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 2030년"으로 검색하여,
13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금호석유화학 본사 전경[출처=금호석유화학]금호석유화학(대표 백종훈)에 따르면 새로운 주주환원정책과 향후 성장 전략 등의 내용을 담은 금호석유화학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목표는 크게 3가지로 △2030년까지 매출 성장률 6퍼센트(%) △2030년까지 ROE(자기자본이익률) 10% △향후 3개년 주주환원율 최대 40%로 각각 구분된다.◇ ‘별도 당기순이익의 최대 40% 환원’ 내용 담은 새로운 주주환원책 발표우선 주주환원율 관련, 회사는 약 3년 전인 2021년 발표했던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5~10% 수준의 자기주식 매입 및 소각 비율을 2025년부터 10~15% 수준으로 5%p 상향한다.또한 업황 둔화에도 20~25%의 배당 성향을 유지한다. 이로써 별도 당기순이익의 최대 40%에 달하는 금액이 주주환원정책에 사용된다.또한 2024년 발표한 기(旣) 보유 자기주식의 50%를 3년간 단계적 소각하는 주주가치제고정책 역시 진행 중이다. 2024년 3월 1차로 87만5000주를 소각 완료했으며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2차와 3차 소각을 계획 중이다.◇ 3대 성장전략 통해 2030년까지 매출 성장률 6% 달성금호석유화학은 △친환경 자동차 솔루션 강화 △바이오/지속가능 소재 확대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 전환 가속화를 회사의 3대 성장전략으로 설정해 2030년까지 매출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로 주주환원정책의 지속적인 확대로 연결되는 청사진을 계획하고 있다.◇ 高수익 포트폴리오 기반으로 2030년까지 ROE 10% 달성금호석유화학은 위의 3대 성장전략을 중심으로 사업포트폴리오를 재편하여 최적의 자원 배분을 통해 자본효율성을 제고해 재무 안전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고효율 생산기술에 투자하고 차세대 성장 산업에 대한 R&D경쟁력을 강화하며 고부가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는 동시에, 한계 및 저(低)수익 사업은 개편하여 자원의 선택과 집중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다.이를 통해 자기자본이익률인 ROE를 중기적 목표로 2026년까지 7%, 장기적 목표로 2030년까지 10%를 달성하여 기업가치 제고 목표를 완수한다는 계획이다.금호석유화학은 "2025년 제48기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박철완 등 과거 주주제안을 했던 주주들이 현재 주주제안을 접수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금호석유화학 측은 “올해 주주총회에는 주주제안이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
▲ LG에너지솔루션-델타 일렉트로닉스 美 주택용 ESS 시장 공략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2025년 3월25일(현지시간) 미국 주택용 ESS 시장 공략을 위해 글로벌 에너지 관리 업체 델타 일렉트로닉스(Delta Electronics·델타)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이번 협력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5년 간 총 4기가와트시(GWh) 규모의 주택용 ESS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다.이는 약 40만 가구(4인 기준) 이상이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또 향후 주택용 뿐만 아니라 전력망, 상업용 ESS 시장에서도 협력을 모색하기로 했다.델타 일렉트로닉스는 테슬라, 애플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는 글로벌 에너지 관리 업체다. 인버터, UPS(무정전전원공급장치) 다양한 전력 변환 장치를 생산한다.최근 주요 완성차 업체와 협력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공급하게 될 배터리는 미국 현지에서 생산한다는 계획이다.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북미 ESS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 ESS 생산라인을 갖춰 2025년 하반기부터 ESS용 LFP 배터리 생산에 돌입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현지 생산 기반… 양사의 시너지 창출로 주택용 ESS 시장 선점 나서실제 이번 협업에는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현지 생산 역량’이 주효했다. 2026년부터 미국 내에서는 중국산 ESS 배터리에 대한 수입 관세가 상향될 예정이다.또한 수입관세가 추가로 인상될 가능성에 대한 전망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미국 현지 생산 배터리에 대한 시장 수요가 더욱 빠르게 증가할 수밖에 없다.양사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술 리더십과 현지 생산 역량’, 델타 일렉트로닉스의 ‘전자, 전력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기술’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미국 주택용 ESS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델타 일렉트로닉스는 2205년 하반기 내 하이브리드 인버터(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ESS를 통합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가 탑재된 차세대 주택용 LFP 올인원(All-in-one) 제품을 미국 내에서 공개하고 본격 판매에 나선다는 계획이다.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미국 주택용 ESS 시장 규모는 2022년 US$ 8억9699만 달러(약 1조2796억 원)에서 2030년까지 47억4062만 달러(약 6조7630억 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 김형식 상무는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협력해 미국 주택용 ESS 시장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게 돼 기쁘다”며 “양사의 기술력을 결합한 고효율 올인원 솔루션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가치와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미국 주거용 에너지 환경을 위한 길을 열어갈 것이다”고 밝혔다.델타 일렉트로닉스 PVI 사업부 총괄 책임자 마이크 왕(Mike Wang)은 “LG에너지솔루션과의 협력을 통해 미국 소비자들에게 보다 혁신적인 통합형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가정에서도 재생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에너지 비용 절감과 지속 가능한 미래 실현에 기여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5-03-14▲ 두산에너빌리티 로고[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2조2000억 원 규모 사우디아라비아 가스복합발전소 공사계약을 체결했다.두산에너빌리티는 프로젝트 디벨로퍼(개발사업자)인 한국전력공사 컨소시엄과 ‘사우디 루마1, 나이리야1 가스복합발전소’ 건설공사 계약을 체결했다.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소 건설 전문회사인 셉코3(SEPCO-3)와 컨소시엄으로 설계에서부터 기자재 공급, 설치, 시운전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을 일괄 수행하는 EPC 방식으로 2028년까지 준공할 예정이다.사우디 전력조달청(이하 SPPC)이 국제입찰로 발주한 루마1과 나이리야1 프로젝트는 각각 리야드 북동쪽 80킬로미터(km)와 470km 떨어진 곳에 1800메가와트(MW)급 가스복합발전소를 1기씩 건설한다.향후 25년간 생산된 전력을 SPPC에 판매하는 사업이다. 한전 컨소시엄은 2024년 11월 SPPC와 전력판매계약(PPA)을 체결했다.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전력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모르도르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전력설비 규모가 2025년 92.9기가와트(GW)에서 2030년 123.2GW로 연평균 6GW 규모의 발전소가 증설될 전망이다.두산에너빌리티 이현호 Plant EPC BG장은 “이번 계약은 중동 지역의 에너지 수요 증가와 맞물려 두산에너빌리티의 건설 수행 기술과 경쟁력을 국제 무대에서 다시 한번 입증한 사례다. 사우디아라비아 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
▲ 2024년 크룽스리의 순이익은 290억 바트를 기록했으며 시장 점유율 19%를 차지했다[출처=크룽스리은행 홈페이지]2025년 2월28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태국을 포함한다. 필리핀 디지플러스는 싱가포르로의 사업을 확장하고자 디지플러스 글로벌을 설립한다.태국 크룽스리은행은 2025년 대출 증가 목표에 대해 2~4%로 설정했다.◇ 필리핀 디지플러스(DigiPlus), 싱가포르에 디지플러스 글로벌(DigiPlus Global) 설립필리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업체 디지플러스(DigiPlus)가 싱가포르에 디지플러스 글로벌(DigiPlus Global)을 설립함으로써 국제적 입지를 다지겠다고 밝혔다.디지플러스 글로벌은 디지플러스의 100% 자회사인 디지베스트 홀딩스(Diginvest Holdings, Inc.)가 전액 소유한다. 싱가포르에서는 아이게이밍(i-Gaming) 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방침이다.참고로 디지플러스는 정부에서 처음으로 승인한 온라인 빙고 플랫폼 빙고플러스(BingoPlus), 스포츠북 아레나플러스(ArenaPlus), 캐주얼 및 아케이드 게임 플랫폼 게임존(Gamezone) 등을 운영하고 있다.◇ 태국 크룽스리은행(Krungsri Bank), 2030년 지속가능한 금융목표에 대해 기존 1000억 바트에서 2500억 바트로 대폭 상향 조정태국 크룽스리은행(Krungsri Bank)은 2030년 지속가능한 금융목표에 대해 기존 1000억 바트에서 2500억 바트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2024년까지 지출 금액 950억 바트를 바탕으로 SSF(Social and Sustainability Finance)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방침이다.2025년 대출 증가 목표에 대해 2~4%로 설정했으며 기업 대출은 5~7%로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태국의 예상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7%라는 것에 근거해 낙관적으로 전망했다.2024년 크룽스리의 순이익은 290억 바트를 기록했으며 시장 점유율 19%를 차지했다.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라오스, 캄보디아 등 아세안 지역에서의 수익은 전체의 약 20%이며 1900만 명 이상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 농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신라면 트램 광고[출처=농심]농심(회장 신동원, 대표이사 이병학)에 따르면 2025년 3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유럽법인 ‘농심 유럽(Nongshim Europe B.V.)’을 설립한다. 유럽법인 설립은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비즈니스 거점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이다.농심 유럽법인이 위치할 네덜란드는 유럽 내 물동량 1위인 ‘로테르담항’을 보유하고 있다. 항구와 연계된 우수한 철도, 육상 교통망도 갖추고 있어 유럽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물류 인프라가 우수한 국가다.농심이 유럽법인 설립에 나선 것은 유럽 시장의 성장세와 다양성 때문이다. 유럽 라면시장은 2023년 기준 약 US$ 20억 달러 규모로 특히 최근 5년간(2019년 ~ 2023년) 연평균 12%의 성장률을 보일 정도로 가파르게 커지고 있다.같은 기간 농심의 유럽 매출은 연평균 25% 성장, 소비자의 관심과 구매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24년 매출은 전년 대비 약 40% 성장하며 공격적인 시장관리를 위한 법인 설립의 필요성이 커졌다.또한 유럽 라면시장은 국가별 1위 브랜드가 다를 정도로 맛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존재한다.농심은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해 테스코(Tesco, 영국), 레베(Rewe, 독일), 알버트 하인(Albert Heijn, 네덜란드), 까르푸(Carrefour, 프랑스 및 유럽 전역) 등 유럽 핵심 유통채널에 대한 신라면 등 주요 브랜드 판매 규모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향후 대형 유통사와 협의해 각국 소비자 기호에 맞는 제품 출시를 검토하고 유럽 내 K푸드 관심이 높아진 트렌드를 반영해 국내에서 인기를 얻은 신제품의 빠른 현지 출시도 병행한다.한편 농심은 늘어나는 글로벌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부산에 ‘녹산 수출전용공장’을 설립한다. 녹산 수출전용공장이 본격 가동에 들어가는 2026년 하반기부터 농심은 국내 최다인 연간 27억 개의 글로벌 공급능력을 갖추게 된다.
-
2025-01-14▲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The Future of Jobs Report 2025) 표지[출처=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BYD Australia에 따르면 2025년형(MY25) 라인업 차량 가격을 최대 AU$5900달러 인하해 이전 모델 대비 6900달러 더 저렴해 졌다.오스트레일리아 농업자원경제국(Australian Bureau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ABARES)에 따르면 2024-25회계연도 농업의 전체 가치는 AU$ 943억 달러로 전년도 대비 60억 달러 증가했다.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의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The Future of Jobs Report 2025)에 따르면 2030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직업은 배달 기사, 간호사, 전기 자동차 전문가로 나타났다.뉴질랜드 통계청(Statistics NZ)에 따르면 2024년 11월까지 12개월간 신규 주택 건축허가는 3만3609건으로 2023년 11월 기준 3만8209건 대비 12.0% 감소했다.◇ 세계경제포럼(WEF), 2030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수요 많은 직업 배달 기사, 간호사, 전기 자동차 전문가 등BYD Australia에 따르면 2025년형(MY25) 라인업 차량 가격을 최대 AU$5900달러 인하해 이전 모델 대비 6900달러 더 저렴해졌다.2025년형(MY25) 주요 모델은 사양 변경을 도입한 업데이트 제품으로 Essential, Dolphin Essential, Dolphin Premium 등이 있다. 이중 Dolphin Essential은 3만 달러 미만 전기차 출시 첫 번째 브랜드다.오스트레일리아 농업자원경제국(Australian Bureau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ABARES)에 따르면 2024-25회계연도 농업의 전체 가치는 AU$ 943억 달러로 전년도 대비 60억 달러 증가했다.작물 재배 및 가축 부문의 강력한 성과로 역사상 두 번째 높은 생산량을 기록했다. 농작물 생산량의 약 70%이상이 국제 시장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2023-2024 회계연도 수출 규모는 600억 달러를 기록했다.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의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The Future of Jobs Report 2025)에 따르면 2030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직업은 배달 기사, 간호사, 전기 자동차 전문가로 나타났다.2025년~2030년 총 고용이 순 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성장이 예상되는 직업으로는 농장 노동자, 배달 기사, 건설노동자, 영업사원, 식품 가공 노동자 등 현장 근무자가 포함 될 것으로 전망된다.노인 케어 종사자, 사회 복지사, 간호사, 학교 교사 등에 대한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오스트레일라이 산업 그룹(Australian Industry Group)은 향후 5년간 780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뉴질랜드 통계청(Statistics NZ), 2024년 11월 기준 12개월간 신규 주택 건축허가 3만3609건뉴질랜드 통계청(Statistics NZ)에 따르면 2024년 11월까지 12개월간 신규 주택 건축허가는 3만3609건으로 2023년 11월 기준 3만8209건 대비 12.0% 감소했다.2022년 11월 기준 5만209건 대비 33.1% 줄어들어 2년간 신규 주택 승인 건수가 3분의 1로 축소됐다.신규 아파트에 대한 허가는 지난 2년간 58.8% 감소했다. 은퇴자용 빌리지 주택은 41.7%, 타운하우스 및 주택은 32.2%, 단독 주택은 27.6% 줄어들었다.2024년 11월까지 12개월간 신규 주택 건설에 대한 건축 공사 총 추정 가치(토지 비용 제외)는 NZ$ 153억3000만 달러로 2년전 대비 24.9% 하락했다.
-
▲ 일본 도요타자동차 홈페이지중국우정(中国邮政)에 따르면 중국공항건설그룹과 텐진 빈하이 공항, 구얼러리청 공항과 드론을 활용한 우편물 운송을 위해 협력을 체결했다.중국 수소에너지거래소(氢能汇)는 2024년 수소에너지 프로젝트는 227개를 초과했으며 누적 투자액은 8850억3000만 위안에 달한다고 밝혔다.일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차세대차 생산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을 목표로 국내 생산체제 재편을 계획하고 있다.일본 KDDI는 미국 스페이스X와 제휴를 통해 2025년 3월 인공위성과 스마트폰을 직접 연결해 서비스를 시작하기로 했다.일본 다국적 소매지주회사 패스트 리테일링(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는 2025년 3월 입사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 임금액을 33만 엔으로 전년 대비 3만엔 인상하기로 결정했다.도쿄해상닛동화재보험(東京海上日動火災保険)은 4월 전근이나 이사 등을 수반한 경우 대졸자에게 최대 약 41만엔을 지급하기로 했다.◇ 중국우정(中国邮政), 드론을 활용한 우편물 배송을 위해 국내 공항과 협력 체결중국우정(中国邮政)에 따르면 중국공항건설그룹과 텐진 빈하이 공항, 구얼러리청 공항과 드론을 활용한 우편물 배송을 위해 협력을 체결했다.협력 내용은 저고도 스마트 물류 시스템 구축, 저고도 물류 인프라 공동 개발 및 구축, 중국우정 저고도 물류 유통 네트워크 육성 및 개발 가속화, 우편 배송 드론 이륙 공간 확보를 위한 협력, 착륙 및 주차 등 지상 지원 시설 제공 등이다.한편 중국우정은 드론 배송을 본격화 하기 위해 자본금 1억 위안의 무인기(베이징)유한공사(中邮无人机(北京)有限公司, China Post UAV (Beijing) Co., Ltd.)를 설립했다.중국 수소에너지거래소(氢能汇)에 따르면 2024년 수소에너지 프로젝트는 총 227개이며 누적 투자액은 8850억3000만 위안에 달한다.이 중 60개 프로젝트는 서명, 48개 프로젝트는 승인 또는 등록, 10개 프로젝트는 환경영향평가 발표 또는 예비 시연, 42개 프로젝트는 건설 시작, 14개 프로젝트는 완료 및 가동 중이다. 입찰 관련 프로젝트는 53개다.국가전력망 산시성전력공사(国网山西省电力公司)에 따르면 2024년 산시성의 신규 에너지 대외거래전력량은 164억4000만킬로와트(kW)로 전년 대비 71.5%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이 중 녹색전력 송전거래량은 75억3800만kW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중국정부는 산업에 필요한 전력 생산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일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 차세대차 생산 증가 대응 위해 2030년 목표 국내 생산체제 재편 계획 발표일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차세대차 생산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을 목표로 국내 생산체제 재편을 계획하고 있다.2030년경 착수해 2035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도카이 부품 제조업체 등에서 부품을 수급해 왔으나 현지 개발 및 조달 강화, 지역내 생산 체제 완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먼저 1만 대를 생산하는 아이치현 등 도카이 지방에서 도호쿠, 규슈 지역으로 각각 20만 대 규모의 생산을 옮길 예정이다.도요타는 국내 14개의 완성차 공장을 두고 있으며 대부분 도요타시, 타하라시 등 아이치현 동부 미카와 지구에 집중돼 있다.일본 통신업체인 KDDI는 미국 스페이스X와 제휴를 통해 2025년 3월 인공위성과 스마트폰을 직접 연결해 서비스를 시작하기로 했다.산간 지역이나 낙도 등은 권외 지역으로 스마트폰이 연결되지 않는다. 이런 공백지대를 없애고 전 세계 어디에서나 스마트폰 연결, 고속, 대용량 통신 시대에 적합한 인공위성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일본 다국적 소매지주회사 패스트 리테일링(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에 따르면 2025년 3월 입사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 임금액을 33만 엔으로 전년 대비 3만엔 인상하기로 했다. 연봉은 500만 엔 이상으로 10% 증가된다.도쿄해상닛동화재보험(東京海上日動火災保険)은 2026년 4월 전근이나 이사 등을 수반하는 경우, 대졸자에게 임금 41만 엔을 지급할 예정이다.미쓰이스미토모은행(三井住友銀行)은 2025년 4월 신입 입행 초임으로 30만 엔, 대졸 초임은 34만5000엔을 지급할 예정이다.
-
▲ 미국 와이오밍주(州) 테라파워 SMR 발전소 조감도[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테라파워와 소형모듈원자로(SMR) 주기기 제작성 검토 등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테라파워(TerraPower)의 첫 SMR 사업에 주기기를 공급한다.이번 계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테라파워 초도호기 SMR 기자재의 제작 가능성 검토 및 설계 지원 용역을 수행한다.이후 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부터 원자로 보호용기(Reactor Guard Vessel), 원자로 지지구조물(Reactor Support Structure), 노심동체구조물(Core Barrel Structure) 등 주기기 3종에 대한 제작도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테라파워는 현재 미국 와이오밍주(州)에서 화력발전소 인근 부지를 활용해 345메가와트(MW) 용량의 SMR 1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테라파워는 자사의 SMR 초도호기가 적용되는 이번 사업을 위해 2024년 3월 4세대 SMR 개발사 중 처음으로 미국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 건설 허가를 신청했다.SMR의 발전구역(Energy Island) 시공에 착수했다. 이 사업은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으며 2030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순항하고 있다.테라파워는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인 빌 게이츠가 2008년 설립한 SMR 개발사로 4세대 원자로인 SMR의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이 기술은 핵분열을 통해 발생한 열을 액체 나트륨 냉각재로 전달하고 이 과정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BG 김종두 부사장은 “우수한 제작역량을 인정받아 이번 테라파워의 초도호기 SMR 사업에 참여하게 돼 큰 자부심을 느낀다. 앞으로 제작역량을 한층 고도화하고 신규 제작공장 건설도 추진해 글로벌 SMR 파운드리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 LG이노텍이 개발한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출처=LG이노텍]LG이노텍(대표 문혁수)에 따르면 500만 화소급 RGB(Red, Green, Blue)-IR(Infrared, 적외선) 겸용 센서를 장착한 ‘차량용 RGB-IR 고성능 인캐빈(In-Cabin, 실내용) 카메라 모듈(이하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을 개발했다‘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은 차량 실내에 탑재되는 부품이다. 룸미러, 보조석 상단 등 다양한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다.졸음운전, 전방주시 등 운전자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보조석 및 2열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등 차량 내부 인원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자율주행의 최대 관건은 운전자 및 탑승자, 보행자의 안전이다. AD(자율주행)∙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용 카메라 모듈, 라이다(LiDAR)와 같이 차량 외부에 탑재하는 부품과 함께 차량 탑승자를 모니터링하는인캐빈 카메라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특히 유럽은 2025년부터 DMS(Driver Monitoring System,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를 차량에 의무 장착하도록 법제화했다.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도 이에 대한 검토를 진행 중이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인캐빈 카메라 채택이 늘어나는 이유다.◇ 화소 높이고 시야각 넓혀… 카메라 한 대로 운전자∙탑승자 모니터링 가능그동안 출시된 인캐빈 카메라는 DMS, OMS(Occupant Monitoring System,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 특정 기능에 한정된 제품 위주였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밖에 없었다.반면 LG이노텍의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은 한 대의 카메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고화소 RGB-IR 겸용 센서를 장착해 적∙녹∙청의 가시광선은 물론 적외선 파장까지 감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독보적인 광각 기술을 적용해 시야각을 넓혀서다.이 제품은 기존 대비 5배가량 높은 500만 화소로, 선명한 이미지를 통해 보다 정확한 탑승자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자율주행이 고도화될 경우 필요한 영상통화, 화상회의 같은 엔터테인먼트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또한 적외선 감지 기능으로 어두운 상황에서 피사체를 명확히 인식해 야간에도 운전자의 졸음운전 등 탑승자의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이뿐 아니라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은 수평시야각(HFOV, Horizon Field of View)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확대했다. 독보적인 광각 기술을 적용해 수평시야각을 143˚까지 지원하며 모니터링의 범위를 넓혔다. ◇ ‘웨지 본딩’ 공법으로 모듈 크기 최소화 … 공간 활용도∙디자인 자유도 UPLG이노텍의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은 기존 제품 대비 크기를 15% 줄였다. 모듈 크기가 작을수록 다양한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다.완성차 업체 입장에서는 차량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자인 자유도 역시 높아진다. 제품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웨지 본딩(Wedge Bonding)’ 공법을 적용했다.웨지 본딩은 초음파 출력으로 칩과 기판을 붙이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모듈에 들어가는 칩을 PCB 기판에 붙일 때 접합 부분에 열(熱)을 가해야 했다.이 때 가열 상태 유지를 위해 PCB 기판 하단에 ‘히팅 블록’이 추가로 장착된다. 그러나 웨지 본딩을 적용하면 ‘히팅 블록’이 필요 없어 그 공간만큼 제품 크기를 줄일 수 있다.◇ '30년 2조 사업 육성… 차량 내∙외부 아우르는 車센싱 솔루션 라인업 강화 2025년 ‘고성능 히팅 카메라 모듈’, ‘고성능 라이다’에 이어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까지 선보이며 차량 내∙외부를 아우르는 차량 센싱 솔루션 제품 라인업을 한층 강화했다. 이를 앞세워 북미, 유럽등 완성차 고객 대상 프로모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세계 최고 수준의 광학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고성능 히팅 및 세정 기능을 탑재한 ‘올 웨더 하이 퍼포먼스(All-weather High performance) 카메라 모듈’ 등 고부가 제품을 지속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통해차별적 고객가치를 제공하며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시장조사 전문기관 S&P 글로벌(S&P Global)에 따르면, 글로벌 차량용 카메라 모듈 시장 규모는 2023년 약69억 2300만 달러(9조9000억 원)에서 2030년 약 107억6900만 달러(15조4000억 원)로 연평균 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LG이노텍은 2025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 2025’를 통해 ‘RGB-IR 인캐빈 카메라 모듈’을 비롯한 최신 혁신 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문혁수 대표는 “카메라 모듈, 라이다 등 차량 센싱 솔루션 사업은 차량통신, 조명과 함께 LG이노텍 자율주행 부품 사업의 핵심축”라며, “2030년까지 차량 센싱 솔루션 사업 규모를 2조 원 이상으로 키울 것이다”고 말했다.
-
2024-12-06▲ 왼쪽부터 충청남도 김태흠 지사(앞줄 여섯번째), 전략기획실장 김동욱 부사장(앞줄 일곱번째),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 정유석 부사장(앞줄 아홉번째) 등 주요 관계자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출처=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4년 12월6일(금요일) 천안시청 대회의실에서 ‘충청남도 수송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2030년까지 도내 경유버스 1200대를 수소버스로 대체하는 등 본격적으로 수소교통 전환을 추진 중인 충청남도의 친환경 정책에 현대차가 동참하며 성사됐다.협약식에는 환경부 이병화 차관, 충청남도 김태흠 지사,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 정유석 부사장, 전략기획실장 김동욱 부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현대차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2024년부터 순차적으로 일렉시티·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를 충남에 보급하고 충남은 이를 시내외버스, 통학·통근버스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세계 최초 도심형 수소전기버스인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는 교통 지체 구간 등 전기 소모율이 높은 노선 운행에 적합하다.세계 최초로 고속형 대형버스급에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한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는 1회 충전으로 최대 635킬로미터(km) 주행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현대차는 이 외에도 충청권에 수소상용차 정비 서비스 거점 6개 소를 구축하는 등 충남의 원활한 수소교통 운영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한편 충남은 수소버스 도입 외에도 수소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해 주요 업체들과 협약을 맺고 2030년까지 도내에 수소충전소 총 67기를 보급하기로 하는 등 수송 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현대차는 "이번 협력을 통해 충남의 수소교통 확대와 수송분야 탄소중립 추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수소버스 공급 외에도 수소상용차 정비 서비스 거점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충청남도의 원활한 수소교통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1
2
3
4
5
6
7
8
9
10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