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레벨 4 환경에서 드론이 안전하게 비행 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2022년 1월까지 운항관리시스템의 구현 및 지속가능한 비지니스 모델을 확립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방침이다.▲ 드론 실증 실험 현황(출처 : NEDO 홈페이지)
-
2019-03-10일본 산업용 드론 개발기업 엔루토(エンルート, enRoute)에 따르면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와 공동으로 300℃ 까지 대응 가능한 내화용 드론을 개발했다.기존 제품은 내화 성능이 45℃ 이하였지만 개발된 제품은 ISO규정 소방관 방화복 보다 높다. 화재 현장 진입 및 용광로 근거리 공중 촬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2019년 10월 이후 수주를 개시해 2020년 봄 납품할 예정으로 판매 목표량은 500대이다. 지난 2017년 화재 현장등의 특수환경하에 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했다.내화형 개발 프로젝트는 드론 사회를 실현하는 NEDO의 프로젝트 '로봇, 드론이 활약하는 에너지절약 사회의 실현 프로젝트' 중 하나다.▲ enRoute▲ 엔루토(エンルート, enRoute) 홈페이지
-
필리핀 투자위원회(BOI)의 자료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55억페소 규모의 전기삼륜차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이다.이 프로젝트는 일본의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와 소프트뱅크가 추진한다. 사업의 목표는 필리핀을 동남아시아지역의 제조허브로 만드는 것이다.
-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인도 제철소와 에너지 절약기술을 도입한 실증사업 2건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다.인도철강공사(SAIL)는 벵갈주와 오디샤주의 제철소에서 실증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벵갈지역은 후지전기가 에너지 절약시설을 설치하며 각 시설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에너지 센터'를 도입해 에너지 수급을 파악하여 설비운전의 합리화를 도모할 계획이다.에너지소비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각각 연간 약 11%정도를 감소시켜 2년간 투자비용을 회수할 계획이다. 실증사업 종료 후에는 전국 17개소의 제철소에도 유사한 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오디샤주의 시설에는 추가이로(Chugai Ro)공업이 축열버너를 설치한다. 버너는 축열체를 내장한 2개 1세트로 총 24 대를 설치하며 2년간에 걸쳐 실증 실험할 예정이다.기술 도입으로 100만톤 생산시 중유 210만리터의 비용 절감을 예상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은 연 6000톤의 절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정부는 인도가 2020년에 세계철강소비량 2위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제 발전을 바탕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 등 에너지 절약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로고
-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인도 제철소와 에너지 절약기술을 도입한 실증사업 2건 관련 양해각서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가 목적이다.
-
[일본] 철강연맹, 2016년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와 동시개발한 ‘차세대고로(高炉)’ 시험설비 공개...제철소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CO2)배출량을 현재보다 30% 절감계획
-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 고속영상처리의 용도를 확대하기 위한 컨소시엄 구성... 도쿄대·닛산자동차·소니 등도 참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