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GDT"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뉴질랜드 유제품제조사 A2밀크(A2 Milk)에 따르면 최근 유제품가격 상승이 회계연도 2020년 총마진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반면 올해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2019년 4월3일 기준 GDT유제품경매가격지수는 2주전인 이전 경매가격지수 대비 0.8% 상승했다.유제품서비스기업인 GDT의 경매에서 9번째 연속 유제품가격은 상승했다. 유제품 평균가격은 2018년 11월 20일 경매 이후 28% 상승했다. ▲A2밀크(A2 Milk) 홈페이지
-
2019-03-18뉴질랜드 통계청(Stats NZ)에 따르면 2019년 2월 식료품 가격은 전월 대비 0.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제품가격이 더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오른 것이다.식료품 가격이 상승한 주요인은 탄산음료, 생수, 주스 등의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탄산음료 가격은 8.4% 상승해 1.5리터짜리 1병에 $NZ 2.70달러에 달했다.과자 가격은 1.9% 상승했다. 과자의 내용량은 줄이고 가격은 그대로 두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가격인상정책에 대해 소비자의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2019년 2월 버터 가격은 전월 대비 10% 하락했다. 2월 500g짜리 버터의 평균 가격은 5.20달러까지 떨어졌다. 1월에는 5.70달러였다.버터가격은 지난 1년 6개월 동안 꾸준히 하락 추세를 유지해왔다. 다른 유제품 역시 가격하락을 기록하고 있는데 2019년 2월 치즈가격은 4.1%, 요거트는 6.7%, 우유는 0.2% 각각 하락했다.2018년 6월~11월 사이 동안 유제품 서비스기업인 GDT의 GDT경매가격 역시 하락했다. 2018년 12월 유제품 수출가격도 하락해 수출액 감소에 크게 기여했다. ▲통계청(Stats NZ) 홈페이지
-
뉴질랜드 유제품 제조업체인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현재 예상되는 우유고형분 가격은 1킬로그램당 $US 6.25달러~6.50달러 수준으로 나타났다.한편 낙농업계 전문가는 유제품 가격 동향 및 뉴질랜드달러의 강세 등으로 6달러~6.25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2018년 11월 둘째주 기준 유제품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6.2% 하락한 상태이다.2018년 5월 최고치 대비 17.7% 더 낮은 셈이다. 최종 경매에서 GDT지수는 2.15 하락했는데 이는 지난 격주 18회 경매 중에서 15번째 하락한 것이다.11월에만 뉴질랜드 달러화 가치가 미국 달러 대비 2% 상승했으며 최근까지 5.5% 올랐다. 하지만 여전히 2018년 연초 대비 3%나 하락했다.뉴질랜드 달러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것은 2018년 3분기 실업률이 3.9%로 하락해 10년내 최저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국내 경제가 호전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미국 경제가 호전되면서 미국 달러화 가치가 오르고 있지만 뉴질랜드 달러화 가치는 더욱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폰테라의 실적도 점점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다.▲폰테라(Fonterra)의 유제품제조시설(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유제품산업서비스기업 GDT에 따르면 2018년 10월 첫째주 GDT경매에서 전반적인 유제품가격은 2주 전의 경매 대비 1.9% 하락했다. 버터를 비롯한 유지방가격의 하락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유지방가격은 4.4%, 버터가격은 5.9% 각각 하락했다. 분유(WMP)가격은 1.2% 하락해 1톤당 $US 2753달러를 기록했다. 2018년 8월까지 12개월 동안 우유생산량은 5.5% 증가했다. 회계연도 2018/19년 폰테라(Fonterra)의 낙농가 우유 수급가격은 1킬로그램당 $NZ 6.75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1킬로그램당 6.25~6.50달러 사이로 하락할 가능성도 예상된다고 지적한다.2018/19년 현재 시즌 우유고형분가격은 1킬로그램당 5.40달러에서 5.50달러로 상승이 예상된다. 좋은 날씨로 목초지가 양호한 것이 우유생산량이 증가한 주요인이다.▲GDT경매의 유제품가격 검증 및 판매 전략(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유제품산업서비스기업 GDT에 따르면 2018년 6월 첫째주 GDT경매 유제품가격은 이전 경매 대비 1.3% 하락해 톤당 US$ 3487달러를 기록했다.분유(WMP)가격은 이전 경매 대비 1.1% 하락해 톤당 US$ 3205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탈지분유(SMP)가격은 0.3% 소폭 상승했다.버터가격은 3.5%, 유지방 1.7%, 체다치즈 3.6% 등으로 각각 하락했다. 반면 유당가격은 3.9%, 카세인 2.7% 등으로 각각 상승했다.▲유제품산업서비스기업 GDT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서비스기업 Global Dairy Trade(GDT)에 따르면 2018년 5월 3째주 GDT경매에서 유제품가격지수는 2주전 경매 대비 1.9% 상승했다.평균 유제품가격은 톤당 US$ 3637달러를 기록했다. 판매된 유제품량은 1만8161톤으로 2주전 경매 1만9508톤 대비 감소했다.분유(WMP)가격은 0.2% 상승해 톤당 US$ 3226달러, 탈지분유(SMP)가격은 3% 상승해 톤당 2047달러를 각각 기록했다.유지방가격은 5.8% 상승해 톤당 US$ 6354달러, 체다치즈는 4.4% 상승해 톤당 4205달러, 버터는 2.4% 상승해 5787달러 등을 각각 기록했다.반면 유당가격은 3.5% 하락해 US$ 687달러, 레넷케이신 가격은 6.1% 하락해 4876달러 등을 각각 기록했다. 총 14회의 경매에 164명이 참여했으며 등록된 경매입찰은 527회로 증가했다.▲유제품서비스기업 GDT(Global Dairy Trade)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산업서비스기업 GDT(GlobalDairyTrade)에 따르면 2018년 1월 첫째주 GDT경매에서 평균 유제품가격은 이전 경매 대비 2.2% 상승해 톤당 US$ 3124달러를 기록했다.분유(WMP)가격은 이전 경매 대비 4.2% 올라 톤당 US$ 2886달러에 거래됐다. 버터(Butter)는 0.6% 소폭 상승해 톤당 US$ 4501달러, 체다(Cheddar)치즈는 2.1% 하락해 톤당 US$ 3317달러 등을 기록했다.2018년 1월 첫째주 GDT경매에서의 유제품 판매량은 이전 경매 대비 14% 하락해 2만5400톤으로 집계됐다. 폰테라는 건조한 기후로 인해 이번 시즌 국내 우유생산량이 4%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GDT(GlobalDairyTrade)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산업 서비스기업 GDT(GlobalDairyTrade)에 따르면 2017년 12월 셋째주 최신 GDT경매에서 유제품가격은 이전 경매 대비 3.9% 하락했다. 2016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GDT지수 기준 유제품 평균가격은 톤당 US$ 2969달러(NZ$ 4247달러)로 집계됐다. 주요 가격지표인 분유(WMP)가격은 US$ 2755달러로 2.5% 하락했다. 유제품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했다.탈지분유(SMP)는 4.8% 하락해 US$ 1675달러, 체다치즈는 7.9% 하락해 US$ 3389달러, 버터는 2.3% 하락해 US$ 4474달러를 기록했다. 총 2만9592메트릭톤의 유제품이 거래됐다. ▲GlobalDairyTrade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산업서비스기업 GDT(GlobalDairyTrade)에 따르면 2017년 9월 첫째주 GDT경매에서 유제품가격은 0.3% 상승해 톤당 평균 US$ 3323를 기록했다.버터가격의 상승이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뉴질랜드 대표 낙농제품인 전지분유(WMO)의 가격은 톤당 3100달러로 전회 경매 대비 1.6% 하락했다.버터의 가격은 3.8% 올랐는데 2017년에만 35%나 상승했다. 낙농전문가들은 버터와 유유지방 등 가격이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유제품산업서비스기업 GDT(GlobalDairyTrade)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산업서비스기업 GDT(GlobalDairyTrade)에 따르면 2017년 8월 셋째주 GDT경매가격지수는 2주 전인 이전 경매 대비 0.4% 하락해 US$ 3339달러를 기록했다.유제품 판매량은 3만2260톤으로 2주전 3만2768톤 대비 하락했다. 분유(WMP)가격은 톤당 US$ 3143달러로 0.6%, 유당 톤당 747달러로 4.9%, 버터 톤당 5735달러로 1.3%, 무수유지방 톤당 6199달러로 1.2% 등으로 각각 하락했다.탈지분유(SMP)가격은 톤당 US$ 1968달러로 0.3%, 체다치즈 톤당 4005달러로 1.4%, 인단백질 톤당 6255달러로 2.9% 등으로 각각 상승했다. 향후 몇 개월동안 유지방 공급량은 약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GDT(GlobalDairyTrade)로고
1
2