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정유회사"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4-12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US$ 15억달러에 마이레 테크니몬트(Maire Tecnimont)와 포트 하코트(Port Harcourt) 정유회사의 수리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 체결로 정유 역량이 1일 21만배럴인 포트 하코트 정유공장을 복구할 계획이다. 마이레 테크니몬트는 이탈리아의 에너지 플랜트 기술기업이다.2021년 4월 기준 정부는 4개의 정유회사를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국내 소비에 필요한 정제된 석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트 하코트 정유회사의 이번 수리 계약은 과거 정부가 수십억달러를 정유회사의 유지보수비로 성과없이 지출한 것과 대조적이다.국내 에너지 전문가들은 정부가 정유회사들을 민영화하고 기업과 같은 민간 투자자들이 정유회사들을 관리하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마이레 테크니몬트(Maire Tecnimont) 홈페이지
-
2018-08-23뉴질랜드 정부에 따르면 북섬 최대 도시인 오클랜드(Auckland)시의 휘발유 가격이 현재 남섬보다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유회사들이 오클랜드시의 연료세를 남섬으로 돌린 정황을 조사 중이다.현재 오클랜드의 휘발유 가격은 남섬 지역인 캔터베리, 넬슨, 오타고, 웨스트코스트 등보다 저렴한 상황이다. 6주전에 오클랜드에 도입된 연료세 추가비용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것이다.현재 연료세는 리터당 NZ$ 11.5센트이다. 반면 휘발유 가격자료에 따르면 연료세가 부과되기 시작한 2018년 7월 1일 이후 오클랜드에서의 휘발유 평균 가격은 리터당 2.13달러에서 2.24달러로 급상승했다.정유회사들은 향후 오클랜드의 연료세가 휘발유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한다. 연료세 비용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대부분의 경제전문가들은 국가가 지역에 따라 별도로 연료세를 부과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고 지적한다. 1990년대 초도 지역별 연료세가 도입된 사례가 있다.▲오클랜드 시청(출처 : 위키피디아)
-
필리핀 정유회사 Pilipinas Shell에 따르면 2016년 순이익은 74억페소로 전년 대비 10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5년 순이익은 36억페소였다.하지만 2016년 매출액은 1367.6억페소로 2015년 1569.8억페소에서 감소했다.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석유제품의 가격도 내렸기 때문이다.Pilipinas Shell의 시장점유율은 2015년 23%에서 27%로 4%나 상승했다. 바탕가스 타반가오의 정유소는 1일 11만배럴의 원유를 정제할 수 있다. 2016년 기준 996개의 주유소를 확보해 영업을 전개하고 있는 중이다.▲Pilipinas Shell 로고
-
뉴질랜드 정유회사 Refining New Zealand에 의하면 2016년 12월 31일 마감 기준 연간이익은 $NZ 4720만달러로 전년 1억5080만달러 대비 2/3이상 감소했다.유가 상승 및 마진 축소 등으로 인해 이익에 타격을 입은 것이다. 2016년 하반기 정제량이 급증하면서 마진이 증가했지만 이익감소는 피하지 못했다.하지만 2년전 정유소를 업그레이드한 이점이 올해 마진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관광업 붐으로 인한 항공편 증가에 따른 항공연료 수요 확대도 기대하고 있다.▲Refining New Zealand홈페이지
-
카자흐스탄 정유회사 ABS munay에 따르면 서부 카자흐스탄 테레키(Terekty)의 보그다노프(Bogdanov) 농촌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정유공장에서는 고품질의 역청, 디젤연료, 등유, 휘발유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건설은 외국인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며 금액은 US$ 4억달러 규모이다.공사기간은 3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고용인원은 500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운전이 끝나고 정식으로 가동될 시 200명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테레키(Terekty) 위치(출처: 구글맵)
-
2016-12-14필리핀 에너지부에 따르면 국내 정유회사들이 12월 12일 월요일에 디젤가격을 리터당 1.40페소 인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정유사는 셀, 칼텍스, 피닉스, PTT, 플라잉V 등이다.11월 29일 기준 마닐라 지역의 디젤가격은 리터당 26.15페소에서 30.85페소에 판매되고 있다. 가솔린은 리터당 34.60페소에서 45.60페소이지만 대체적으로 43.68페소를 기록하고 있다.이번주에 정유회사들이 디젤가격을 인상한 것은 12월 10일 비산유국들이 감산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OPEC과 비산유국이 합의한 결과를 보면 글로벌 원유생산량은 약 2%정도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필리핀 정유회사 쉘(Pilipinas Shell Petroleum Corp.)은 OPEC의 감산우려로 가솔린과 디젤을 리터당 10센타보스 인상했다고 발표했다.다른 정유회사들도 비슷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유가는 아직 배럴당 50달러 이하에서 거래되고 있다. 당분간 추가인상 계획은 없다.사우디아라비아와 걸프 협력국가들은 감산정책에 동의하고 있지만 이라크만 경제사정을 감안해 제외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
인도 정유회사 Essar Oil의 자료에 따르면 향후 2~3년 동안 구자라트주 반디나르정유소 업그레이드에 120억루피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현재 동공장에서는 연간 2000만톤을 정제하고 있으며 정제마진을 배럴당 $US 1.5달러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공장확장을 위해 주변 5킬로미터 토지를 이미 확보했다.
-
에쓰오일의 전신은 1976년 쌍용양회공업㈜ 및 이란국영석유회사(NIOC) 간의 50:50 합작투자를 통해 설립된 한∙이석유주식회사이다.1980년 이란국영석유회사가 합작지분 을 철수함에 따라 쌍용양회공업㈜가 최대주주로 됐고, 상호도 쌍용정유주식회사로 변경됐다.1998년 10월 연간 70만 톤의 파자라일렌의 생산능력을 갖춘 에쓰오일 자일렌 센터를 완공해 당시 단일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이후 IMF 외환위기 당시 구 쌍용그룹의 구조조정에 따라 쌍용양회공업㈜가 보유한 지분을 자사주로 인수해 구 쌍용그룹에서 분리, 독자경영을 시작한 2000년 3월 24일부터 현재의 에쓰-오일주식회사 (S-Oil Corporation) 로 상호가 또 다시 바뀌었다.1991년 신주인수방식에 통한 지분 참여를 한 아람코의 자회사인 AOC(Aramco Overseas Company B.V.)가 최대주주로 변경됐으며 AOC는 2014년 3월 31일 현재까지 같은 지분을 유지하고 있다.에쓰오일은 대주주 AOC의 모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Saudi Aramco)의 안정적인 장기원유공급 보장을 기반으로 수익성 위주의 경영전략을 추구해 현재 아시아∙태평양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정유회사로 성장했다. 2013년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 중 317위, 한국기업 중 10위를 차지했다. 에쓰오일의 기업개요는 표 1과 같다.▲ 에쓰오일의 개요 [출처=iNIS]◇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빠르고 경쟁력 있는 정유회사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ARAMCO)가 최대 주주인 에쓰오일은 국내에서 경쟁업체들보다 빠르게 경쟁력 있는 정유회사로 성장했다.에쓰오일은 1990년대에 고도화 시설 투자를 시작해 경쟁업체들이 준비하던 2000년대 초에 완성했다. 중동과 중국에서 석유화학 부문의 개발이 한창이던 2007년엔 과감하게 합성섬유의 원료로 쓰이는 파라자일렌 공장에 1조4000억원을 투자했다.이는 경쟁업체들보다 5년이나 앞선 결정이다. 세계 경제 회복이 아직 진행 중인에 올해도 에쓰오일은 석유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