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포브스"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파키스탄 스타트업 PostEx 홍보 이미지[출처=PostEx 홈페이지]2024년 8월 4주차 파키스탄 경제는 현지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과 스즈키 자동차의 할인 프로모션을 포함한다.○ 파키스탄 스타트업 포스트엑스(PostEx)는 향후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 전역 온라인 판매업자들에게 금융 및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2024년 초 두바이에서 시범 사업을 진행했다.파키스탄 전자상거래는 전체 소매업 시장의 1.5%를 차지했으나 지난 12개월 간 최소 50%까지 성장했다. 포스트엑스는 2020년 설립돼 매출채권 팩토링 및 배달 서비스를 합친 하이브리드형 솔루션을 제공한다.또한 포스트엑스는 파키스탄의 온라인 거래의 95%가 착불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에 맞서 선불 서비스를 제공했다. 제품에 대한 소매가격만큼 선불금을 지불해야 한다.2022년 8월 파키스탄 물류업체 콜 쿠리에(Call Courier)의 인수를 통해 650개의 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했다.2023년 기준 포스트엑스의 연간 매출액은 2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현재 매월 400만 건 이상의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파키스탄 스즈키 자동차(Pak Suzuki Motor Company, PSMC)은 파이잘 은행(Faysal Bank Limited, FBL)의 공동 자동차 파이낸싱에 따라 자사 차량의 고정 이자율을 17.75%로 결정했다.소비자는 PSMC의 자동차를 구매했을 때 최대 Rs 42만5000루피를 절약할 수 있다. 알토(Alto), 웨건 R(Wagon R), 스위프트(Swift), 컬투스(Cultus) 등의 모델을 대상으로 한다.스즈키 알토는 파키스탄 내에서도 가장 저렴한 자동차 중 하나임에도 660cc를 기준으로 1대당 가격은 Rs 230만 루피다.○ 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목록에 파키스탄 스타트업 두 곳이 선정됐다. 첫번째는 핀테크 기업 나야페이(NayaPay)로 소비자와 사업체 간 거래의 디지털화를 중점
-
2024-08-28▲ 파키스탄 핀테크 스타트업 나야페이(NayaPay)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선정[출처=나야페이 인스타그램]2024년 8월28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인도 이륜차 제조업체 바자즈 오토(Bajaj Auto)에 따르면 세계 최초 액화천연가스(CNG) 오토바이 프리덤 125(Freedom 125)에 이어 새로운 CNG 모델을 출시한다.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에 파키스탄 스타트업 나야페이(NayaPay)와 딜카트(DealCart)가 선정됐다.양사는 시드 펀딩에서 총 1600만 달러를 확보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소기업 및 스타트업 연례 랭킹 100위 안에 들었다.◇ 인도 바자즈 오토(Bajaj Auto), 전기 스쿠터 체탁 2901(Chetak 2901) 출시인도 이륜차 제조업체 바자즈 오토(Bajaj Auto)는 프리덤 125(Freedom 125)에 이어 새로운 액화천연가스(CNG) 오토바이를 출시할 계획이다.프리덤 125는 휘발유와 가스 2가지를 연료로 하는 세계 최초 CNG 오토바이다. 2024년 8월 동안 해당 모델 8000~9000대를 전달할 것으로 전망한다.2024년 8월28일 바자즈 오토는 전기 스쿠터 체탁 2901(Chetak 2901)을 출시했으며 가격은 Rs 9만5998루피로 기존 모델보다 저렴하다. 2025년 초에는 새로운 체탁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2024년 9월 안에는 에탄올로 움직이는 오토바이와 삼륜차를 선보인 후 회계연도 2025년 안에 판매될 수 있도록 한다.◇ 파키스탄 나야페이(NayaPay)·딜카트(DealCart), 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선정돼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목록에 파키스탄 스타트업 두 곳이 선정됐다. 첫번째는 핀테크 기업 나야페이(NayaPay)로 소비자와 사업체 간 거래의 디지털화를 중점으로 한다.자사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자지갑, 가상 직불카드 및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업체 대상으로 PO
-
2022-02-04미국 글로벌 출판 및 미디어 기업인 포브스(Forbes)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나이지리아 억만장자 3명의 총 순자산은 US$ 276억달러로 집계됐다. 3명은 알리코 단고테, 압둘사마드 라비우, 마이크 아데누이다. 상기 276억달러는 아프리카 전체 18명의 억만장자 총 순자산의 32.5%를 차지한다. 아프리카 억만장자들의 부는 코로나-19 사태의 악영향에도 불구하고 2021년에 크게 증가했다. 2021년 전체 아프리카 억만장자들의 총 순자산은 849억달러로 추정된다. 이는 2020년 대비 15% 증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억만장자들의 재산 성장은 3명의 억만장자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인 시멘트에서부터 통신, 명품까지 자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들 기업의 주가 역시 상승했기 때문이다.▲포브스(Forbes) 로고
-
2021-01-26미국 경제전문지인 포브스(Forbes)에 따르면 아프리카 1위 부자로 나이지리아 억만장자이자 기업가인 알리코 단고테(Aliko Dangote)가 선정됐다. 1981년 창립한 복합기업인 단고테 그룹(Dangote Group)의 창업자이다. 3만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시멘트, 설탕, 정유소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단고테 정유소는 2016년부터 공사가 진행 중이며 완공되면 세계 최대 정유공장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포브스는 아프리카 10대 부자를 선정했다. 아프리카 10대 부자들은 다이아몬드, 통신, 시멘트, 설탕, 미디어, 광산 등에 투자해 자산을 축적한 것으로 분석된다. 모두 합쳐 US$ 598억달러의 순이익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아프리카 10대 부자는 다음과 같다. ▲1위 Aliko Dangote ▲2위 Nassef Sawiris ▲3위 Nicky Oppenheimer ▲4위 Johann Rupert ▲5위 Mike Adenuga ▲6위 Abdul Samad Rabiu ▲7위 Isaad Rebrab ▲8위 Naguib Sawiris ▲9위 Patrice Motsepe ▲10위 Koos Bekker 등이다.▲단고테 그룹(Dangote Group) 홈페이지
-
베트남 비나밀크(Vina Milk)는 경제전문지 포브스에서 선정한 아시아 우량 상장기업 TOP50에 베트남에서 최초로 진입했다고 밝혔다.포브스의 발표에 따르면 비나밀크의 2015년 매출은 $US 18억 달러, 시가총액은 92억 달러로 주목 받을만한 기업이다. 중국 기업이 22개 포함됐으며 중국은 6년 연속 최다를 기록했다.
-
코크인더스트리(Koch Industries)의 회장 찰스 코크(Charles Koch)는 1931년 11월 1일 미국 캔자스 위치타(Wichita, Kansas, USA)에서 태어났다.본명은 ‘Charles De Ganahl Koch’로 코크인더스트리 창업자인 아버지 프레드 체이스 코크(Fred Chase Koch)와 어머니 메리 로빈슨(Mary Robinson)사이에서 4형제 중 2째로 탄생했다.찰스 코크뿐만 아니라 동생 데이비드 코크(David Hamilton Koch)가 2014년 포브스 선정 세계 부자순위 공동 6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할아버지 헨리 코크(Harry Koch)로부터 시작됐다.헨리코크는 네덜란드 이민자로서 콰너 트리뷴(Quanah Tribune-Chief)신문사를 설립했으며, 콰너 아킴 퍼시픽 철도(Quanah, Acme and Pacific Railway, QA&P)의 창립주주였다.찰스 코크의 아버지 프레드 체이스 코크는 1925년 MIT 동료 루이스 윙클러(Lewis E. Winkler)와 함께 Winkler-Koch Engineering Company사를 설립하고, 원유(crude oil)를 가솔린으로 바꾸는 효율적인 열분해 공정을 새롭게 개발해 경쟁이 덜 치열한 소련 등지로 판매처를 늘렸다.1940년 새로운 파트너와 우드리버 석유정재회사(Wood River Oil and Refining Company)를 설립했으며, 석유정제 및 원유 유통을 통해 코크가(家)가의 부를 형성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찰스코크는 대학졸업 후 아서 디 리틀(Arthur D. Little, Inc) 컨설팅회사에서 2년 근무했으며, 1961년 부친이 운영하는 회사에 입사했다. 찰스 코크는 1967년 부친의 사망으로 32세의 나이에 기업을 물려받아 47년간 코크인더스트리를 이끌고 있다. 코크인더스트리는 차남인 찰스 코크가 회장 및 CEO직을, 셋째 데이비드 코크는 부사장으로서 회사경영에 참여하고 있으며, 각각 42%
-
오라클(Oracle Corporation)의 공동 창업자인 래리 앨리슨(Larry Ellison)은 1944년 8월 17일 미국 뉴욕 맨허튼(Manhatan, New York, U.S.)에서 태어났다.본명은 로렌스 조셉 래리 앨리슨(Lawrence Joseph Larry Ellison)으로 유대인 미혼모로부터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이태리계 미국 공군 파일럿이다.그의 모친은 앨리슨이 생후 9개월이 되었을 때 폐렴에 걸리자 입양을 보내기로 결정했으며, 유대인 중산층 루이스(Louis)와 릴리언(Lillian) 가정으로 입양됐다.일리노이대학교 2학년 재학 중 양어머니의 죽음으로 캘리포니아에 돌아온 이후 반문화(counterculture)에 심취해 학교를 중퇴했다.시카고 대학에 재입학했으나 1학년때 중퇴하고, 반문화가 형성된 캘리포니아로 되돌아와 정착해 10여년간 컴퓨터 관련직을 떠돌아 다녔다.이때 웰스파고은행(Wells Fargo Bank)의 기술자 감독관, Fireman’s Fund Insurance의 IBM Mainframe관리업무 등 컴퓨터 관련 업무를 수행했다. 1977년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소를 설립해 IBM의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오라클(ORACLE) 2.0 선보이면서 부의 기반을 형성했다.오라클을 통해 부를 축척한 래리 앨리슨은 2013년 순자산액은 US$480억 달러(약 52조 9000억 원)로 포브스 선정 세계 최고 부자 순위 5위에 올랐다.2014년에는 순자산액은 518억 달러(약 57조 1000억 원)로 포브스 선정 5위에 올랐으며, 미국 순위 3위를 기록했다. 빌게이츠, 워렌버핏과는 달리 기부에 인색하다는 비평을 듣고 있는 래리 앨리슨은 2014년 9월 70세를 맞이해 35년간 지켜온 공동 CEO자리에서 물러났다.앞으로 오라클의 회장 및 CTO역할을 수행하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분야 사업을 맡는다. 공동 CEO인 마크 허드는 전략 및 마케팅, 판매 부문 사업을 맡아 운영하고, 새로운 공동 CEO발탁된
-
글로벌 패션전문기업 인디텍스(Inditex)의 창업주인 아만시오 오르테가(Amancio Ortega)는 1936년 3월 28일 스페인 레온 부스동고 데 아르바스(Busdongo de Arbás, León, Spain)에서 태어났다.본명은 아만시오 오르테가 가오나(Amancio Ortega Gaona)로 스페인 철도노동자였던 아버지와 가사도우미로 일한 어머니 사이에서 3째로 태어났으며,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정규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13세때 중학교를 중퇴하고 돈을 벌기 위해 갈라(Gala) 양품점의 배달원으로 일했으며, 1953년 형과 누나가 근무하고 있던 라마하(La Maja) 대형양품점으로 자리를 옮겼다.이곳에서 인디텍스의 공동창업자인 첫째 부인 로살리아 메라(Rosalia Mera)를 만나 결혼했다. 15년간 의류양품점에서 일하면서 원단 공급업체 관리, 원단 구매, 가격결정, 유통 등에 관한 노하우를 쌓았다. 1963년 그동안 쌓은 경험과 모아둔 자본으로 고아 콘펙시오네스(Goa Confecciones)를 설립해 형, 누나와 함께 여성복을 제조∙판매하기 시작했다.1975년 인디텍스의 최초 브랜드 자라(Zara) 매장을 오픈했으며, 1980년대 스페인 전역에 매장을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시작했다.패스트 패션, 즉 2주내 시장조사, 디자인, 생산, 운송, 매장진열 등이 이루어지는 전략을 도입하고, 싼 가격 정책, 제품의 고급화를 통해 급성장하면서 부를 축적했다. 인디텍스그룹을 통해 부를 축척한 아만시오 오르테가는 2014년 3월 블룸버그(Bloomberg)발표 US $570억 달러(약 62조 9000억원)로 억만장자 순위(Billionaires Index) 4위를 기록했으며, 휴런(Hurun)보고서는 순자산 US $620억 달러(약 68조 4000억원)로 세계 3위에 올랐다.포브스(Forbes)지는 2013년 순자산액 US $ 640억 달러(약 70조6000억원)로 세계 3위에 올렸으며, 2014년 11월
-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CEO이자 회장인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은 1930년 8월 30일 미국 네브레스카주 오마하(Omaha, Nebraska, U.S.)에서 태어났다.본명은 워렌 에드워드 버핏(Warren Edward Buffett)으로 하원의원을 지낸 아버지 하워드 버핏 과 어머니 레일라 사이에서 둘째로 탄생했다.돈을 벌고, 저축하는데 관심이 많았던 워렌 버핏은 어렸을 때부터 껌, 코카콜라 판매, 주간지 방문판매, 신문배달, 골프공 및 우표, 차량판매 등의 일을 했으며, 할아버지 채소가계에서도 일을 했다. 부모의 권유로 11세때 주식에 100달러를 투자하면서 투자 인생의 길을 걷기 시작한 워렌 버핏은 부친회사 버핏 포크사(Buffett-Falk & Co), 뉴욕 투자전문회사 그레이엄 뉴먼(Graham-Newman Corp)에서 투자감각을 키웠다.투자조합 버핏 파트너십(Buffett Partnership Ltd.)을 설립해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했다. 제 1차 세계대전 종료 후 섬유산업의 침체로 경영난을 겪고 있던 버크셔 해서웨이를 인수해 M&A와 지분투자를 통해 부를 형성했다. 버크셔 해서웨이를 통해 부를 축척한 워렌 버핏은 2008년 포브스 선정 세계 최고 부자 순위에 올랐으며, 2011년에는 3위에 올랐다. 2012년에는 타임지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지난 2013년에는 순자산액 582억 달러(약 64조 6000억원)로 4위, 2014년에는 719억 달러(약 79조 8000억원)로 3위에 올랐다. 자선단체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공동회장을 맡고 있는 워렌 버핏은 자신의 재산 99% 이상을 자선단체에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일선에서 물러난 빌게이츠나 카를로스 슬림과는 달리 현장에서 수많은 기업에 투자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워렌 버핏의 개인 프로파일(Profile)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아래 표1과 같다.▲ 워렌 버핏의 프로
-
멕시코의 통신재벌 그로포 카르소(Grupo Carso)를 설립한 카를로스 슬림(Carlos Slim)은 1940년 1월 28일 멕시코 멕시코시티(Mexico City, Mexico)에서 레바논 이민 1세대 가정에서 태어났다.본명은 카를로스 슬림 엘루(Carlos Slim Helú)로 오스만제국의 징집을 피해 14세때 레바논에서 멕시코로 이민 온 아버지 줄리안 슬림 하다드(Julian Slim Haddad)와 어머니 린다 엘루(Linda Helu) 사이에 탄생했다.부친 줄리안은 1911년 설립한 건조식품가게(La Estrella del Oriente, 동양의 별)와 1921년 까지 멕시코 시티 상업거리에 구입한 부동산을 통해 가족의 부를 형성했다.카를로스 슬림은 12세때 맥시코 은행의 주식을 매입했으며, 17세때 부친 회사에 근무하는 등 일찍이 돈 버는 일에 뛰어 들었다.1965년 Inversora Bursátil를 설립했으며, Grupo Carso의 모태가 되는 Jarritos del Sur 인수 및 Inmobiliaria Carso를 설립했다.1966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US $40만 달러(약 4억원)를 기반으로 멕시코 건설업 및 부동산업에 진출했다. 1970년 중반 이후부터 1982년 멕시코의 채무불이행 선언으로 외환위기가 닥치자 망한 기업들을 M&A하면서 부의 기틀을 마련했다.멕시코의 통신재벌 카를로스 슬림은 2010~2012년까지 3년 연속 포브스지 선정 세계 최고 부자 순위 1위에 올랐으며, 2008년 2위, 2009년 3위에 올랐다.빌게이츠에 이어 지난 2013년 순자산액 US $720억 달러(약 80조 1700억원)로 2위, 2014년 순자산액 US $799억 달러(약 88조 9600억원)로 2위에 올랐으며, 지난 40년간 축적한 막대한 부는 멕시코 GDP의 7~8%에 달한다.지난 2013년부터 카를로스는 1966년 소우마야(Soumaya Domit Gemayel)와 결혼해 태어난 6명의 자녀들에게 공평하게 부의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